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인천 뛰어" 가수 싸이 외침에 3만명 들썩...무더위, 물줄기로 날렸다

  • 등록 2024.08.26 06:57:40

 

[TV서울=이천용 기자] 하늘을 가르는 물줄기와 함께 싸이의 불호령이 떨어지자 관객들은 제자리에서 펄쩍펄쩍 뛰어오르며 공연장에 거대한 물결을 일으켰다.

17일 '2024 싸이 흠뻑쇼 - 서머 스웨그'가 열린 인천아시아드 주경기장에 모인 3만1천여명의 관객은 무더위라는 단어를 머리에서 지워버린 듯 리듬에 몸을 맡겼다.

해 질 녘에도 기온이 28도에 달하고 습도가 60%를 넘겨 콧잔등에 땀이 맺힐 정도였지만, 공연이 시작되고 물줄기가 쏟아지자 관객들은 땀방울이 아닌 얼굴에 흐르는 물을 닦느라 여념이 없는 모습이었다.

'새'로 공연을 시작한 싸이는 이어진 '예술이야'부터 무대 왼쪽과 오른쪽을 뛰어다니며 에너지를 뿜어냈다.

 

그는 이후 '감동이야', '뉴 페이스', '오늘 밤새'를 연달아 부르며 빠른 속도로 공연장의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노래를 부르던 중 마이크가 작동하지 않자 당황하는 기색 없이 손짓으로 관객의 호응을 유도하며 '공연 장인'의 면모를 입증했다.

관객들이 싸이의 본명인 박재상을 연호하기 시작하자 그는 "여러분의 목을 위해 제 이름을 연호하는 횟수를 5회로 제한하겠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실제로 관객들은 이름을 연호하다가도 싸이가 손가락 다섯개를 펼치자 일제히 외침을 멈춰 싸이를 놀라게 했다.

이날 공연은 "어디서 무엇이 나올지 모른다"는 사전 안내처럼 화려한 볼거리를 연달아 선사했다.

무대 중앙에서 공작이 하늘 높이 날개를 편 듯 물줄기가 뻗어가는 모습은 벅찬 광경을 연출했다.

 

해가 진 뒤에는 관객들이 손바닥에 착용한 응원용 너클밴드가 여러 가지 색으로 발광하며 공연장 분위기를 한층 끌어올렸다.

그의 공연마다 화제를 불러 모으는 게스트의 무대도 빠지지 않았다.

그룹 마마무의 화사는 '아이 러브 마이 바디'(I Love My Body), '멍청이' 등 솔로곡과 마마무 히트곡 메들리를 곁들여 관객의 떼창을 끌어냈다.

래퍼 사이먼 도미닉은 무대가 쩌렁쩌렁 울리는 성량으로 랩을 선사한 뒤 부드러운 목소리로 이소라의 발라드 '처음 느낌 그대로'를 불러 의외의 매력을 뽐냈다.

싸이 역시 '젠틀맨', '대디' 등 빠른 박자의 곡에서는 녹슬지 않은 춤 실력을 보여줬고, '어땠을까', '아버지' 등 감성적인 무대에선 목에 핏대를 세워가며 노래했다.

자신이 작곡한 '낙원'을 부르기에 앞서 "이름을 연호해 주실 때면 가수로서도 저릿하고 작곡가로서도 저릿하다"며 "두 개의 꿈이 한 번에 이뤄져서 입체적으로 행복하다"고 벅찬 마음을 꺼내 보이기도 했다.

올해 10주기를 맞은 고(故) 신해철을 위한 추모곡 '드림' 무대도 등장했다. 대형 스크린에 신해철의 모습과 함께 고인이 남긴 말인 "어쩌면 인생은 긴 꿈일지도"라는 문구가 떠올라 울림을 안겼다.

싸이는 '강남스타일', '라이크 댓'으로 본 공연을 마친 뒤 앙코르 무대에서 DJ로 변신해 공연장을 거대한 노래방으로 만들었다.

슈퍼주니어의 '쏘리 쏘리', 투애니원의 '내가 제일 잘나가', 빅뱅의 '판타스틱 베이비' 등을 연달아 들려주자 관객들은 다시 열렬한 호응을 보냈다. '막춤'을 추는 10대부터 리듬에 맞춰 몸을 흔드는 중년 부부까지 음악으로 하나 되는 모습이 대형 스크린에 나타나기도 했다.

오후 6시에 시작한 공연은 3시간을 훌쩍 넘겨 밤 10시를 향해 갔지만, 관객들은 싸이의 '뜨거운 안녕'부터 윤수일의 '아파트', 소찬휘의 '티어스' 등을 따라 부르며 주말 밤 뜨거운 추억을 남겼다.

이날 콘서트에서는 온열 질환에 대비하기 위해 공연 시작 전부터 냉각용 안개를 가동하고 휴식 공간과 의무실을 운영했다.

'2024 싸이 흠뻑쇼'는 18일 인천 이튿날 공연에 이어 24∼25일 수원, 31일 과천에서도 열린다.


신세계백화점 "폭발물 설치 게시물 허위로 확인… 정상운영 중"

[TV서울=변윤수 기자] 5일 서울 중구 명동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협박 글이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와 신고를 받고 경찰과 소방대원들이 출동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신세계백화점은 5일 본점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인터넷 게시글이 허위로 확인됐으며 현재 정상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신세계백화점은 이날 공지를 통해 "해당 게시글을 경찰조사 결과 허위로 확인됐다"며 "당사는 (폭발물 설치 게시글 관련) 상황을 전파받은 즉시 고객과 직원의 대피를 실시했으며 현재 영업현장은 안전하게 정상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게시물과 관련해 "허위사실로 사회적 불안을 조성하고 고객의 안전을 위협한 행위"라고 지적하고 "법적 대응을 포함한 강력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합성 갤러리'에는 이날 낮 12시 36분께 '신세계백화점 폭파 안내'라는 제목으로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주장과 함께 테러를 암시하는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는 "오늘 신세계백화점 절대로 가지 마라"며 "내가 어제 여기에 진짜로 폭약 1층에 설치했다. 오늘 오후 3시에 폭파된다"고 적었다. 신세계백화점은 오후 1시 59분경 남대문경찰서로부터 폭

태국-캄보디아, 말레이서 휴전 조건 협상 개시… 7일까지 회의

[TV서울=나재희 기자] 무력 충돌 후 불안한 휴전 상태를 이어가는 태국과 캄보디아가 구체적인 휴전 조건을 확정하기 위해 나흘간의 협상에 들어갔다. 5일(현시지간) AP·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양국은 전날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양국 정부 협의체인 공동경계위원회(JBC) 사전 회의를 시작했다. 사전 회의와 본 회의를 합해 오는 7일까지 열리는 이번 회의는 당초 캄보디아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올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의장국이자 이번 휴전을 중재한 말레이시아로 장소가 바뀌었다. 모흐드 니잠 자파르 말레이시아군 합참의장은 아세안 회원국들이 휴전 감시단을 구성해 현지에 파견하기로 하고 세부 사항과 업무 범위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회담 마지막 날인) 목요일(7일)까지 매우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양국은 휴전 조건 회담이 진행 중인데도 신경전을 지속하고 있다. 캄보디아 국방부는 태국이 국경 분쟁 지역에서 굴착기를 사용하고 철조망을 설치, 휴전 협정을 위반했다고 비난했다. 반면 태국군은 캄보디아 측이 주요 지역에 병력을 증강하고 진지를 손봤다는 보도가 있다






정치

더보기
국민의힘, "이춘석 법사위원장 차명주식거래 고발“ [TV서울=나재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이춘석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휴대 전화로 주식 거래를 하면서 타인 명의를 사용했다는 의혹이 5일 제기돼 국민의힘이 형사 고발 방침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은 해당 의혹에 대한 진상조사에 착수했으며 이 의원은 본회의장에서 주식 거래창을 본 것에 대해서는 사과하면서도 차명 거래는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이날 한 매체는 이 위원장이 전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해 타인 명의의 주식 거래창에서 주문을 넣는 모습을 포착한 사진을 송고했다. 해당 매체에 따르면 이 위원장이 들여다보는 휴대전화 화면에는 네이버와 LG CNS 주식 거래 창이 떠 있었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위원장을 금융실명법 등 실정법 위반으로 형사고발하고,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할 것"이라며 "이 위원장은 법사위원장 직에서 사퇴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이 위원장의 올해 초 재산 신고에는 주식을 소유한 내역이 없었고, 보도에 따르면 보좌관 명의로 주식을 거래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차명 주식거래는 명백한 법령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당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논평에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