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서울시CEO아카데미, 한완상 전 부총리 초청강연

  • 등록 2013.07.24 10:21:35

영등포신문·TV서울(발행인 김용숙) 부설 교육기관으로 지난 6월 24일 개강식을 갖고 본격적 활동에 나선 ‘서울시CEO아카데미’(원장 나재희)가 두 번째 강연회를 개최했다.

앞서 그랜드컨벤션센터(영등포구 당산2동 소재)에서 열린 개강식에서는 대표적 보수논객인 김동길 태평양시대위원회 이사장(전 연세대 명예교수)이 “태평양 새 시대가 온다”를 주제로 강연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7월 22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두 번째 강연회에서는 대표적 진보논객인 한완상 전 부총리(전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강사로 나와 “21세기 감동적 리더십”을 주제로 강연했다.

강연에 나선 한완상 전 부총리는 미국의 대부호이자 자선사업가인 ‘워렌 버핏’, 전 남아공 대통령 ‘넬슨 만델라’, 역시 남아공의 전 대통령이자 전 부통령인 ‘프레데릭 데 클레르크’ 3人을 “감동적 리더십”의 표본으로 꼽았다.

특히 자신이 대통령으로 재직 당시 정치범 ‘넬슨 만델라’를 석방, 그가 대통령이 될 수 있도록 만든 것에 더 해 그 밑에서 부통령을 지낸 클레르크와의 만남을 회고해 눈길을 끌었다.

한 전 부총리는 “20세기가 일방향 통신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쌍방향 통신의 시대”라며 “따라서 ‘돌격 앞으로’ 식의 20세기 리더십은 21세기에는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21세기에는 개인의 창의력을 최대한 보장하고, 감동을 주는 리더십이 되어야만 먹혀 들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상대방과 입장을 바꿔 생각하는 역지사지(易地思之)에서 더 나아가 육식동물이 풀을 뜯어 먹음으로써 초식동물을 완전히 이해하게 된다는, 즉 강자가 약자를 절대적으로 이해하게 된다는 취지의 역지식지(易地食之)를 역설했다.
이날 강연 내용은 추후 영등포방송(www.ybstv.net) 및 TV서울(www.tvseoul.kr)에서 동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다.

한편 강연회에는 서울시CEO아카데미 주요 회원인 기업체CEO들 외에도, 일본의 독도침공에 맞서는 내용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영화 ‘놈이 온다’를 제작중인 신승호 총감독과 제작사 ㈜타임엔터테인먼트 김단우·이기연 공동대표, 개그우먼 출신의 가수 겸 방송MC 이선우 씨 등이 함께 했다. /김남균 기자


춘천시, 태권도 일상화 추진... 하반기 태권체조 등 프로그램 확대

[TV서울=이천용 기자] 춘천시가 시민들 건강과 세대 간 소통을 위해 '태권도 일상화'를 본격 추진한다. 춘천시는 시체육회, 춘천레저·태권도조직위원회와 함께 15일 시청 주변 지하도상가 중앙광장에서 '시민태권도 광장사업'을 시범 운영했다. 이번 시범 운영에는 춘천남부노인복지관 어르신 20여명이 참여해 기본동작, 품새, 체력 단련 등 생활 태권도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했다. 춘천시는 앞으로 누구나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해 지역 주민들 관심을 유도할 계획이다. 시민태권도 광장사업은 시민 건강 증진, 세대 간 소통,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노인과 청소년 등 다양한 계층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생활체육 프로그램으로 확장 가능성이 크다는 게 춘천시의 설명했다. 앞서 춘천시는 지난 6월 '온 시민이 즐기는 태권도 도시'를 비전으로 춘천태권도 시민협의체를 출범한 바 있다. 현재 행정복지센터와 노인복지관, 고등학교에서 태권교실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춘천시 관계자는 "태권도의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생활체육의 장점을 결합해 온 세대가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겠다"며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정기 프로그램 편성과 대상을 확대시켜 태권도가 일상 속에






정치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