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중년 여성의 유쾌한 성 해방기…'굿 럭 투 유, 리오 그랜드'

  • 등록 2022.07.28 10:16:06

 

[TV서울=신예은 기자] 은퇴한 중등교사 낸시 스토크스(엠마 톰프슨 분)는 단 한 번도 성적 쾌감을 느껴본 적이 없다.

남편과 사별한 지 2년,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 자신 곁을 떠나고 홀로 남은 그는 고민 끝에 리오 그랜드(대릴 매코맥)의 '퍼스널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마음먹는다.

영화 '굿 럭 투 유, 리오 그랜드'('리오 그랜드')는 자신의 몸에도, 섹스에도 만족해 본 적 없는 중년 여성이 한 남성을 만나며 겪는 변화를 그린다.

 

리오와 처음 만난 낸시는 좀처럼 긴장을 풀지 못한다. 두 아이의 엄마이자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이 성매매라는 행위와 배치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근육질 몸매의 젊은 남성에게 성적 욕망을 느끼는 자기 자신이 '역겹게' 느껴지기까지 한다.

 

리오는 그런 낸시가 흥미롭다. 때로는 낸시를 지긋이 응시하면서, 때로는 낸시에게 아름답다는 칭찬을 적절하게 던져가며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고자 한다.

 

낸시는 그런 리오에게 죽은 남편과의 관계를 털어놓는다. 지난 31년 동안 그 어떤 희열 없이 매번 같은 방식으로 성관계를 해왔다는 것. 낸시는 '뭐든 다 해본 여자가 되고 싶다'는 목표를 세운다.

이어진 두 번째 만남에서도 낸시는 마음이 급하다. 직접 만들어 온 '섹스 위시리스트'에 있는 다섯 가지 항목을 2시간 이내에 모두 해결해야 한다는 목표 때문이다. 리오는 '이건 숙제가 아니다'라고 일침을 놓은 뒤 함께 춤출 것을 제안한다.

 

낸시는 수십 년을 갖고 살아온 고정관념을 내려놓고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영화는 욕정을 죄라 여기던 낸시가 리오와 교감하며 변화하는 모습을 잔잔하면서도 유쾌하게 담아낸다.

 

중년의 여성과 젊은 성 노동자 남성의 관계라는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이야기에 설득력을 불어넣는 것은 두 주연 배우다. 엠마 톰프슨의 노련한 연기력, 신사적인 모습과 장난스러운 소년미를 동시에 뽐내는 대릴 매코맥의 연기는 관객이 온전히 극에 몰입할 수 있도록 만든다.

 

 

극 대부분이 호텔 방이라는 하나의 공간 안에서 펼쳐지지만 두 사람의 변화무쌍한 관계가 적절히 긴장감을 줘 결코 지루하지 않다.

'52번의 화요일'로 선댄스영화제 감독상 등을 수상한 소피 하이드 감독이 연출했다.

8월 11일 개봉, 97분, 청소년 관람 불가.


김종길 시의원, “서울 준공업지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전환 힘쓸 것”

[TV서울=변윤수 기자]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종길 의원(국민의힘, 영등포2)이 대표로 활동 중인 의원연구단체 ‘서울준공업지역 발전포럼’이 추진한 정책연구용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실현을 위한 서울시 준공업지역 규제 개선방안’이 지난 7월, 최종 완료됐다. 이번 연구는 산업 쇠퇴와 도시 노후화가 진행 중인 서울시 서남권 준공업지역의 현황을 진단하고, 직주근접과 생활여건을 갖춘 복합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김종길 의원이 2023년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도시 계획조례’ 개정을 통해 준공업지역 내 공동주택의 용적률 상한이 400%까지 완화된 것을 계기로, 서울시가 2024년 11월 발표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향후 보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됐다. 연구에서는 ‘서울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에서 제시한 ‘공장비율 10%’ 기준이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적용됨으로써, 오히려 산업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현행 ‘공장 정의’가 현실과 괴리되어 나대지나 주차장도 공장부지로 간주되는 문제를 짚으며, 공장비율 산정 기준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