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경제


공포의 폭락장 탈출, 코스피 3% 코스닥 6% 반등…시총 86조 회복

  • 등록 2024.08.06 17:53:59

 

[TV서울=나재희 기자] 코스피가 6일 전날 미국발 경기 침체 공포로 인한 폭락 장세에서 벗어나 3%대 반등하며 2,500선을 회복했다.

코스피 지수는 전장 대비 80.60포인트(3.3%) 오른 2,522.15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91.79포인트(3.76%) 오른 2,533.34로 출발해 대체로 3%대 상승폭을 유지하면서 2,500선을 지켜냈다. 장 초반에는 5.62%까지 오르기도 했다.

코스피는 전날 역대 최저인 234.64포인트(8.77%)가 빠져 2,400대로 주저앉으며 최악의 하루를 보냈지만, 일단 하루 만에 반등하면서 시장에는 안도감이 돌았다.

 

전날 11.3% 동반 급락했던 코스닥 지수도 급반등해 41.59포인트(6.02%) 오른 732.87로 마감하면서 700선을 되찾았다.

두 지수 모두 지난해 11월 6일 이후 274일 만의 최대 상승폭·상승률이다. 코스피 지수는 역대 14번째로 높은 상승폭이기도 하다.

이날 코스피·코스닥 지수는 개장과 동시에 급반등하면서 이날 9시 6분 00초께 프로그램매수호가 일시효력정지(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양 시장에서 동시에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한 것은 지난 2020년 6월 16일 이후 4년 2개월 만이다.

전날 코스피·코스닥 폭락으로 매도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가 연이어 발동된 것과 정반대 흐름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장 초반 순매수세를 보이던 외국인은 2천48억원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기관도 3천219억원 순매도했고, 개인은 4천563억원 순매수했다.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은 2천624억원 순매도를 했으나, 대규모 자금이 이탈한 전날에 비해선 매도 강도가 누그러졌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천547억원, 1천251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은 4천913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8원 오른 1,357.6원에 거래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856개 종목이 올랐고, 73개 종목이 하락했다. 코스피 종목 중 91%가 상승한 셈이다. 전날 924개 종목이 내렸던 점과 비교하면 상황이 반전됐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부분 올랐다. 전날 10% 넘게 하락한 삼성전자[005930]는 1천100원(1.54%) 오른 7만2천500원에 마감했다. 장중 5% 넘게 오르기도 했다.

SK하이닉스[000660](4.87%), LG에너지솔루션[373220](4.66%),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4.27%), 현대차[005380](4.91%), 기아[000270](6.65%), KB금융[105560](3.52%), POSCO홀딩스[005490](5.09%), 삼성SDI[006400](4.77%), HD현대중공업[329180](10.22%), HD한국조선해양[009540](10.13%) 등이 올랐고, 셀트리온[068270](-0.27%),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1.12%), LG(-0.64%), SK텔레콤[017670](-0.19%), KT[030200](-1.35%) 등이 내렸다.

업종별로는 통신업(-0.35%)을 제외한 의료정밀(6.53%), 화학(5.28%), 기계(5.28%), 운수장비(5.22%), 철강및금속(4.25%), 전기가스업(3.86%) 등이 일제히 올랐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1천521개 종목이 올랐고, 115개 종목이 하락했다.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서는 에코프로비엠[247540](9.76%), 알테오젠[196170](6.69%), 에코프로[086520](12.82%), HLB[028300](4.02%), 삼천당제약[000250](4.39%), 엔켐[348370](7.35%) 등이 올랐다.

이날 상승은 국내 증시가 과매도 구간에 들어섰다는 판단에 따라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세가 몰린 결과로 해석된다.

간밤 발표된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의 7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업황 확장세를 보이면서 분위기 반전의 발판 역할을 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다만 주가가 단기 반등일지, 상승 추세 전환일지는 지켜봐야 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주 ISM 제조업 지수의 수축 국면에서 촉발된 경기침체 심리를 서비스업 지수가 완화했다"며 "당분간 변동성은 불가피하겠으나 코스피 '딥 밸류'(초저평가) 구간에서 저평가 매력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일단 험난한 고비는 넘기는 모습"이라며 "높은 수준의 복원력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일단 패닉 분위기에선 벗어났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반등을 넘어 추세 강화의 모습이 나와야 높은 수준의 복원력이라고 할 수 있다"며 "막바지로 향해가는 기업들의 실적, 가파른 달러/엔 환율 진정, 중국 수출 및 물가 데이터 호조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내다봤다.

코스피 시가총액은 2천63조6천862억원으로 전날 대비 약 66조원 증가했다. 전날에는 하루 만에 약 192조원이 증발하며 시총 2천조원이 깨졌다.

코스닥 시가총액은 358조7천237억원으로 전날 대비 약 20조원이 늘었다.

양 시장 시총을 합치면 이날 약 86조원의 자금이 국내 증시로 되돌아왔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5조2천324억원, 8조2천675억원이었다.


'폭싹 속았수다' 청룡시리즈 대상…여우주연·조연상 휩쓸어

[TV서울=신민수 기자] 제주도의 아름다운 사계절을 배경으로 가슴 따뜻한 이야기를 펼친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가 올해 청룡 시리즈 어워즈에서 대상을 받았다. '폭싹 속았수다'는 18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열린 제4회 청룡 시리즈 어워즈에서 대상을 비롯해 여우주연상(아이유)과 여우조연상(염혜란), 인기스타상(박보검·아이유) 등 총 4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폭싹 속았수다'는 당찬 소녀 애순이와 순정남 관식이의 사랑, 가족의 서사를 담아낸 넷플릭스 16부작 시리즈다. 이 시리즈를 제작한 팬엔터테인먼트의 박상현 대표는 "드라마가 여러분에게 작은 즐거움으로, 감동으로 남길 바라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와 함께 배우 박보검, 최대훈, 이준영 등이 감사 인사를 전했다. 여우주연상을 받은 아이유는 떨리는 목소리로 "흐릿하게 살라고 강요하던 세상에서 누구보다 선명하게 자신만의 세상을 살아낸 모든 애순이와 세상 곳곳에 뚝심 있게 자기 욕심을 심고 길러낸 모든 금명이에게 존경과 감사를 바치겠다"고 말했다. 드라마 부문 최우수 작품상은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에 돌아갔다. 주연을 맡은 주지훈과 조연 추영우는 각각 남우주연상, 신인남우상을 받았다. 남우조연상은 넷

부산교육청, 여름방학 역사·자연·과학 체험 행사 운영

[TV서울=박양지 기자] 부산시교육청이 여름방학을 맞아 학생들에게 인성교육과 현장 체험,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19일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학생인성교육원은 오는 21일부터 26일까지 5박 6일 일정으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0명이 중국 동북부 항일 독립유적지를 탐방하는 '리더키움 역사문화탐방'을 운영한다. 이번 탐방은 용정, 백두산, 하얼빈 등 항일 독립운동 중심지였던 중국 동북부 지역을 직접 방문하는 일정으로, 학생들에게 바른 역사의식과 미래 지도자에게 필요한 리더십 역량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탐방단은 안중근 기념관, 윤동주 생가 등 항일투쟁 현장을 직접 둘러보며, 조국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되새길 예정이다. 창의융합교육원은 오는 22일부터 25일까지 국가해양환경교육센터 등에서 중·고등학생 48명을 대상으로 해양꿈찾기 캠프 '해양에서 찾는 나의 미래, 나의 길'을 운영한다. 이번 캠프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립해양조사원, 국립해양박물관, 한국해양수산연수원, 국가해양환경교육센터, 남해지방해양경찰청, HMM오션서비스 등과 연계해 진행된다. 학생들은 현장 전문가 특강, 진로 체험 활동, 해양 관련 기업 탐방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