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9.8℃
  • 흐림강릉 12.2℃
  • 구름많음서울 12.6℃
  • 맑음대전 9.5℃
  • 박무대구 8.4℃
  • 구름조금울산 14.8℃
  • 구름많음광주 12.3℃
  • 구름조금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10.3℃
  • 맑음제주 16.8℃
  • 흐림강화 11.6℃
  • 맑음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5.9℃
  • 구름조금강진군 9.6℃
  • 구름많음경주시 6.7℃
  • 구름많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사회


[서울시CEO아카데미] 정옥임 남북하나재단 이사장 특강

  • 등록 2014.04.29 14:12:54

영등포신문·TV서울 부설 교육기관인 서울시CEO아카데미(원장 나재희)428일 그랜드컨벤션센터 2층 홀에서 4월 강연회를 가졌다.

강연회에는 기존 수강생들인 여러 기업인(CEO)들 외에도 영등포지역 여러 유력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날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옥임 남북하나재단 이사장이 초청강사로 나와 평화통일기반구축과 탈북민 정책을 주제로 강연했다.

그는 동독민주화운동에 참여하면서 통일에 기여한 앙겔라 메르켈 현 독일총리를 언급하며, “한국의 메르켈을 키워 평화통일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탈북자들 중 엘리트를 선정해 한국의 메르켈로 기르자는 것이다.

이처럼 통일 엘리트 육성을 골자로 한 메르켈 프로젝트를 제시한 정 이사장은, 자리한 기업인들에게도 통일에 기여할 것을 주문했다. 탈북자들을 채용함으로써 통일에 대비하는 일사일통(一社一統. 1개 회사마다 1명의 탈북자들을 채용)’ 운동을 제안한 것으로, 취업을 통해 우리 체제(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에 익숙해진 탈북자들이 통일 후 북한주민들을 선도해 진정한 하나가 되게 하자는 구상이다.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탈북자들을 지원함으로써 자칫 우리 체제에 반감을 가질 수 있는 요소를 차단하고, 나아가 그들에게 통일의 징검다리역할을 부여하자는 취지의 주장도 펼쳤다. 아울러 이 경우의 지원은 물고기를 잡아 주는 방식이 아닌,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주는 교화방식으로 이뤄져야 그들과 우리가 서로 이질감을 없애고 진정한 하나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의 정부의 탈북자 지원정책이 전시성으로 진행되어 왔다고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이같이 주장한 그는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는 헌법제3조 영토조항을 근거로, 북한주민들도 우리 대한민국 국민임을 상기시켰다.

한편 이날 강연을 펼친 정옥임 이사장은 국회의원 시절 한나라당 원내대변인을 지냈으며, 2011대한민국 헌정대상과 사단법인 전국지역신문협회에서 우수 의원들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 의정대상을 수상하는 한편, NGO 모니터단으로부터 3년 연속 국정감사 우수국회의원으로 선정된 바 있다.

현재는 탈북자들의 정착을 지원(취업, 법률 등)하는 남북하나재단 이사장을 맡으면서 통일운동에 매진하고 있다. /김남균 기자







정치

더보기
양부남, "중국 모욕 처벌법 아냐"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특정 국가 및 집단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처벌법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입법 취지가 왜곡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양 의원은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개정안은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향하든지 사실이 아닌 허위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비판은 오히려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 의원은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처벌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긴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특정 국가, 특정 국가의 국민, 특정 인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 현행 형법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를 '중국 비판을 막기 위한 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입틀막법'이라고 비판하며 논란이 일었다. 양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이지만 근거 없는 폭언과 혐오 발언은 헌법이 금지하는 영역"이라며 "독일·프랑스·영국 등 다수의 선진국도 인종·국가·종교를 이유로 한 혐오표현을 형법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