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김용숙 기자]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제재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면서 한국 경제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한국은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 않은 편이지만,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에 동참하는 나라가 늘어나면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 채무불이행(디폴트)이 현실화하면 개별 기업이나 금융시장 타격도 만만찮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9일 전문가들에 따르면 미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조치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 가장 우려되는 점은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물가 상승이다.
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123.70달러에 거래를 마쳐 종가 기준 2008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만약 러시아산 원유 의존도가 높은 유럽연합(EU) 등이 수입 금지 조치에 동참할 경우 유가는 더욱 폭등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정유업계의 러시아산 원유 비중은 5% 남짓으로 미미한 수준이기에 한국이 수입 금지에 동참하더라도 직접적인 타격은 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각국이 러시아산 원유 대체 물량 확보 경쟁을 벌이면 국제유가 전체가 크게 오르게 된다는 점이 문제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러시아의 석유 수출이 차단되면 500만 배럴 이상의 공급이 감소해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까지 오를 수도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정민현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부연구위원은 "미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조치는 어느 정도 시장에 선반영된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당분간 고유가가 지속되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앞으로 동참국이 늘어날수록 국제유가가 더 오르고 이는 국내 물가에도 타격을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