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2.5℃
  • 흐림강릉 11.9℃
  • 흐림서울 15.4℃
  • 흐림대전 15.3℃
  • 흐림대구 14.8℃
  • 흐림울산 14.9℃
  • 광주 14.2℃
  • 부산 15.4℃
  • 흐림고창 15.0℃
  • 제주 18.2℃
  • 흐림강화 11.9℃
  • 흐림보은 13.2℃
  • 흐림금산 14.3℃
  • 흐림강진군 14.5℃
  • 흐림경주시 13.4℃
  • 흐림거제 15.0℃
기상청 제공

행정


서울시 등록차량 317만7천여대… 전국 유일 2년 연속 감소

  • 등록 2025.02.03 09:31:57

[TV서울=이천용 기자] 지난해 서울시에 등록된 자동차는 317만7천여 대로 전년보다 1만4천여 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등록 대수는 소폭 줄었지만 친환경 차는 전년보다 6만4천여 대가 늘며 우상향 흐름을 보였다.

 

3일 서울시가 발표한 자동차 등록 현황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서울의 자동차 등록 대수는317만6,933대로 전국(2,629만7,919대)의 약 12%를 차지했다. 전국적으로 자동차 등록 대수는 전년보다 1.34%(34만8,718대) 증가했으나 서울의 경우 0.45%(1만4,229대) 감소했다. 서울은 전국 시도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서울의 인구 대비 자동차 수 또한 2.94명당 1대(전국 평균 1.95명)로 전국 최저 수준이다. 청년층 자가용 수요 감소, 고령층 면허 반납과 함께 편리한 서울의 대중교통 인프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시는 분석했다.

 

자치구별 자동차 등록현황을 보면 강남구가 25만4,871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송파구(24만2,897대), 강서구(20만3,720대), 서초구(17만7,348대), 강동구(16만983대) 순이었다. 서울의 25개 구 가운데 상위 5개 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32.7%에 달했다.

 

 

전체 등록 대수는 감소했지만 친환경 차는 증가세를 보였다.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차 등 서울에 등록된 친환경 자동차는 35만139대로 전년 대비 22.4%(6만4,019대) 증가했다. 반면 경유차는 5.9%(5만9,257대), 기타연료(LPG·휘발유 등) 차는 1.0%(1만8,991대) 줄었다.

 

지난해 서울시 전체 등록 차량을 보면 외국산 차량이 69만1,848대로 전체 자동차 수 대비 21.78%를 차지했다. 승용차만 따지면 전체 승용차 4대 중 1대(24.51%)가 외국산인 셈이다.

 

자동차 등록자 성별은 남성 63.13%, 여성 22.83%로, 여성 등록 비율이 꾸준히 증가세다. 연령별로 ‘40대 이하’는 3만2,655대 감소했지만 ‘50대 이상’이 2만9,242대 증가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이번 등록현황 분석 결과를 자동차 수요관리 및 대중교통 체계 수립에 활용하고, 시민을 위한 교통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설공단, 수능당일 장애인 수험생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설공단(이사장 한국영)은 오는 1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치르는 장애인 수험생을 위해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서울장애인콜택시에 등록된 수험생 고객(보행상 장애가 있는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예약은 시험 당일인 11월 13일까지 가능하다. 전화(1588-4388 또는 02-2024-4200)로 신청하면 되고 수능 당일 고사장 입실뿐 아니라 수능 종료 후 귀가 시에도 우선 배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공단은 수험생 우선 배차 안내를 위해 장애인 수험생 대상 문자 발송 및 장애인 단체에 공문 발송도 할 예정이다. 사전 예약을 미처 하지 못한 수험생의 경우에도 수험생의 수능 당일 이용 신청 시 우선적으로 배차할 계획이다. 한국영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서비스로 이동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 수험생들이 불편 없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원활한 수능시험 응시를 위해 진행하는 서비스인 만큼 수능시험 당일 다른 이용자분들의 협조와 이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설공단은 장애인들의 이동 편의 지원을 위해 2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