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4.5℃
  • 맑음강릉 12.8℃
  • 맑음서울 8.1℃
  • 박무대전 7.8℃
  • 맑음대구 8.5℃
  • 구름많음울산 10.0℃
  • 맑음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3.3℃
  • 맑음고창 8.3℃
  • 구름많음제주 16.1℃
  • 맑음강화 4.6℃
  • 맑음보은 4.5℃
  • 맑음금산 5.4℃
  • 구름조금강진군 8.7℃
  • 구름조금경주시 7.1℃
  • 구름많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한국인의 밥상' 밥상 10년, 결혼생활 50년 최불암이 밝히는 부부의 맛

  • 등록 2020.05.21 14:04:13

 

[TV서울=신예은 기자] 한국인의 밥상 지킴이란 타이틀이 전혀 어색하지 않은 배우 최불암. 벌써 10년 째 친근한 진행으로 전 연령층에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는 그는, 팔불출 소리를 들을 만큼 소문난 애처가다. 아내가 보고플 때면 촬영장에서도 간간히 핸드폰 속에 저장해둔 사진을 꺼내볼 정도다. 최불암 김민자 부부는 4년여 간 열애 끝에 1970년 부부의 연을 맺었다. 그리고 50년이 지난 지금, 아내 김민자 얼굴을 보기만 해도 여전히 설렌다는 최불암은 자신이 만든 부부의 맛을 숭늉같이 구수하다고 말한다.

5월은 가정의 달이다. 그런데 어린이날과 어버이날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날이 바로 5월 21일 부부의 날, 둘이 하나가 된다는 의미를 담은 기념일이다. 흔히들 부부를 연리목(連理木)에 비유한다. 서로 다른 나무의 줄기가 이어져 한 나무로 자라는 연리목이 서로 다른 두 사람이 만나 한 몸처럼 살아가는 부부와 닮아 있기 때문이다. 어디 나무뿐일까? 둘이 하나의 인생을 만드는 일은 음식의 맛을 내는 것과도 많이 닮았다. 5월 21일 방송하는 한국인의 밥상 '달콤 쌉쌀! 부부, 이 맛에 산다'에서는 다양한 맛을 만들며 사는 진기한 부부들을 만난다. 그들은 사랑, 정, 미움, 등 다양한 감정들을 실어 자신만의 밥상을 차린다. 밥상 위에 만들어낸 맛 하나로 부부의 삶을 들여다보는 남다른 통찰력이 돋보이는 프로그램이다.

횡성읍 정암2리에는 소문난 잉꼬부부가 살고 있다. 어딜 가든 두 손 꼭 잡은 채 함께 다니는 도호근-전금례 부부가 바로 그 주인공. 평소 청바지를 즐겨 입어 청바지 커플이라고도 불리는 이들 부부는 결혼생활 62년차다. 좋아하는 아내를 위해 꽃을 꺾어다 주는 도호근 어르신과 남편 앞에서 늘 예쁘게 보이고픈 전금례 어르신. 부부가 함께한 세월만큼 주름은 늘었지만 전금례씨는 일생을 함께하는 동반자이자 유일하게 마음을 터놓는 가족이었다. 그래서 아내를 위한 일이라면 무엇이든 솔선수범이다. 이런 사람 세상에 없으니 다시 태어나도 꼭 배우자로 다시 만날 거라는 도호근 전금례 부부의 달달하면서도 구수함이 배어있는 일상을 만나러 가보자.

아내 전금례씨는 남편을 위한 요리로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한다. 새우, 홍합 듬뿍 넣고 만든 해물찜은 남편 도호근씨가 좋아해 밥상에 자주 올라가는 단골메뉴. 막장 넣어 삶은 돼지막창과 산양삼을 고추장양념에 버무려 완성한 산양삼돼지막창볶음은 이 집만의 별미다. 도호근 전금례 부부의 또다른 별식이 있는데, 콩을 갈아 만든 콩죽. 여기엔 특별한 사연이 있다. 2004년 뇌졸중으로 병원에 입원한 아내를 위해 남편 도호근씨가 입원기간 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일 만들었던 음식이 바로 콩죽이다. 아내를 위한 남편의 사랑이 담긴 콩죽과 더불어 조청에 담가 달달함을 더한 약과까지. 고소한 인생을 살고 있는 도호근 전금례 부부의 애정 듬뿍 담긴 밥상을 맛보러 가보자.

꽃이 만발하는 5월, 벌들이 꿀을 모으는 시기라 양봉농가들이 한참 바쁜 시기다. 그래서인지 가평군 설악면의 한 양봉장에서 두 사람의 투닥거림이 끊이질 않는다. 그 주인공은 바로 이종인-김봉남 부부. 이들 부부는 군대에서 만나 전역 후 귀농해 벌을 키우며 살고 있다. 두 사람의 손발이 척척 맞다가도 종종 티격거리는 경우가 있는데, 탐구심과 모험심 강한 이종인씨 때문. 그런 성격을 이해하고 남편 의견에 전적으로 따르던 봉남씨가 요즘은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며 부딪히기도 한다. 하지만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기란 말이 있듯이 언제 그랬냐는 듯 금세 다정한 사이가 된다. 인생의 반 이상을 함께 살아왔기에 일벌과 여왕벌처럼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가 되었다는 종인 봉남씨. 달달하고도 쌉싸름한 하루하루를 보내는 이들 부부의 분봉하는 날을 함께 하러 가보자.

양봉 부부라 즐길 수 있는 호사 중 하나가 자연에서 채취한 벌집을 먹는 것. 꿀만 먹어도 맛있지만 삼겹살 위에 올리면 벌집이 녹으면서 벌집의 원료인 천연 밀랍도 녹아내린다. 벌집삼겹살 위에 소금 한 꼬집을 얹으면 중독성 강한 단짠을 느낄 수 있다. 남편 이종인씨가 백숙을 만들 때 이용하는 화덕에 비밀이 숨어있다. 바로 피타고라스 정의(?)에 의한 황금비율에 맞춰 화덕을 제작한 것. 백숙을 만들 때 찹쌀을 닭 속이 아니라 끓는 육수에 넣는 것이 종인씨만의 백숙 레시피! 꿀과 밀란(식초에 삭힌 달걀)을 섞어 만든 꿀밀란은 양봉 부부라 만들 수 있는 건강음료다. 여기에 꿀마늘에 닭튀김을 졸여낸 꿀마늘닭강정까지. 꿀 농사 지으며 달콤쌉싸름한 하루하루를 보내는 이종인 김봉남 부부의 꿀 떨어지는 밥상을 만나 보자.

양평군 단월면 비닐하우스에서 수경재배로 쌈채소를 키우며 살고 있는 박창섭-김지연 부부를 만났다. 이들 부부의 수경재배에는 특별한 비밀이 있다. 바로 장어와 쌈채소를 함께 키우는 것. 배관을 통해 장어에게서 나온 유기물을 쌈채소로 전달한다. 장어 유기물이 들어있는 물로 쌈채소를 키우는 유기농 농법이다. 박창섭씨는 결혼 후 마음 속에 품고 있던 농업인의 꿈을 실현시켜 올해 초, 본격적으로 아내 김지연씨와 함께 농사일을 시작하였다. 두번째 맞이한 결혼기념일을 챙기지 못할 만큼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 농사도, 결혼도 새내기 부부 창섭씨와 지연씨. 예측할 수 없는 상황들에 오늘보다 내일이 더 기대된다는 이들 부부의 새콤달콤한 신혼 생활을 만나러 가보자.

장어를 출하하기 전 부부는 미리 장어를 구워 맛을 본다고 한다. 그때 그때 출하하는 장어의 맛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더 다양한 방법으로 장어를 즐기기 위한 연구를 한다. 자신의 꿈 때문에 고생하는 아내를 위해 남편 창섭씨가 보양식을 만든다. 장어뼈로 끓인 육수에 쌈채소와 버섯, 장어를 넣어 만든 장어버섯전골이 그 주인공. 쌈채소와 밥을 넣고 만든 김밥 위에 잘 구운 양념 장어를 얹으면 장어쌈채소김밥. 여기에 직접 만든 채소빵에 장어튀김과 쌈채소, 오미자청을 넣은 채소빵샌드위치부터 장어와 쌈채소를 새콤달콤하게 무쳐낸 장어샐러드까지. 박창섭-김지연 부부는 서툴지만 정성 가득한 마음으로 키워낸 산물들로 새콤달콤한 한 상을 차려낸다.


120다산콜, 주한스페인·스웨덴상공회의소와 외국인 상담 활성화 협력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 120다산콜재단(이사장 이이재)은 11월 3일, 주한스페인상공회의소(회장 로제 로요) 및 주한스웨덴상공회의소(회장 그레이스 오)와 ‘외국어 상담 서비스 홍보 및 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120다산콜재단’은 “서울시 민원을 전화 한 통화로 해결한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120다산콜센터로 출범하여 종합적·전문적 시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 시민 만족 및 소통 편의성 제고에 힘써오고 있다. ‘주한스페인상공회의소’와 ‘주한스웨덴상공회의소’ 는 한국과 스페인·스웨덴 양국 간의 경제와 문화 교류를 촉진하며, 양국 기업의 한국 진출, 한국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기관이다 양 기관은 ▴120다산콜 외국어 상담 서비스에 대한 홍보 자료 제공 ▴스페인·스웨덴 국적 경제인의 서울 거주 생활편의 향상을 위한 상호 정보 공유 ▴경제·생활 관련 상담 연계 및 지원 ▴기타 상호 교류·협력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로제 로요 주한스페인상공회의소 회장은 “서울에서 생활하는 스페인 경제인과 교민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편의 제공을 위해 120다산콜재






정치

더보기
박지원, "北김영남 사망에 조의… 정부, 대북특사로 파견해달라"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의원이 4일 김영남 전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사망에 조의를 표하며 대북 특사 파견을 자청했다. 박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유족들과 북한 주민들께 심심한 위로를 드리며 여건이 허락한다면 제가 조문 사절로 평양을 방문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김 전 상임위원장에 대해 "훤칠한 키에 미남, 조용한 외교관 출신으로 저와는 10여 차례 만났고 김정일·김정은 두 위원장께서도 김 (전) 상임위원장을 깍듯이 모시던 기억이 새롭다"고 언급했다. 이어 "과거 김대중 대통령(DJ) 서거 때 북한에서 김기남 비서 등 조문 사절단이 오셨고, 김정일 위원장 조문 사절로 고 이희호 여사께서 다녀오셨다"며 사절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북한도 (특사를) 받아들이고, 우리 정부에서도 박지원을 특사로 보내시길 간곡히 호소한다"며 "오늘 국회에서 만난 정동영 통일장관께도 말씀드렸고, 오후 국가정보원 국정감사가 있으니 국정원장께도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 출신인 박 의원은 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내던 2000년 김 전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북측과 접촉, 6·15 남북정상회담 성사 과정에서 막후에서 역할을 했다. 그는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