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회


[TV서울]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등록 2019.08.12 17:21:03

[기고] “내 손톱이 빠져나가고 내 귀와 코가 잘리고 내 다리가 부러져도 그 고통은 이길 수 있사오나 나라를 잃어버린 고통만큼은 견딜 수가 없습니다. 나라에 바칠 목숨이 오직 하나밖에 없는 것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

 

모진 고문에도 불구하고 마지막까지 독립에 대한 의지를 놓지 않았던 유관순 열사는 1902년 11월 17일 충남 천안에서 5남매 가운데 둘째 딸로 태어났다. 동네 친구이자 독립운동가인 남동순 선생은 유관순 열사의 어릴 적 모습은 씩씩하고 총명했다고 전한 바 있다.

 

하지만 역사는 유관순 열사에게 평범한 삶을 허락하지 않았다. 우리나라는 1910년 국권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이후 일제에 항거하기 위해 일어난 3·1운동에서 유관순 열사는 서울의 만세운동 소식을 고향에 전하고, 본격적으로 천안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 운동을 주도한다.

 

그러나 일제 경찰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유관순 열사의 부모님은 현장에서 사망하고, 체포돼 감옥에 갇힌 유관순 열사 또한 가혹한 고문으로 1920년 10월 12일 18세의 나이로 순국했다. 악명 높은 서대문 감옥에서 온갖 탄압과 고문에도 지속적으로 ‘대한독립만세’를 불러 옥에 갇힌 동지들의 사기를 북돋았다는 유관순 열사!

 

 

그런 유관순 열사의 모습이 2019년 8월 서울 광화문의 한 빌딩 외벽에 등장했다. 유관순 열사의 얼굴과 태극기를 흔드는 모습을 담은 가로 49m, 세로 19.5m 크기의 초대형 래핑(Wrapping) 광고물로써, 한 기업에서 올해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해 진행 중인 대국민 캠페인의 일환으로 제작했다고 한다. 대다수의 국민이 존경하는 인물로 꼽는 유관순 열사를 통해 독립운동의 정신을 기억하고 이를 미래지향적 가치로 삼아 나가자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얼마 후면 제74주년 광복절이다. 매해 광복절 연휴를 기해 캐리어를 끌고 여행을 떠났다면, 올해는 태극기를 들어보는 건 어떨까? 우리가 너무나도 당연히 여기고 있는 독립국가로서의 대한민국의 지위와 그 속에서 누리고 있는 자유와 평화는 유관순 열사와 같이 광복을 위해 헌신한 수많은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 위에서 싹튼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를 잊지 않고 돌아보며 감사하는 마음, 순국선열들의 애국정신을 이어 나가는 마음으로 다가오는 광복절을 맞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대한적십자사 창립 120년·독립 80년 기념 음악회 성황리 진행

[TV서울=변윤수 기자] 대한적십자사(회장 김철수)는 지난 7월 10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대한적십자사 창립 120년과 광복 80년을 기념하는 특별 음악회 ‘함께 지켜온 평화, 함께 만드는 미래’를 개최했다. 이번 음악회는 대한적십자사가 추진하는 ‘독립유공자 후손 돕기 캠페인’의 하나로 마련됐다. 조국을 위해 헌신한 독립유공자의 정신을 기리고, 그 정신을 오늘에 계승하기 위한 취지다. 또한 여전히 열악한 환경에 놓인 후손들의 현실을 알리고, 국민의 관심과 지원을 끌어내고자 기획됐다. 이 같은 취지에 공감한 여러 기관과 기업이 힘을 보탰다. 국가보훈부와 고려아연, 우리은행, 기업은행, 대한적십자사 회장자문위원회가 이번 행사를 공동 후원했다. 음악회 현장에는 독립유공자 후손과 가족, 정부 및 광복회 관계자, 적십자 봉사원, 헌혈자, 기부자 등 2천여 명이 참석했다. 각자의 자리에서 나눔을 실천해 온 이들이 한데 모여, 광복의 의미와 인도주의의 가치를 함께 되새기는 시간이 이어졌다. 대한적십자사 헌혈 홍보대사 김민정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음악회는 국내 정상급 오케스트라인 강릉시립교향악단(지휘 정민)이 나서 모차르트, 베토벤, 차이콥스키 등 세계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