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TV서울] 관악구, 주민건강 지키는 ‘암 관리사업’ 총력 다해

  • 등록 2018.02.28 09:33:27


[TV서울=신예은 기자] 관악구가 암 환자의 삶의 의지를 더하고 치료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국가암조기검진사업, 암환자의료비지원사업, 재가암관리사업 등 다양한 암 관리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1983년부터 우리나라 사망원인 1(28.3%)가 암이다. 환경변화와 급속한 노령화, 질병구조의 변화로 매년 22만 명의 신규 암환자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암 발생의 1/3은 건강생활습관 실천으로, 1/3은 조기진단 및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

이에 구는 '국가암조기검진사업'을 실시해 암 환자가 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기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5대 암으로 불리는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암은 비교적 간단한 검사로 암을 조기발견 할 수 있어 암 검사 독려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조기 발견 시 90%이상 완치가 가능하다. 때문에 관악구 국가암조기검진 전담인력은 암 검진 독려 전화문자 발송, 전단지 제작 배부 등 다양한 홍보를 통해 수검률 향상에 총력을 다 하고 있다.

 

또한, 저소득층 암환자에게는암환자의료비지원사업을 통해 의료비를 지원한다. 암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의료 이용 장벽을 낮춰 암환자의 치료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의료비지원대상자의 선정기준, 지원금액 등은 관악구보건소 지역보건과(879-7188)로 전화 상담한 후, 신청하여 지원받을 수 있다.

뿐 아니라, 가정에서 암으로 고통 받고 있는 암환자를 대상으로재가암관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방문간호사가 대상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식사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에게는 영양제와 보충식이를 제공한다. 또한, 기관 연계 및 사회적심리적 지지를 통해 암환자의 삶의 의지를 더하고 자립을 돕는다.

 

이외에도 구는 암 예방의 중요성과 검진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교육에도 힘쓴다. 오는 5, 10월에는 분야별 암 전문의와 함께하는 암 예방 건강강좌가 진행된다. 또 오는 628, 관악구 55세 이상 남성을 대상으로 전립선무료검진 및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유종필 구청장은 다양한 암 관리 사업을 통해 건강한 생활 실천 및 조기 검진으로 암 발생 최소화에 힘쓸 것이라며 암 진료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은 덜어주고, 사회적심리적 지지를 통해 암 환자가 삶의 의지를 갖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 마련… 비역세권 현황 조사 추진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는 지금까지 역세권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면서 상대적으로 저개발된 비(非)역세권 지역을 전면 조사·분석해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을 마련한다. 그동안 역세권 중심의 거점개발 정책 추진 과정에서 일부 역세권이 아닌 주거지역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뒤처지고 노후화 문제가 심화됐다. 이에 시는 도시의 효율적 활용과 균형 있는 개발을 위해 역세권 이외 지역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 보고 이번 조사를 추진한다. 이번 조사는 대중교통 접근성, 기반시설, 지역 여건 등 지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역세권과 비역세권 간 연계성 ▲노후 건축물이 많지만 유동 인구가 풍부한 지역 ▲대중교통·생활SOC·녹지공간 확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지하철 외에 대중교통·기반시설 등 입지 여건이 양호하지만 노후화된 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주거·상업 기능 공급과 생활SOC, 보행환경·녹지공간 등 생활 환경개선이 함께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또한 성장 잠재력이 있는 지역을 도출해 내년에는 이를 기반으로 한 활성화 모델을 마련해 사업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