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구름많음동두천 12.0℃
  • 흐림강릉 11.8℃
  • 흐림서울 15.0℃
  • 흐림대전 14.6℃
  • 대구 14.4℃
  • 울산 14.3℃
  • 광주 13.9℃
  • 부산 14.9℃
  • 흐림고창 14.7℃
  • 제주 17.7℃
  • 흐림강화 12.1℃
  • 흐림보은 12.8℃
  • 흐림금산 13.8℃
  • 흐림강진군 14.0℃
  • 흐림경주시 12.9℃
  • 흐림거제 14.8℃
기상청 제공

사회


내년부터 생활쓰레기 줄이지 않으면 처리비용 높아진다

수도권매립지 사용기간 연장 위한 특단의 조치!<p>자치구별로 감량목표 달성 못하면 자원회수시설 반입수수료 더 많이 부담해야!

  • 등록 2014.12.23 11:15:49

내년부터 생활쓰레기를 줄이지 않으면 자원회수시설 반입수수료를 더 많이 내야한다.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장흥순 의원
(새정치민주연합, 동대문4)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자원회수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1219일 서울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내년부터 자원회수시설로 반입되는 생활폐기물 양에 따라 반입수수료를 더 많이 부과하거나, 적게 부과할 수 있도록 되었다.

현재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량은 수도권매립지 사용기간 연장이 된다 하더라도 일정시기 이후부터는 생활폐기물 직매립금지가 예견된 상황에 있어 서울시 자체 처리시설에서 전부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재활용을 통한 감량노력이 절박한 상황이다
.

현재 서울시 자원회수시설에서 처리하기 위해 징수하고 있는 생활폐기물 톤당 반입수수료는 반입량에 관계없이
, 1톤당 20,050원을 일률적으로 부과징수하고 있어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반입량에 따라 반입수수료를 탄력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장흥순 의원에 따르면
현재 수도권매립지에 직접 매립되고 있는 생활쓰레기량은 하루 평균 741톤정도인데, 수도권매립지의 사용기간 연장을 위해서라도 생활쓰레기가 직매립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문제로 인해 인천시민이 겪고 있는 고통을 분담한다는 측면에서도 생활쓰레기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13
년 현재 수도권매립지 및 공공자원회수처리시설에 반입되는 생활폐기물량은 13,023톤이며, 이중 2,282톤은 소각처리되며, 나머지 741톤은 직접 매립되고 있다.

 

총 발생량

생활폐기물

재활용품

음식물

 

8,496

매립

소각

2,349

 

3,156

3,023

741

2,282

 

장흥순 의원은수도권매립지의 사용기간이 2016년도 끝나게 되면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주민들이 모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면서 서울시의 생활쓰레기 줄이기 정책이 빠른 시일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서울시설공단, 수능당일 장애인 수험생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설공단(이사장 한국영)은 오는 1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치르는 장애인 수험생을 위해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서울장애인콜택시에 등록된 수험생 고객(보행상 장애가 있는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예약은 시험 당일인 11월 13일까지 가능하다. 전화(1588-4388 또는 02-2024-4200)로 신청하면 되고 수능 당일 고사장 입실뿐 아니라 수능 종료 후 귀가 시에도 우선 배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공단은 수험생 우선 배차 안내를 위해 장애인 수험생 대상 문자 발송 및 장애인 단체에 공문 발송도 할 예정이다. 사전 예약을 미처 하지 못한 수험생의 경우에도 수험생의 수능 당일 이용 신청 시 우선적으로 배차할 계획이다. 한국영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서비스로 이동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 수험생들이 불편 없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원활한 수능시험 응시를 위해 진행하는 서비스인 만큼 수능시험 당일 다른 이용자분들의 협조와 이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설공단은 장애인들의 이동 편의 지원을 위해 2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