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TV서울] 강동선사문화축제, 대한민국축제콘텐츠대상 특별상 수상

  • 등록 2018.02.28 10:47:18

[TV서울=신예은 기자] 강동구(구청장 이해식) 대표 축제인 ‘강동선사문화축제’가 지난 27일 더케이호텔서울 컨벤션센터에서 '제6회 대한민국축제콘텐츠대상 축제프로그램 부문 특별상'을 수상 했다.

올해로 제6회를 맞이하는 ‘대한민국축제콘텐츠대상’은 (사)한국축제콘텐츠협회가 주최하고 대한민국축제콘텐츠대상 추진위원회와 한국축제콘텐츠연구소가 주관하며, 서울특별시와 한국관광공사가 공식 후원하는 공신력 있는 상이다.

지역경제 발전과 관광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국가 이미지 개선에 앞장서 온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축제콘텐츠, 축제관광, 축제경제, 축제예술·전통, 축제글로벌 명품, 축제프로그램 우수상, 아시아축제 인기상, 축제프로그램 연출상 등 총 8개 부문에 걸쳐 각각 대상과 특별상을 시상하고 있다.

올해는 강동구 대표 축제인 ‘강동선사문화축제’가 ‘제6회 대한민국축제콘텐츠대상 축제프로그램 부문’에서 특별상을 수상했다.

‘강동선사문화축제’는 신석기시대 최대 집단취락지인 ‘서울 암사동 유적’의 역사적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96년부터 시작됐으며 올해로 제23회를 맞는다. 서울에서 선사시대를 테마로 하는 유일한 축제이자 뚜렷한 역사성과 정체성을 가진 독창적인 축제로, 지난해에만 40여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강동구를 넘어 서울시 대표축제로 자리 잡았다.

 

특히 천일중학교부터 암사동 유적까지 1.8KM 구간을 1,500여 명의 주민들이 원시 복장을 입고 행렬을 하는 ‘거리퍼레이드’는 축제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선사소망등 점등식, 원시 바비큐 체험, 바위절마을호상놀이, 멍때리기 대회 등 선사시대부터 현대를 아우르는 6개 분야 80여개 프로그램으로 관람객들에게 많은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이번 특별상은 선사시대라는 축제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다양성과 독창성을 갖춘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됐다.

이해식 강동구청장은 “이번 특별상은 선사시대라는 축제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다양성과 독창성을 갖춘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됐다. 앞으로도 강동선사문화축제가 신석기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전국적인 축제로 그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도록 꾸준히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시,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 마련… 비역세권 현황 조사 추진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는 지금까지 역세권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면서 상대적으로 저개발된 비(非)역세권 지역을 전면 조사·분석해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을 마련한다. 그동안 역세권 중심의 거점개발 정책 추진 과정에서 일부 역세권이 아닌 주거지역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뒤처지고 노후화 문제가 심화됐다. 이에 시는 도시의 효율적 활용과 균형 있는 개발을 위해 역세권 이외 지역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 보고 이번 조사를 추진한다. 이번 조사는 대중교통 접근성, 기반시설, 지역 여건 등 지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역세권과 비역세권 간 연계성 ▲노후 건축물이 많지만 유동 인구가 풍부한 지역 ▲대중교통·생활SOC·녹지공간 확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지하철 외에 대중교통·기반시설 등 입지 여건이 양호하지만 노후화된 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주거·상업 기능 공급과 생활SOC, 보행환경·녹지공간 등 생활 환경개선이 함께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또한 성장 잠재력이 있는 지역을 도출해 내년에는 이를 기반으로 한 활성화 모델을 마련해 사업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