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종합


어민들 "어획량 점점 줄어"...내수면 수온 변화도 심상찮다

  • 등록 2025.02.23 07:51:22

 

[TV서울=권태석 인천본부장] 바다 없는 충북에도 바다 처럼 넓은 인공호수가 있다.

바로 충주댐 건설로 만들어진 유역면적 67.5㎢, 담수량 27억5천만t의 남한강 청풍호다.

청풍호는 제천지역에서 부르는 이름이고, 충주는 충주호, 단양은 단양호라고 명명한다.

천혜의 어장인 이곳을 삶의 터전으로 물고기를 잡는 어부들은 어획량이 줄어 생업을 유지하기가 힘들어졌다고 푸념한다.

 

지자체들과 자율관리어업공동체가 쏘가리, 붕어, 뱀장어 등 인기어종을 중심으로 치어 방류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어업 환경이 날로 악화하고 있어서다.

청풍호에서 30년 넘게 민물고기를 잡아 온 베테랑 어부 김상미(55)씨는 23일 연합뉴스 통화에서 "수온 변화와 외래·유해 어종 등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걱정했다.

실제 지난해 충북의 내수면 어로어업 생산량은 366.6t으로 전년도보다 46t 감소했다.

작년 어종별 생산량은 다슬기(127.8t), 잡어(60.2t), 붕어(37t), 쏘가리(28t), 블루길(22.4t), 빙어(20.4t), 동자개(15.5t), 잉어(14.9t), 메기(14.4t), 배스(11.6t), 뱀장어(6.4t), 대농갱이(3.8t), 피라미(2.2t), 가물치(1.3t), 은어(0.7t) 등 순이다.

어획량이 예전과 같지 않자 어업현장을 등지는 어민들도 있다.

 

2023년 기준 제천 한수·수산·청풍·금수의 어업계 계원 수는 84명으로 2019년(113명)보다 29명 줄었다.

충북 내수면 전역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충북도가 지난해 11월 발간한 '내수면어업 중장기 발전방안'을 보면 2023년 현재 도내 47개 내수면 어업계 계원 수는 471명으로 2019년(579명) 대비 108명 감소했다.

도가 지난해 3월 28일부터 한 달간 도내 내수면 어업인 165명과 시·군별 담당 공무원 61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 조사에서 63%가 최근 5년간(2020∼2024년) 내수면어업 수산물 생산 실적이 줄었다고 응답했다.

급격하게 감소했다는 답도 29.7%나 됐다.

수산물 생산실적이 감소했다고 말한 응답자의 47.5%는 그 이유를 수온 상승 등 서식환경 변화로 지목했다.

육지 유입 오염원(32.7%), 불법 어업(8.9%), 유해 어종·조류 등 기타(10.9%) 때문이라는 답도 있었다.

차민 충북도내수면연구소 연구사는 "어류는 환경변화에 따라 체온이 바뀌는 변온동물이라 생존에 가장 알맞은 최적 기온이 아니면 버티지 못하고 폐사한다"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바다는 수온에 따라 이동할 수 있지만 갇혀있는 내수면의 경우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한국수자원공사의 '물 정보포털' 다목적댐 수질정보에 따르면 충주댐(충주댐2)의 온도(9월)는 2020년 21.8도, 2021년 23.5도, 2022년 20.9도, 2023년 26.3도, 2024년 28.5도로 상승하고 있다.

대청댐(대청댐3)도 2020년 20.4도, 2021년 25.6도, 2022년 25.8도, 2023년 26.1도, 2024년 26.6도로 수온이 오르고 있다.

수온 변화로 인한 폐사 사례도 있다.

2018년 냉수성 어종인 빙어가 한 달 넘게 이어진 폭염으로 수온이 급상승해 대청호에서 떼죽음한 적이 있다.

수온이 오르면서 열대성 어종인 배스 등 외래어종의 활동성이 활발해지고, 이 때문에 토종 물고기 개체 수가 감소했을 가능성도 크다.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김명석 연구관은 "내수면 어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고수온, 질병 등에 잘 견디는 품종 개량 연구에 힘쓰는 동시에 치어 방류와 유해어종 퇴치 등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6∼7일 비구름대 북에서 남으로 이동하며 비

[TV서울=이현숙 기자] 폭우가 하루걸러 또 내리겠다. 4일 기상청에 따르면 6∼7일 폭 좁은 띠 모양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를 북쪽에서 남쪽으로 훑고 지나면서 비를 뿌릴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6일 새벽부터 오전 사이 저기압이 북한 쪽을 지나면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오겠다. 남부지방에도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대기가 매우 불안정해지면서 비가 내리겠다. 북서쪽에서 차고 건조한 공기가 재차 남하하면서 이 공기와 우리나라에 이미 자리한 건조공기 사이의 좁은 길로 남서쪽에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강하게 유입되면서 저기압이 발달하겠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비구름대는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해 나가면서 북서쪽에서 내려오는 차고 건조한 공기에 밀려 6일 오후 들어 점차 남하하겠다. 이후 비구름대는 6일 밤에서 7일 아침 사이 남부지방에 걸쳐진 채 재차 강화되겠다. 이번에 비를 뿌릴 비구름대는 동서로 길이는 길고 남북으로 폭은 좁겠다. 대기 상층 차고 건조한 공기가 하층 공기를 강하게 누르면서 이런 띠 모양 비구름대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띠 모양 비구름대는 구름대가 걸쳐지는 지역에 '국지성 극한호우'를 뿌린다. 이번의 경우 비구름대를 남쪽으로 미는 북쪽 한랭건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