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행정


외교부 "'조선인 강제노역' 반영 안되면 사도광산 등재 반대“

  • 등록 2024.06.07 17:23:36

 

[TV서울=이현숙 기자] 정부는 일본이 추진하고 있는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찬성할지는 향후 일본의 조치에 달려있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등재 관련 우리의 요구 조건이 충족되면 찬성할 것이냐는 물음에 "일본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있다"며 "우리 입장이 반영됐다고 판단하면 우리 정부는 컨센서스(전원동의) 형성을 막지는 않을 것도 검토는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일본이 등재 과정에서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을 포함한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반영하는 조치를 취한다면 등재를 반대하지는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우리 입장이 반영되지 않는다면 (등재를) 반대해야 할 것"이라면서 "가정적이지만 (그럴 경우) 끝까지 컨센서스를 막고 투표로 가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투표까지 가는 상황은 최대한 피하면서 한일 합의를 이루려는 것이 양국 정부가 원하는 목표"라며 "우리 정부도 일본 정부도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이끌고 나간다는 것에 대해 공동 인식을 갖고 있고, 다른 나라들도 한일이 그런 방향으로 나가길 바라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은 오는 7월 21일부터 23일까지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사도광산의 등재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등재 결정은 21개 WHC 위원국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성립된다는 규정이 있지만, 만장일치로 결정하는 것이 관례다. 한국과 일본 모두 WHC 위원국이다.

 

앞서 일본 문화청은 지난 6일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 전문가 자문기구는 사도광산의 등재 관련 강제노역 역사를 반영하도록 권고하는 것과 함께 '보류'(refer)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보류는 미비한 부분에 대해 추가 자료 제출 등 설명을 요구하는 것으로 자료를 보완하면 당해 또는 다음 연도에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다.

 

 

이를 두고 내용적으로 한국의 요구 사항이 상당 수준 반영됐다는 분석과 함께 지난해의 경우 보류 권고를 받은 문화유산들이 모두 결국 등재된 만큼 등재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돌입 [TV서울=이현숙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26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말레이시아로 출국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다토 모하메드 잠루니 빈 카리드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 등이 서울공항에 나와 이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의 출국을 배웅했다. 정 대표는 공군 1호기로 이동하는 도중 이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며 웃음을 짓기도 했다. 아세안 정상회의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까지 이어지는 이른바 '정상외교 슈퍼위크'의 막이 올랐다. 이 대통령은 이날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한다.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지난달 미국 뉴욕 유엔총회에 이어 취임 후 세 번째로 다자 외교 무대를 밟는다. 이 대통령은 현지 첫 일정으로 동포들과 만찬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튿날에는 가장 먼저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및 온라인 스캠 범죄 대응 공조 등 현안에 대해 협의한다. 이어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