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TV서울] '깨끗한 중랑만들기' 폐낙엽.연탄재 재활용 사업 추진

  • 등록 2019.01.11 10:18:47


[TV서울=최형주 기자] 중랑구가 '깨끗한 중랑만들기' 사업을 통해 봉제원단 조각 및 폐낙엽‧연탄재 재활용 사업을 적극 추진 한다.

 

중랑구 봉제업체수는 2016년 등록기준 2천 5백여 개로 서울시 25개 자치구중 가장 많은 봉제업체가 밀집해 있다. 이러한 지역 특색 상 봉제원단조각 쓰레기가 상시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구는 2015년부터 매립비 절감 및 폐기물 재활용 차원에서 봉제원단 조각을 수거하여 고체형 열에너지로 재활용하는 사업을 실시해 왔다. 지난해에도 약 216톤의 봉제원단조각을 수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생활쓰레기를 감량하고 재활용 처리율을 높였다.

 

올 해에는 봉제원단 재활용 비용이 지난 해 4만 6천 원에서 8만 원으로 크게 상승할 예정으로, 매립비용보다 재활용 비용이 더 커진 실정이다. 그러나 구는 환경 보호 차원에서 앞으로도 매립이 아닌 재활용 처리를 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구에서는 낙엽과 연탄재를 농가 퇴비, 복토재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지난 해 10월 폐낙엽의 재활용 가능자원으로의 반입금지에 따른 처리비용 증가와 지금까지 수도권 매립지에서 무상 처리 되던 연탄재가 유상처리로 전환됨에 따라 재활용에 적극 나선 것이다.

 

구는 지난 해 11월에서 올 해 2월까지를 낙엽 중점 수거 기간으로 정하여 대로변과 외곽 진입로 등 주요 도로의 낙엽을 수거하고, 연탄재는 연중 무상으로 수거하고 있다.

 

수거한 낙엽은 일반쓰레기 분류 작업을 거쳐 일반 농가에 퇴비로 무상 제공하고, 사업장과 일부 가정에서 사용 후 버려지는 연탄재는 처리하여 건축공사장의 복토재나 성토재 등으로 무상 제공함으로써 생활쓰레기를 감량하는 동시에 재활용 처리율을 높여 나가고 있다.

 

구는 지난해에도 약 150톤의 폐낙엽을 농가에 무상으로 제공했으며, 올해 150톤의 폐낙엽과 450톤의 연탄재 처리에 소요되는 인건비와 차량유지 비용을 포함하면, 매년 5,700만 원 이상의 예산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더불어 일반쓰레기는 1.7% 감량되고 재활용률은 5.4%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돌입 [TV서울=이현숙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26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말레이시아로 출국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다토 모하메드 잠루니 빈 카리드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 등이 서울공항에 나와 이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의 출국을 배웅했다. 정 대표는 공군 1호기로 이동하는 도중 이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며 웃음을 짓기도 했다. 아세안 정상회의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까지 이어지는 이른바 '정상외교 슈퍼위크'의 막이 올랐다. 이 대통령은 이날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한다.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지난달 미국 뉴욕 유엔총회에 이어 취임 후 세 번째로 다자 외교 무대를 밟는다. 이 대통령은 현지 첫 일정으로 동포들과 만찬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튿날에는 가장 먼저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및 온라인 스캠 범죄 대응 공조 등 현안에 대해 협의한다. 이어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