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수)

  •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7.6℃
  • 박무서울 3.5℃
  • 구름많음대전 5.5℃
  • 박무대구 3.0℃
  • 연무울산 5.4℃
  • 구름많음광주 7.0℃
  • 맑음부산 6.9℃
  • 구름많음고창 6.4℃
  • 흐림제주 10.3℃
  • 맑음강화 1.0℃
  • 흐림보은 5.0℃
  • 흐림금산 4.9℃
  • 맑음강진군 4.0℃
  • 맑음경주시 5.3℃
  • 맑음거제 7.2℃
기상청 제공

정치


정부, 차세대 태양광 모듈 2028년 세계 최초 상용화 목표

  • 등록 2025.11.26 08:53:37

 

[TV서울=변윤수 기자] 정부가 차세대 태양광·전력망·소형모듈원자로(SMR) 등 6개 기후·에너지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초혁신경제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차세대 태양광 모듈을 2028년까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고, 차세대 전력망 구축도 추진한다. SMR은 세계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주재하고 이런 내용의 '초혁신 15대 선도 프로젝트' 세 번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초고효율 태양광 탠덤셀 모듈을 2028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다는 목표다. 기존 태양전지 효율이 기술적 한계에 도달하고 중국 독점 구조가 굳어진 가운데 우리나라 탠덤셀 기술을 통해 효율을 높이고 건물 외벽·지붕 건물 자체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탠덤셀은 두개의 층을 사용해 빛을 흡수하고 효율을 높인 태양전지다.

정부는 기업과 연구기관, 표준·인증 관련 기관 등으로 구성된 추진단을 구성하고 연구개발(R&D), 실증연구 등을 지원한다.

재생에너지 확대를 뒷받침할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도 구축한다.

차세대 전력망이란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분산 자원을 인공지능(AI) 기술로 제어해 전력 생산·저장·소비를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이다.

정부는 전남을 선도기지로 구축해 전국으로 확산하기로 하고, 캠퍼스·군부대·공항 등에서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을 추진한다.

 

원전 분야에서는 i-SMR(경수형)과 차세대 SMR(비경수형)을 병행 개발해 국산 SMR을 다변화하고, 2030년 글로벌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경수형의 경우 내년 i-SMR 표준설계 인가를 신청해 2028년까지 획득하고, 2029년 SMR 제작 지원 센터를 구축한다. 비경수형은 2027년 개발 신규 프로젝트에 착수할 계획이다.

밸류체인을 구성하는 기업들과 주관부처, 관련기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추진단은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법·제도를 정비한다.

창원·부산·경주에 SMR 기자재 제작장비 공용활용센터를 구축하고, 원전산업성장펀드를 조성해 SMR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을 지원할 방침이다.

초대형 풍력 터빈, 부유식 해상풍력 등 차세대 풍력 기술개발·실증으로 해상풍력 보급 속도도 높인다.

내년 20㎽+급 터빈·핵심부품 개발에 착수해, 2027년 터빈을 설계하고 2028년 부유식 수직축 시스템 초기 설계를 완료한다. 2029년에는 부유식 요소 부품 상용화 개발·실증을 한 뒤 2030년 20㎽+급 터빈을 제작·실증하는 단계적 구상이다.

멀리 전기를 대용량 보낼 수 있는 초고압 직류송전(HVDC) 기술은 핵심 기자재 기술을 개발하고, 2030년 실증 선로 건설을 추진한다.

중장기적으로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를 구축하겠다는 목표 아래 내년 설계기술을 확보, 2027년 시제품 검증, 2028∼2029년 제작·설치해 2030년 실증하는 것이다.

정부는 그린수소의 경우 대용량 수전해 시스템 개발과 대규모 생산·저장 실증으로 선진국 수준의 생산기술을 확보하고 생산 역량·경제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프로젝트별 세부 실행계획을 계속 업데이트하고 내년 4월까지 2027년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영등포구, 12월 10일 ‘통합 신청사 건립 주민설명회’ 개최

[TV서울=변윤수 기자] 영등포구가 오는 12월 10일 오후 2시 30분 영등포 아트홀에서 ‘영등포구 통합 신청사 건립 주민설명회’를 열고, 추진 경과와 설계안을 주민들에게 공유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경과보고 ▲설계안 설명 ▲질의응답 등이 진행되며, 향후 건립될 신청사에 대한 주민 의견을 듣는 소통의 장이 마련된다. 영등포구청사는 1976년 준공돼 50여 년이 지난 노후 건축물로, 현재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늦게 신청사 건립을 추진 중이다. 앞서 구가 실시한 구민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 71%가 ▲본관과 별관의 이원화 ▲시설 노후화 ▲주차 공간 부족 등을 이유로 신청사 건립 필요성에 공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구는 2023년부터 타당성 조사, 투자심사, 공공건축심의, 도시관리계획 결정 등 사전 행정 절차를 차근히 밟아왔다. 이어 지난 10월 30일 국제설계공모 당선작을 발표하며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통합 신청사는 현재 당산근린공원에 새로 건립해 이전한 뒤, 기존 구청사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공원을 재조성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구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임시청사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현 당산근린공원 부지 일부






정치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