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5.2℃
  • 맑음강릉 9.2℃
  • 맑음서울 6.6℃
  • 맑음대전 8.6℃
  • 맑음대구 9.1℃
  • 맑음울산 10.1℃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11.0℃
  • 구름조금고창 9.6℃
  • 맑음제주 13.4℃
  • 맑음강화 5.8℃
  • 맑음보은 6.8℃
  • 맑음금산 8.4℃
  • 맑음강진군 11.4℃
  • 맑음경주시 10.1℃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영혼수선공’ 신하균, 절망의 늪 빠진 ‘후배 의사’ 안동구 구할까?

  • 등록 2020.06.02 15:12:57

 

[TV서울=신예은 기자] '영혼수선공' 신하균이 절망의 늪에 빠진 ‘후배 의사’ 안동구에게 손길을 내미는 모습이 공개돼 궁금증을 높인다. 병원 밖에서 훈훈한 브로맨스 케미를 자아내는 두 사람의 모습이 포착된 가운데 신하균이 ‘인생 선배’로서 어떤 처방을 내릴지 궁금증이 증폭된다.

KBS 2TV 수목드라마 ‘영혼수선공' 측은 2일 레지던트 노우정(안동구 분)을 절망의 늪에서 구하는 이시준(신하균 분)의 모습을 공개했다.

‘영혼수선공’은 마음이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것이 아닌 ‘치유’하는 것이라고 믿는 정신의학과 의사들의 이야기를 담는 마음처방극이다. ‘쩐의 전쟁’, ‘동네변호사 조들호 시즌 1’ 이향희 작가와 ‘브레인’, ‘공부의 신’, ‘내 딸 서영이’ 유현기 PD가 의기투합한 작품으로 신하균, 정소민, 태인호, 박예진 등 연기파 배우들이 총출동해 가슴 따뜻한 이야기를 선사한다.

우정은 레지던트 3년 차로 시준 팀의 반장 역할을 하고 있는 인물이다. 평소 시준을 존경해 시준 같은 훌륭한 정신과 의사가 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고, 시준도 그런 우정을 깊이 신뢰하며 돈독한 선후배 케미를 자랑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공개된 스틸에는 의사 가운이 아닌 사복 차림으로 병원 밖에서 비밀스러운 대화를 나누는 시준과 우정의 모습이 담겼다. 알고 보니 우정이 뜻밖의 사건을 계기로 큰 절망에 빠졌고 이를 보다 못한 시준이 우정의 ‘영혼수선공’을 자처하고 나선 것.

시준은 굳은 얼굴의 우정을 푸근한 미소로 바라보는가 하면 어깨를 툭툭 치는 위로의 손길로 보는 이들의 마음까지 따뜻하게 한다. 특히 시준은 우정의 ‘의사 선배’이자 ‘인생 선배’로서 진심 어린 조언을 건넬 예정. 우정은 물론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선사할 시준의 명언이 무엇일지 기대가 커진다.

‘영혼수선공’ 측은 “시준과 우정이 바람직한 브로맨스의 정석을 보여줄 것”이라며 “우정에게 닥친 위기가 무엇인지 이를 시준이 어떻게 위로할지 관심 갖고 지켜봐 달라”고 전했다.

한편 신하균, 정소민, 태인호, 박예진이 선사할 힐링 매직 ‘영혼수선공’은 오는 3일 수요일 밤 10시 17-18회가 방송된다.







정치

더보기
오세훈 “민주당, 내란세력 몰아 야당 탄압… 진짜 헌정 파괴” [TV서울=변윤수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은 28일 "국민의힘을 '내란 세력'으로 몰아 야당을 탄압하려는 민주당(더불어민주당)의 시도야말로 진짜 헌정 파괴"라고 비판했다. 오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민주당은 내란 몰이 야당 탄압을 즉각 중단해야 합니다'란 제목의 글을 올려 "민주당은 의회민주주의를 짓밟고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폭주의 끝은 오로지 국민의 준엄한 심판뿐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오 시장은 "계엄은 분명히 잘못된 결정이었고, 국민의힘은 당시 집권 여당으로 비상계엄 사태가 빚어져 이 무도한 세력에 정권을 내어준 책임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분명한 것은 국민의힘은 계엄을 공모한 정당이 아니라는 사실"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반역자, 내란 세력으로 몰아 숙청하는 것은 독재 정권이 정적을 제거하기 위해 쓰는 전형적인 방식이다. 민주당이 지금 하는 일이 바로 그것"이라고 반발했다. 이어 "정청래 대표는 국민의힘 의원들을 향해 내란공범 운운하며, 정당 해산 청구 협박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면서 "대한민국은 이재명 정권과 민주당의 소유물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오 시장은 또 "추경호 의원에 대한 특검의 기소는 민주당의 내란 몰이에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