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제주 김녕사굴엔 공포의 뱀 설화, 섶섬엔 용이 되고 싶던 뱀이

  • 등록 2025.01.04 08:07:37

 

[TV서울=박지유 제주본부장] 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푸른 뱀의 해다.

우리 문화에서 지혜와 풍요 등을 상징하는 뱀은 수호신으로 여겨지기도 하고, 인간을 위협하는 두려운 대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제주에서도 뱀 관련 설화가 여럿 전해 내려온다.

가장 널리 알려진 건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김녕사굴 이야기다.

 

총길이 705m의 S자형 용암동굴인 김녕사굴은 마치 뱀이 기어가는 듯 꾸불꾸불한 동굴 형태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구술자에 따라 조금씩 이야기가 다르긴 하지만, 김녕사굴 설화에서는 뱀이 공포의 대상으로 그려진다.

설화에 따르면 이 굴은 옛날에 커다란 구렁이가 살아서 뱀굴이라고 불렸는데, 뱀이 워낙 힘이 대단했고 자꾸 심술을 부려 마을에 피해를 줬기에 사람들은 뱀을 신령으로 모시며 해마다 큰 제사를 지냈다.

그런데 제사를 지낼 때마다 어린 처녀를 제물로 바쳐야 해서 문제였다. 어느 해에는 처녀를 바치지 않고 제사를 지냈더니 뱀이 굴 밖으로 나와 농사를 망쳐버렸다.

그러다 조선시대 중종 때 서련이라는 판관이 제주도에 부임해 김녕에서 뱀이 백성들을 못살게 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서 판관은 뱀을 퇴치하기 위해 무당을 불러 굴 앞에서 굿을 했고, 뱀이 슬금슬금 굴 밖으로 나오자 군사들과 함께 뱀을 죽였다.

그러나 그렇게 뱀을 죽이고 돌아온 서 판관은 결국 죽고 말았는데, 이는 죽은 뱀의 앙갚음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김녕사굴은 만장굴과 함께 지난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현재 일반인 출입이 불가하다.

김녕사굴 앞에는 서련 판관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서귀포 해안에서 남쪽으로 400여m 떨어진 무인도 섶섬에 관해서는 용이 되고 싶어 하던 뱀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옛날에 섶섬에는 커다란 뱀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이 뱀은 용이 되는 것이 소원이라며 기도를 올리곤 했다.

그러기를 3년, 마침내 용왕이 나타나 "섶섬과 지귀도 사이에 숨겨놓은 야광주를 찾아오면 용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용이 되는 방법을 알려줬다. 이에 뱀은 야광주를 찾기 위해 바다 밑을 샅샅이 뒤졌으나 결국 찾지 못하고 병들어 죽고 말았다고 한다.

그 후 비가 올 때면 섶섬 정상에 안개가 끼었는데, 사람들은 이것이 죽은 뱀의 한 맺힌 영혼이 섬 꼭대기에 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섶섬은 꼬리고사리과 식물인 파초일엽 자생지로 지난 1962년 천연기념물 18호로 지정됐다. 문섬, 범섬과 함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도 지정돼 있다.

앞서 국토지리정보원이 지난 2013년 계사년을 맞아 조사한 결과 뱀과 관련된 전국 지명 208개 중 제주의 지명은 김녕사굴과 섶섬을 포함해 총 6개(마을 4, 섬 1, 굴 1)였다.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 뱀바리동은 지형이 뱀이 몸을 둥그렇게 감은 형상이라서, 안덕면 서광리 사수동은 지형이 뱀머리(蛇首) 형이라 해서 붙여진 마을 이름이라고 알려져 있다.

서귀포시 예래동의 마을인 사이동(蛇移洞)은 큰 뱀이 살다가 어디론지 사라져버렸다는 의미로 불린 이름이라 한다.

19세기 말에 형성된 마을인 제주시 황사평은 지형이 뱀이 누운 모습 같다는 데서 불렸다고 한다.

국토지리정보원은 "기후가 온화한 풍토적 특성으로 뱀이 많았던 제주도 지역에서는 특히 지명 속 뱀과 관련된 이야기가 흥미롭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내란특판' 與강경파·지도부 온도차…檢개혁 이견도 진행형

[TV서울=나재희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9월부터 시작되는 정기국회를 앞두고 이른바 '전광석화 폭풍 개혁'을 다짐했으나 일부 핵심 법안을 놓고는 이견이 노출되고 있다. 내란 관련 재판을 전담하는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등을 골자로 한 내란특별법이 대표적이다. 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다음 달 4일 전체회의에 내란특별법을 상정하는 등 신속 처리 방침을 밝힌 상태다. 법원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구속영장을 기각하자 법원 구조 자체를 바꾸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당 지도부는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추진 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아직 내놓지 않고 있다. 민주당 원내 핵심 관계자는 31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내란특별재판부는 상임위 차원에서 나온 얘기이고, 원내 지도부에선 관련해 논의한 바 없다"고 말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도 지난 29일 의원 워크숍 후 기자들과 만나 "내란특별재판부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의견들을 말씀하신 것"이라며 "당 지도부는 그런 것을 논의한 적 자체가 없다"며 선을 그었다. 이른바 검찰 개혁의 세부 내용과 속도를 놓고도 당내에서는 물론 당정 간에 미묘한 온도 차가 있다. 기소·수사 분리 원칙엔 이견이 없지만 신설되는 공소청을 법무부 또

조현 "APEC계기 북미정상회담 가능성 현재로선 매우 낮아"

[TV서울=이천용 기자] 조현 외교부 장관은 3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달 3일 중국에서 열리는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는 데 대해 "다소 소원해진 중국과의 관계를 복원시킬 기회를 보고 있었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조 장관은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김 위원장의 방중계획과 관련, "그동안 북한이 러시아와 굉장히 가까워졌는데, 아마 러시아의 한계를 알았을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그러나 그것(대중 관계)의 한계도 이미 알고 있을 것"이라며 "북한이 제대로 된 정상 국가가 되려면 언젠가는 미국, 또 우리와도 협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방중은 "북한이 국제사회로 나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일단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방중이 향후 북미 회담의 판을 깔기 위한 포석일 가능성에 대해선 거리를 두면서 "그 반대 방향으로 갈 가능성에 대해서도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오는 10월 말∼11월 초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만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 가능성은 현재로






정치

더보기
'내란특판' 與강경파·지도부 온도차…檢개혁 이견도 진행형 [TV서울=나재희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9월부터 시작되는 정기국회를 앞두고 이른바 '전광석화 폭풍 개혁'을 다짐했으나 일부 핵심 법안을 놓고는 이견이 노출되고 있다. 내란 관련 재판을 전담하는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등을 골자로 한 내란특별법이 대표적이다. 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다음 달 4일 전체회의에 내란특별법을 상정하는 등 신속 처리 방침을 밝힌 상태다. 법원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구속영장을 기각하자 법원 구조 자체를 바꾸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당 지도부는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추진 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아직 내놓지 않고 있다. 민주당 원내 핵심 관계자는 31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내란특별재판부는 상임위 차원에서 나온 얘기이고, 원내 지도부에선 관련해 논의한 바 없다"고 말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도 지난 29일 의원 워크숍 후 기자들과 만나 "내란특별재판부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의견들을 말씀하신 것"이라며 "당 지도부는 그런 것을 논의한 적 자체가 없다"며 선을 그었다. 이른바 검찰 개혁의 세부 내용과 속도를 놓고도 당내에서는 물론 당정 간에 미묘한 온도 차가 있다. 기소·수사 분리 원칙엔 이견이 없지만 신설되는 공소청을 법무부 또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