광주 지하철역 곳곳 지반 침하 현상…땅 꺼짐 불안불안

2025.03.30 10:39:35

송정공원역·운천역 등 환풍·엘리베이터 시설 들떠
물이 스며들면 '아찔'…지속적인 점검 필요 지적

 

[TV서울=곽재근 기자]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거대 싱크홀(땅 꺼짐)이 발생한 가운데 광주에서도 지하철역을 주변으로 지반침하 현상이 확인돼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0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광주 광산구 송정공원역 환풍시설 주변은 맨눈으로 보기에도 확연히 드러날 만큼 지반이 침하해 있었다.

환풍 시설은 지면이 기울어진 만큼 들떠있어 지면이 얼마나 기울어졌는지 보여주는 가늠자가 됐다.

또 주변 횡단보도가 시작되는 인도 역시 움푹 파여있어 작은 경사로가 만들어졌다.

광주 서구 운천역 주변에서도 지반침하 현상이 확인됐다.

운천역 내부와 지상을 연결하는 엘리베이터 시설물이 지반 침하로 들떠있었다.

들뜬 엘리베이터가 기울어질 경우 당장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지만 들뜬 부분을 콘크리트로 이어놓은 '땜질식' 처방이 전부였다.

지난해에도 광주 송정공원역과 수창초등학교 인근 지하철 시설물 주변에서 지반 침하 현상이 목격되기도 했다.

당국이 일부 조치했으나 이 과정에서 지반의 안전성 여부는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취재가 시작되자 광산구는 침하 현상을 보인 장소를 확인한 뒤 광주 도시철도공사 측에 시설물 크랙(균열) 등 안전성 여부를 판단해 조치해달라고 요청했다.

시설물에 균열이 생겼을 경우 그 사이로 물이 스며들어 땅 꺼지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광산구 관계자는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면 기울어진 부분에 대한 보수 공사를 신속하게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거대 싱크홀로 이어질 위험이 낮다고 해도 지속적인 점검과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내놨다.

관련 업무를 맡은 한 지자체 관계자는 "비가 내리면 (시설물) 벽체를 타고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면서 그 주변이 조금씩 내려앉는다"며 "자칫 행인의 발이 빠질 정도의 땅 꺼짐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시로 점검을 통해 침하하는 게 보이면 강성 재료를 부어 안정화하는 등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광주의 경우 지하철이 오래전 완성됐던 만큼 공사가 진행되던 구간에서 발생한 이번 대형 땅꺼짐 현상과는 달리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광주시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광주에서 모두 105건의 지반 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한다.

유형별로는 하수관 손상이 67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짐 불량 22건, 기타 매설물 손상 7건 등으로 나타났다.

광주시는 대형 땅꺼짐 사고 예방하기 위해 지반 침하가 우려 구간에 대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용역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Copyright @2015 TV서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등록번호 : 서울 아02680 │ 발행처 : 주식회사 시사연합 │ 발행인 겸 편집인 김용숙
0725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 139 (당산동3가 387-1) 장한빌딩 4층│전화 02)2672-1261(대표), 02)2632-8151~3 │팩스 02)2632-7584 / 이메일 tvseoul21@naver.com
본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기사는 (주)시사연합의 승인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