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관리자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는 24일 "인공지능은 우리 경제의 혁신을 촉진할 새로운 성장 엔진이자 국가 대전환의 강력한 동인"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회 과학기술 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대통령께서 얼마 전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에서도 AI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 혁신의 핵심이라고 말씀하셨다"며 "AI 시대를 열기 위한 투자 확대와 성장 토대의 단단한 다짐을 위해 정부가 매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모두를 위한 AI'라는 비전 아래 혁신의 성과가 골고루 확산하도록 힘쓰겠다"며 이를 위해 "전 부처가 합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가 AI 대전환(AX)이 오늘 회의의 주요 의제"라며 "(회의는) 국방, 과학기술, 산업 등 분야별로 진행되는 AI 대전환 논의를 통해 국가 차원의 통합 전략을 만드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회의 의장인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인사말에서 "성공을 위해선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우리가 원팀으로 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급변하는 환경에서의 속도전이 또 중요한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학기술 (관계)장관회의가 R&D(연구개발), 인공지능 기술 확보와 사업화를 위해 건설적이고 신속하게 (사안을) 논의할 수 있는 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선 'AI 민생 10대 프로젝트 추진방안', '국방 AX 전략', '제조 AX 추진방향', '한-아랍에미리트(UAE) 국빈방문 AI분야 성과 및 후속조치' 등 모두 10개 안건의 논의가 진행됐다.
먼저 'AI 민생 10대 프로젝트'에는 'AI 농산물 알뜰 소비정보 플랫폼', 'AI 기반 보이스피싱 공동 대응 플랫폼', '아동청소년 위기 대응 서비스' 등이 포함됐다.
국방 분야에선 거버넌스 강화, 인프라 구축, 환경·생태계 조성이라는 3대 축을 토대로 우선 순위를 고려해 국방 전 영역에 AI를 적용해 나가기로 했다.
AI 업무 총괄 조직 정비 및 국방 AI 위원회 신설, 국방통합 AI 데이터센터 구축(GPU 1만∼5만 장 수준), 국방 AX 거점(2026년 5개소) 구축 등이 골자다.
과학기술 분야에선 GPU·데이터 등 핵심 인프라 접근성을 높이고, 산·학·연 우수 연구자가 협력하는 혁신 생태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제조업 관련해선 민관 협의체인 'M.AX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한편 AI 팩토리 선도사업, AI 탑재 제품 신시장 창출 등에 노력한다.
또 중소기업 AI 활용을 지원하고자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을 집중 육성하는 등 'AI 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3.0'을 추진한다.
정부는 앞으로 과학기술 관계장관회의를 원칙적으로 매달 개최해 과학기술·AI 정책 및 전략을 논의하고 이행 현황을 점검할 방침이다. 연석회의, 현장방문, 민간전문가 라운드테이블 등 다양한 형식도 활용한다.
이날 회의에는 최교진 교육부 장관, 안규백 국방부 장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등 장·차관과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 송기호 국가안보실 경제안보비서관 등도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