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용산 오리온 공장부지에 38층 주상복합… 삼각지역세권 활성화”

2025.07.10 10:15:02

둔촌동역·독산·개봉역 지구단위계획도 변경

 

[TV서울=이천용 기자] 서울 용산 오리온 공장부지에 38층 규모 주상복합시설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전날 제12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삼각지역 역세권 활성화사업' 관련 '용산구 문배동 30-10 일대 지구단위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대상지는 4·6호선 삼각지역 환승역세권으로 용산 광역중심에 있으며 현재는 오리온 공장부지로 사용되고 있다. 주변은 전자상가와 국제업무지구, 캠프킴 부지, 용산공원 등이 있어 향후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시는 이러한 대상지 특성을 고려해 삼각지 역세권 보행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업무·상업·주거의 복합거점을 조성하고자 지구단위계획을 정비했다. 지하 5층∼지상 38층 규모의 오피스텔(212실), 공동주택(156세대), 오피스, 근린생활시설, 공공체육시설 등 복합시설이 들어선다.

 

클라이밍, 농구, 풋살, 인라인스케이트 등을 즐길 수 있는 연면적 총 4천㎡의 공공체육시설(다목적체육관)도 설치한다. 남측 도로를 신설해 주변 청파로, 백범로 등을 통해 사방으로 연결될 수 있는 원활한 차량 동선을 확보한다.

 

삼각지 고가차도와 연계한 공중보행데크를 만들어 삼각지역에서 고가를 이용해 철도 상부를 횡단하는 보행자들이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보행환경을 개선한다. 향후 건축위원회 심의 등 인허가 절차를 거쳐 내년 하반기 착공 예정이며, 2029년 준공이 목표다.

 

 

위원회에서는 '둔촌동역 주변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변경)(안)'도 수정 가결됐다. 대상지는 지하철 5호선 둔촌동역 일대로,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가 완료됨에 따라 유동 인구 증가 등 지역 여건이 변화하는 곳이다.

 

양재대로변의 계획적 관리를 위해 지구단위계획구역을 북측으로 약 10만㎡ 확대하고 업무·의료시설 등 주민생활지원기능을 권장(특화)용도로 유도했다. 최대 개발규모의 폐지와 업무시설의 용도완화를 통해 지역 내 신축을 유도하고 적극적인 환경 개선이 이뤄지도록 했다.

 

특별계획구역은 기존의 공동주택 불허 규정을 완화해 주거복합을 허용함으로써 사업 실현성을 높였다. 역세권 중심의 고밀개발과 공공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전통시장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한 공공기여 확보 방안도 제시했다.

 

이면부는 운동·교육 관련 시설을 특화용도로 계획하고, 전통시장 인근 먹자골목 주변은 음식점 등 가로활성화시설 도입시 주차장 설치기준을 완화한다.

 

위원회는 '독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안)'과 '개봉역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도 각각 심의해 수정 가결했다. 독산 지구단위계획구역 변경은 시흥대로변 개발 여건을 강화하고 범안로 보행 여건과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간 구역 내 준공업지역에서 불허 용도로 지정됐던 공동주택을 허용해 G밸리 배후주거지역으로서 주거공급 기반을 마련한다. 시흥대로와 독산로를 연결하는 범안로변 일대를 지구단위계획구역에 추가 편입하고 저층부 가로활성화 등을 통해 보행 환경을 개선한다. 신설되는 신독산역 지하철 출입구와 연결되는 보행친화가로 조성을 유도하는 계획도 세웠다.

 

개봉역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유동 인구가 많아 혼잡한 개봉역 광장 환경을 개선하고 인근에서 공동주택 개발사업이 활발한 점을 고려해 중심지로서의 거점 기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개봉역 광장에 연접한 노후 건축물을 특별계획가능구역으로 지정, 버스정류장이 점유해 협소해진 광장을 확장하고 지하철 출입구를 신설해 통학·출퇴근 인구를 분산한다. 문화·체육시설을 유도해 광장 일대를 지역 커뮤니티 중심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아울러 군사시설(개봉레이더) 운용 종료에 따라 완화된 고도 제한과 주변 지역 개발로 인한 변화를 고려해 간선부 60∼70m, 이면부 40∼50m로 제한했던 높이를 간선부 120m, 이면부 100m로 조정했다.





Copyright @2015 TV서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등록번호 : 서울 아02680 │ 발행처 : 주식회사 시사연합 │ 발행인 겸 편집인 김용숙
0725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 139 (당산동3가 387-1) 장한빌딩 4층│전화 02)2672-1261(대표), 02)2632-8151~3 │팩스 02)2632-7584 / 이메일 tvseoul21@naver.com
본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기사는 (주)시사연합의 승인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