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어지는 鄭 악수 딜레마... 국힘 대표는 초강경 반탄파

2025.08.24 08:52:16

 

[TV서울=나재희 기자]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제1야당인 국민의힘 수장은 과연 악수를 나눌까. 그렇다면 언제일까.

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국민의힘과 악수 문제를 놓고 딜레마에 빠지게 됐다.

전쟁 중에도 협상장에서 만나 악수를 하는데 집권여당 대표가 1야당과 악수를 계속 거부하는데 따른 비판이 커지는 상황에서 송언석 비대위원장보다 더 강경한 반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파인 김문수·장동혁 후보가 국민의힘 대표 선거 결선(26일)에 진출하면서다.

김 후보와 장 후보(계엄 해제 표결 참여)는 비상계엄 자체는 반대하지만, 전당대회 선거 운동 과정에서 각각 "계엄을 해서 누가 죽었나", "(민주당이) '줄탄핵'과 '줄특검'으로 계엄을 유발했다"고 발언하면서 민주당 등으로부터 이른바 '윤어게인' 인사란 강도 높은 비판을 받고 있다.

이는 정 대표가 천명한 '악수 자격' 요건상 심대한 결격 사유다.

그는 전대 당시 국민의힘이 대화 상대인 야당이 아니라고 규정하면서 "내란에 대한 사과와 반성이 없이는 악수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으며 이후에도 "악수는 사람과 하는 것"이라며 자신의 방침을 재확인했다.

여의도에서 이른바 '언행일치의 정치인'으로도 통하는 정 대표는 실제 취임 인사차 야당을 예방하면서도 국민의힘은 '패싱'했으며 광복절 경축식 행사 때 옆자리에 앉은 송 비대위원장과 악수하지 않았다.

문제는 거대 집권여당 대표가 제1야당과 대화를 전면 거부하고 협치의 문을 계속 걸어잠글 경우 이재명 정부의 국정 운영에도 부담이 된다는 점이다.

이 대통령이 통합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집권여당 대표가 제1야당을 계속 무시하고 공격할 경우 이 대통령의 협치 진정성에 대한 야당의 의구심도 커질 수 있다.

이와 함께 국민의힘이 민주당을 향해 '독주 프레임'을 거는 상황에서 정 대표의 악수 거부가 '독선과 불통의 이미지'와 겹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당내에서도 정 대표가 국민의힘 새 대표와 악수를 해야 한다는 요구가 공개적으로 나오고 있다.

원조 친명(친이재명)계인 김영진 의원은 지난 21일 방송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쟁 중에서도 협상한 예를 들며 "국민의힘이 내란 연루 등 여러 문제가 있지만 그래도 같이 논의해 나가야 할 국회 파트너로서 여야가 못 만날 필요가 없다"면서 "정 대표가 국민의힘 새 대표와 악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원로 인사들도 지난 12일 정 대표를 만나 "악마와도 손을 잡을 잡아야한다"며 협치를 주문했다.

실제 정 대표도 광복절 경축식 당시 송 비대위원장과 형식적으로라도 악수를 하려고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광복절 전날 페이스북에 "국가 행사라 불가피한 경우 의례적 악수는 할 수 있다"라며 밑자락을 깔기도 했다. 그러나 현장 분위기가 껄끄러워서 실제 악수로는 이어지지 않았다고 당 관계자들이 전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 8·22 전대에 당 대표 명의의 축하 화환을 보냈다.

이는 "야당과 악수를 안 한다는 것은 레토릭이었다"(8일)고 언급까지 했던 정 대표도 악수 문제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만 강경 지지층이 지켜보는 상황에서 '그냥' 악수하긴 어렵다는 게 문제다.

정 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은 24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초강경 기조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나 협치 주문에 대해 부담이 없겠는가"라며 "국민의힘 새 대표 선출 후 그쪽의 메시지와 변화가 관건일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당 지도부 내에서도 악수 문제는 선제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지도부 관계자는 "김문수·장동혁 후보 중 누가 되든 '윤어게인' 반탄파라 대화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여당 대표인 정 대표가 대화의 물꼬를 틀 여지를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만약 정 대표의 악수 거부가 계속되면 결국 이 대통령이 풀어주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정치권 일각에서 나온다.

한 민주당 중진 의원은 "여의도에서는 앞에서는 싸우고 뒤에서는 악수하는 것이 일상이지만,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정청래는 다르다"며 "이 대통령이 여야 대표를 부르는 자리를 만들어 자연스레 악수할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의 미국·일본 순방 뒤 일정이 주목된다. 이 대통령의 순방 뒤에 성과 보고 및 협조 당부를 위해 여야 대표와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지난 21일 "야당 대표와의 정치 이벤트도 순방 이후 계획이 생기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Copyright @2015 TV서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등록번호 : 서울 아02680 │ 발행처 : 주식회사 시사연합 │ 발행인 겸 편집인 김용숙
0725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 139 (당산동3가 387-1) 장한빌딩 4층│전화 02)2672-1261(대표), 02)2632-8151~3 │팩스 02)2632-7584 / 이메일 tvseoul21@naver.com
본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기사는 (주)시사연합의 승인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