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 통합 찬반 극한 대립… "도지사·국회의원 사퇴하라"

2025.07.17 15:52:39

[TV서울=김민규 광주본부장] 전북 전주시와 완주군의 행정구역 통합을 위한 주민투표가 임박하자 찬반 시민단체들의 대립이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주민투표 시기는 새 정부의 행정안전부 장관이 정해지지 않아 확정할 수 없지만, 이르면 오는 8월 말이나 늦어도 9월 초가 될 전망이다.

 

이처럼 주민투표가 한 달여 앞으로 바짝 다가오자 찬반 단체들은 통합을 추진하는 김관영 도지사와 이에 반대하는 안호영 국회의원(완주·진안·무주)의 사퇴를 요구하며 정치 쟁점화하고 있다.

 

통합에 적극적인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반대 측의 첫 타깃이 됐다.

 

완주군의회와 완주·전주 통합 반대 완주군민 대책위원회는 "김 지사가 통합 찬성단체와 전주시의 입장만을 대변하면서 통합을 강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김 도지사는 모든 여론을 뒤로한 채 자신의 재선 욕심을 채우기 위해 '전북특별자치도 통합 시·군 상생발전에 관한 조례안'을 도의회에 제출하는 꼼수를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립을 지켜야 할 도지사가 완주군민의 자치권을 무시하는 행태는 절대 용인할 수 없다"면서 김 지사의 사퇴를 촉구했다.

 

통합 찬반 단체 간의 팽팽한 긴장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도지사 후보군으로 꼽히는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국회의원의 칼럼으로 재점화했다.

 

안 의원은 지난 15일 전북도민일보 칼럼을 통해 완주·전주 통합을 두고 "'나만 정답'이라는 태도는 불통이며 오만"이라며 "지금 도민 분열을 격화시키고 있는 통합 절차를 중단할 필요가 있다"고 김 지사를 비판하며 반대 의사를 공론화했다.

 

이에 완주·전주 통합에 찬성하는 시민단체들은 즉각 안 의원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완주전주상생통합협회와 완주역사복원추진위원회, 완주전주 상생발전 전주시민협의위원회 등 10개 찬성 단체는 17일 전주시청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안 의원은 전북도민의 염원인 완주·전주 통합을 깨부숴 버렸다"며 "안 의원에게 엄중한 정치적 책임을 묻겠다"고 격앙된 감정을 나타냈다.

 

이들은 "안 의원이 통합 절차를 중단하라고 나섰는데, 그는 1년이 넘는 세월 동안 과연 몇 번이나 통합에 대해 중재하거나 공론화를 시도했는지 묻고 싶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앞서 통합에 반대하는 유의식 완주군의회 의장은 지난 3일 우범기 전주시장과 남관우 전주시의회 의장 등 4자가 참여하는 TV 토론을 공식 제안했으나 남 시의장은 '고향이 완주'라는 이유로 불참 의사를 밝혔다.

 

전주시는 남 시의장의 불참에 따라 시의장과 군의장을 뺀 우 시장과 유희태 완주군수의 양자 토론을 추진이나 이마저도 무산됐다.

 

전주시와 완주군은 1997년, 2009년, 2013년에 행정구역 통합을 시도했으나 완주 주민의 반대로 모두 무산된 바 있다.

 

네 번째 통합 추진을 놓고 민간에서는 시민단체끼리 대립하고 행정에서는 소통이 실종돼 지역 갈등이 점차 커지는 양상이다.

 

여기에 통합 논란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과 맞물리면서 이들의 대립이 선거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두고 갖가지 해석과 억측이 나온다.

 

이에 대해 이창엽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양비론일 수 있는데, 우선 통합 도시에 대한 명쾌한 비전이 보이지 않는다"며 "전주시는 비좁은 공간을 확장하려는 욕망이 있는데 행정·사회·문화적으로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하고 완주군도 설득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또 완주군 일부 정치 세력은 아예 '설득당하지 않겠다'란 봉쇄 작전을 펴고 있다"면서 "전주와 완주가 같이 고민하고 전북도가 도움을 줘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양측이 우선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2015 TV서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등록번호 : 서울 아02680 │ 발행처 : 주식회사 시사연합 │ 발행인 겸 편집인 김용숙
0725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 139 (당산동3가 387-1) 장한빌딩 4층│전화 02)2672-1261(대표), 02)2632-8151~3 │팩스 02)2632-7584 / 이메일 tvseoul21@naver.com
본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기사는 (주)시사연합의 승인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