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TV서울] 평창동계패럴림픽 성화 3일 서울 입성

  • 등록 2018.03.02 14:33:18

[TV서울=이현숙 기자]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성화가 3일 서울에 입성한다.

3일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서는 2일 경기(안양), 충남(논산), 전라(고창), 경상(청도), 제주 등 5곳에서 채화한 성화와 패럴림픽 발상지 영국 성화, 88 서울 패럴림픽 성화 그리고 IPC(국제패럴림픽위원회) 디지털 성화 등 3개의 성화가 합화된다.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서 합화된 성화는 잠실종합운동장까지 약 4km를 봉송한 후 4일까지 2일간 서울 전역 곳곳을 누비며 시민과 만난다.

성화봉송은 2일간 2개 코스를 192명이 나눠 달리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주자구간 이외의 구간은 하체 완전마비 장애인 보행보조용 ‘워크온’과 휠체어 사이클 봉송 등 이색봉송이 병행된다.

 

성화봉송주자는 김대근(시각장애) 88 서울 패럴림픽 성화봉송주자, 레이양 서울시각장애인마라톤대회 홍보대사, 제임스 최(주한 호주대사)를 비롯해 장애인, 어르신 등 일반시민 총 192명이 참여한다.

서울을 떠난 성화는 강원도에 도착, 5일 춘천을 시작으로 원주, 정선, 강릉을 거쳐 9일 평창 동계패럴림픽 개회식에서 점화한다.


서울시는 성화 봉송이 이뤄지는 2일 간 평창동계패럴림픽조직위원회와 공동으로 다채로운 시민 참여 축하행사를 개최한다.

8개 성화의 합화행사가 열리는 3일은 시각장애인 공연단 '한빛예술단'과 댄스팀 '탑스타'의 공연과, 프리젠팅 파트너사 공연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협동 '캘리그라피 퍼포먼스'가 펼쳐진다.

4일에는 종합운동장을 출발한 성화가 강남역~여의도 교차로~마포대교 사거리~효창공원역앞~한남역~건대입구역 사거리~군자역~하계역~노원역~쌍문역~수유역~청계2가 교차로~서울시청~청계광장까지 63km를 달린다.

 

서울 전역을 일주한 성화는 마지막 주자가 청계광장에 설치된 임시 성화대에 불을 붙이며 서울 지역축하행사가 열린다. 축하행사는 청계광장에서 17시30분~19시까지 열린다.

축하행사는 2018년부터 1988년으로 시간을 거슬러 그 때를 기억할 수 있는 곡들을 매들리 형태로 엮은 뮤지컬 '서울의 밤 '과 출연진 전체가 장애인으로 구성되어 장애인들을 보는 시선을 전환시키는 '장애인 인식개선 콘서트'가 펼쳐진다.


한편, 성화봉송 행사가 진행되는 2일간 구간별 교통이 부분통제된다.

차량 부분통제 구간은 서울교통정보센터 토피스 홈페이지(http://topis.seoul.go.kr), 토피스 트위터(@seoultopis)와 도로전광표지(VMS),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 다산콜센터(120)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 마련… 비역세권 현황 조사 추진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는 지금까지 역세권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면서 상대적으로 저개발된 비(非)역세권 지역을 전면 조사·분석해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을 마련한다. 그동안 역세권 중심의 거점개발 정책 추진 과정에서 일부 역세권이 아닌 주거지역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뒤처지고 노후화 문제가 심화됐다. 이에 시는 도시의 효율적 활용과 균형 있는 개발을 위해 역세권 이외 지역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 보고 이번 조사를 추진한다. 이번 조사는 대중교통 접근성, 기반시설, 지역 여건 등 지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역세권과 비역세권 간 연계성 ▲노후 건축물이 많지만 유동 인구가 풍부한 지역 ▲대중교통·생활SOC·녹지공간 확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지하철 외에 대중교통·기반시설 등 입지 여건이 양호하지만 노후화된 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주거·상업 기능 공급과 생활SOC, 보행환경·녹지공간 등 생활 환경개선이 함께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또한 성장 잠재력이 있는 지역을 도출해 내년에는 이를 기반으로 한 활성화 모델을 마련해 사업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