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6 (일)

  • 구름많음동두천 1.3℃
  • 흐림강릉 3.7℃
  • 구름많음서울 2.0℃
  • 맑음대전 0.8℃
  • 맑음대구 2.1℃
  • 맑음울산 3.4℃
  • 구름많음광주 2.1℃
  • 맑음부산 2.7℃
  • 구름많음고창 1.3℃
  • 구름많음제주 4.4℃
  • 맑음강화 1.5℃
  • 구름많음보은 0.3℃
  • 구름조금금산 -0.1℃
  • 구름조금강진군 ℃
  • 맑음경주시 2.8℃
  • 맑음거제 2.3℃
기상청 제공

사회


전국 의료공백 장기화…33개월 아기 이송 거부 끝에 숨져

  • 등록 2024.03.31 19:59:41

 

[TV서울=박양지 기자] 전국적인 의료 공백 장기화에 따라 환자들의 불편과 불안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진료 축소 논의까지 이뤄지며 사태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충북 보은에서는 도랑에 빠진 생후 33개월 아기가 상급종합병원 이송을 거부당한 끝에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 병원 9곳에서 모두 '이송 거부'…아기 사망

31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 30분께 충북 보은군 보은읍에서 생후 33개월 된 A양이 주택 옆 1m 깊이의 도랑에 빠져 있다는 신고가 119에 접수됐다.

 

아버지에게 구조된 A양은 심정지 상태로 119구급대에 의해 보은의 모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후 병원 측 심폐소생술과 약물 투약 등 응급치료를 받고 같은 날 오후 5시 33분께 심전도 검사(EKG)에서 맥박이 돌아왔다.

병원은 A양의 상태가 심장이 다시 뛰어 혈액이 도는 자발적순환회복(ROSC)에 이른 것으로 판단해 추가 치료를 위한 상급종합병원 이송을 추진했다.

이를 위해 병원 9곳(충북 1곳, 대전 3곳, 세종 1곳, 충남 2곳, 경기도 2곳)에 전원을 요청했으나 병상 부족을 이유로 이송을 거부당했다.

그러는 사이 A양은 오후 7시 1분께 다시 심정지 상태에 빠졌고, 약 40분 뒤 최종 사망 판정을 받았다.

 

이송을 거부한 9곳 이외에 A양을 받을 수 있다고 연락을 준 곳은 오후 7시 29분께 대전의 한 대학병원이 유일했다.

이에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의료공백 사태로 전원을 거부한 것은 아니다"라며 "보은에서 40분 거리인 우리 병원으로 옮겨올 경우 오히려 환자의 상태가 더 악화할 가능성 때문에 전원을 받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병원 관계자도 "소아청소년과 중환자실은 평소에도 자리가 많지 않다"며 "상급종합병원에 병상이 없으니, 환자를 수용할 수 없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 의대 교수 사직서 제출 계속…외래진료 축소

집단행동에 들어간 전공의들의 복귀 조짐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과 진료 축소가 이어지고 있다.

광주에서는 사직서 접수를 마감한 전남대학교와 조선대학교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추후 대응 방안을 결정하는 회의를 열기로 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전남대 의대·전남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9일까지 200명 이상의 개별 교수들로부터 사직서를 제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대 의대·충남대병원·세종충남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도 지난 29일 전체 336명의 교수 중 절반 이상이 낸 사직서를 모아 학교 학장과 병원장에게 제출했다.

충북대병원·의대 교수 200여명 가운데 80여명도 사직서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장을 지키는 의료진의 피로도가 한계점에 이르면서 진료 축소 움직임도 계속되고 있다.

대구의 경북대병원은 지난 25일부터 중환자나 응급환자 진료를 위해 외래진료를 축소했고 계명대 동산병원은 다음 달부터 일부 병동 운영을 중단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충북대병원·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내달 5일부터 매주 금요일 개별적으로 외래 진료를 휴진하기로 했다.

순천향대 천안병원은 장기간의 병원 운영 파행으로 자금난이 심화하면서 노조와 병원 측이 다음 달 1일 공동 성명을 내고 비상 경영 돌입에 따른 직원들의 협조를 촉구할 계획이다.

원광대 의대와 원광대병원 비대위는 환자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선에서 근무 시간을 재조정한다는 방침이다.

원광대 비대위 관계자는 "물리적, 체력적인 한계에 다다른 교수들이 계속해서 지금처럼 진료를 볼 경우 환자를 제대로 돌보지 못할 수 있다"며 "중증 환자 위주로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진료 시간 등을 재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정부-의료계 대화체 구성은 '요원'

정부가 의료계와 대화하겠다고 밝힌 지 1주일이 지났지만, 대화가 시작될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전공의들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에 대해 '유연한 처리'를 모색해달라면서 의료인과 건설적 협의체를 구성해 대화를 추진해달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의사 사이의 대화가 시작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으나 예상과 달리 의제가 마련되거나 대화할 협의체가 구성되지 않았다.

대화를 시작도 못 한 것은 '2천명 증원'이라는 핵심 의제에 대해 양측 입장차가 극명하게 갈리기 때문이다.

정부와 의사들의 협의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의료 공백을 우려하는 환자들의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다.

지난해 말 강원도 내 한 대학병원에서 심장 수술을 받고 정기적으로 외래를 다니는 환자의 보호자 최모(71) 씨는 "남편이 매일 먹어야 하는 약을 타기 위해 서너 달에 한 번은 병원에 가야 하는데 교수님들이 병원을 떠나면 어떡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국이 비슷한 상황에서 병원을 옮길 수도 없는 노릇"이라며 "답답해서 다음 달 진료받을 때 교수님께 물어볼 작정인데 만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전주시 완산구 평화동에 사는 80대 A씨도 "병원에서 진료를 못 받을까 봐 환자들이 걱정해야 하는 게 말이 되냐"며 "언제 병원을 이용할지 모르는데, 상황이 나아지지 않아 갑갑하다"고 말했다.


美 중서부 휩쓴 '괴물' 토네이도·폭풍우에 최소 26명 사망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 중서부와 남부를 휩쓴 강력한 토네이도와 국지성 돌풍으로 하루 사이에 최소 26명이 숨졌다. 15일(현지시간) AP통신과 CNN 방송 등에 따르면 간밤 미주리주에 토네이도가 강타하면서 최소 12명의 사망자와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피해가 집중된 미주리주 버틀러 카운티의 검시관 짐 에이커스는 토네이도가 휩쓸고 지나간 주택에서 사망자 1명을 발견했다면서 "그곳은 더 이상 집이라고 할 수 없는 곳이었고, 바닥이 거꾸로 뒤집혀 있었다"고 피해 현장을 묘사했다. 미주리주 웨인 카운티의 주민 다코타 헨더슨은 간밤에 토네이도가 몰아친 이 마을의 한 주택 잔해들 사이에서 5명이 숨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아칸소주 당국은 밤새 폭풍우로 인해 한 카운티에서 3명이 사망하고 8개 카운티에서 29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텍사스주 서북부 팬핸들 지역의 애머릴로에서는 모래폭풍이 몰아치면서 시야를 가린 탓에 도로에서 잇달아 교통사고가 발생, 3명이 숨졌다. 캔자스 고속도로 순찰대는 이날 셔먼 카운티의 주(州)간 고속도로에 모래폭풍이 덮치면서 50여대의 차량이 충돌해 8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 하루 사이 미국 4개 주에서 악천후로 숨진






정치

더보기
尹대통령 탄핵 심판, 금주 중후반 선고 가능성 [TV서울=이현숙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론이 이번 주 중후반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헌법재판소가 내릴 최종 판단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변론을 마친 지 2주 넘게 지났고, 통상 2~3일 전에 선고일을 고지해 왔는데 16일까지도 날짜가 당사자들에게 고지되지 않았다. 만약 조만간 잡는다면 19~21일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윤 대통령 사건은 이미 노무현, 박근혜 전 대통령보다 소추일로부터 선고까지 기간이 길어 역대 대통령 탄핵심판 최장기 기록을 세웠다. 변론 종결 후 선고까지 걸린 기간도 가장 길다. 헌재 결론을 놓고도 여러 관측이 나온다. 탄핵소추를 인용해 파면하는 결론부터 기각·각하해 윤 대통령이 즉시 직무에 복귀할 가능성까지 모두 거론된다. 사회적 혼란 최소화를 위해 만장일치를 도출하고자 평의에 시간이 걸린다는 관측이나, 실체적·절차적 쟁점이 다양해 각 의견을 모두 따지다 보니 오래 걸린다는 분석도 있다. 헌법상 탄핵소추 인용은 재판관 6명 이상 찬성이 필요하다. 현재 재판관이 8명이라 2명까지 기각 의견을 내도 탄핵이 인용된다. 그러나 같은 파면 결정이라도 만장일치인지 의견이 갈렸는지에 따라 사회적 파장이 달라질 수 있다. 찬반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