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TV서울] 강동구,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 15억 원 지원

  • 등록 2018.02.07 13:24:04

[TV서울=함창우 기자] 강동구가 올해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에 15억 원을 지원한다.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은 지역사회와 학교가 협력해 아이를 키우는 교육모델 구현을 목표로 한다. 2015년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이 상생과 협력의 글로벌 교육혁신도시 서울이라는 공동 비전을 선언하면서 시행됐다.

강동구는 2015년 서울 동남권 지역 최초로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시작했다. 우선지구로 시작해 2016년 혁신지구 지정, 20172년간 재지정이라는 성과를 이뤄 올해로 혁신교육지구 4년 차다.

지난 3년 동안 지역 내 교육공동체를 발굴하고 청소년들이 마을의 주인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왔다. 첫해에는 3억 원, 201615억 원, 2017142천만 원을 지원했다.

 

2018년에는 15억 예산을 지원해 마을-학교 연계사업, 청소년 자치활동, 민관학 거버넌스 운영, 지역 특화사업 등 4개 분야 34개 사업을 진행한다. 올해는 혁신교육의 보편성 확보에 역점을 뒀다.

초등학생 대상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1~2학년 돌봄교실에 지원하는 전래놀이’, 3학년 교과과정과 연계한 우리마을 탐방이 있다. 5~6학년은 목공 수업, 요리 수업, 전환기 진로체험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중학생의 경우 2017년에 이어 강동구 내 모든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 수업에 마을교사와 연계해 주제선택 활동을 지원한다.

3, 3 학년전환기 학생들에게는 찾아가는 노동인권교육을 실시한다. 부당한 고용사례로부터 청소년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 노동인권 친화적인 교육문화를 조성해간다는 계획이다.

이해식 구청장은 강동구와 강동송파교육지원청, 지역사회와 학교가 적극적으로 손을 잡고 이상적인 공교육 혁신 모델을 보여줬다앞으로도 교육공동체 모두가 주인이 되는 교육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강동구는 교육 분야 발전에 누구보다 앞장서 왔다. 2015년 시작한 혁신교육지구 사업 외에도 2007년 평생학습도시 지정, 2010년 전국 최초 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개관, 2012년 서울시 자치구 최초 진로직업체험센터 상상팡팡개관, 2011년부터 좋은 중학교 만들기 사업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 118일 교육부가 주관하는 9회 방과후학교 대상지방자치단체(지역사회파트너)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전세기까지 현지로 날아갔는데…한국인 석방 왜 늦어지나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들을 데려오려던 전세기의 출발이 지연되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외교부는 10일 "조지아주에 구금된 우리 국민들의 현지 시간 10일 출발은 미측 사정으로 어렵게 됐다"며 "가급적 조속한 출발을 위해 미측과 협의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조지아주 한국 기업 공장에서 체포·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은 자진 출국 형식으로 현지 시간으로 10일 오후 전세기편으로 출발할 예정으로 애초 알려진 바 있다. 이 스케줄에 맞춰 대한항공이 운용하는 전세기는 이날 오전 인천공항을 떠났고 현재 미국을 향해 날아가는 중인데 갑자기 상황이 바뀐 것이다. 외교부는 '미측 사정'이라고만 했을 뿐 자세한 이유는 공개하지 않았다. 현지 시간이 새벽이라 외교부 본부에서도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한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도 상황을 파악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앞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지난 9일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있다"며 구금 장소와 전세기가 내릴 애틀랜타 공항 간 이동과 관련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한 바 있어 이와 관련해 한미 간 이견이 생겼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 실장은






정치

더보기
전세기까지 현지로 날아갔는데…한국인 석방 왜 늦어지나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들을 데려오려던 전세기의 출발이 지연되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외교부는 10일 "조지아주에 구금된 우리 국민들의 현지 시간 10일 출발은 미측 사정으로 어렵게 됐다"며 "가급적 조속한 출발을 위해 미측과 협의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조지아주 한국 기업 공장에서 체포·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은 자진 출국 형식으로 현지 시간으로 10일 오후 전세기편으로 출발할 예정으로 애초 알려진 바 있다. 이 스케줄에 맞춰 대한항공이 운용하는 전세기는 이날 오전 인천공항을 떠났고 현재 미국을 향해 날아가는 중인데 갑자기 상황이 바뀐 것이다. 외교부는 '미측 사정'이라고만 했을 뿐 자세한 이유는 공개하지 않았다. 현지 시간이 새벽이라 외교부 본부에서도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한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도 상황을 파악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앞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지난 9일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있다"며 구금 장소와 전세기가 내릴 애틀랜타 공항 간 이동과 관련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한 바 있어 이와 관련해 한미 간 이견이 생겼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 실장은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