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


서울 아파트값 10주 만에 상승폭 커져

  • 등록 2021.04.15 14:26:03

 

[TV서울=이현숙 기자] 2·4 주택 공급대책 발표 이후 잠시 숨 고르기를 했던 서울 아파트값이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후 다시 상승 폭을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규제 완화를 공약한 오 시장이 당선되자 재건축 규제 완화 등 기대감이 커지면서 재건축 단지가 집값 상승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서울 전세는 강남·강동·마포구에 이어 양천구가 하락으로 돌아서면서 전체적으로 진정되는 분위기가 강해졌다.

15일 한국부동산원(옛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4월 둘째 주(12일 기준) 서울의 주간 아파트 매맷값은 0.07% 올라 지난주(0.05%)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서울 아파트값은 올해 2월 첫째 주(0.10%) 이후 꾸준히 상승률이 축소되며 지난주 0.05%까지 낮아졌는데, 이번 주 조사에서 10주 만에 다시 상승 폭을 키운 것이다.

 

 

노원구가 지난주 0.09%에서 이번 주 0.17%로 2배 가까이 뛴 것을 비롯해 송파구(0.10%→0.12%)와 강남·서초구(0.08%→0.10%), 양천구(0.07%→0.08%), 영등포구(0.04%→0.07%) 등이 상승을 주도했다.

 

이들 6개 구는 모두 재건축 시장에서 주요 단지로 꼽는 아파트가 있는 곳이다. 노원구의 경우 월계동 재건축 단지와 상계동 중저가 단지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고, 강남구는 압구정 재건축 위주로 가격 강세가 이어졌다.

 

서초구는 서초·방배·잠원동의 재건축 단지 위주로, 송파구는 잠실·가락동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집값이 올랐다. 양천구는 목동, 영등포구는 여의도동 재건축 위주로 상승했다.

 

전주 대비 상승 폭이 축소된 구는 한 곳도 없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공시가격 인상에 따른 세 부담 강화와 2·4 대책 영향 등으로 서울 아파트값은 대체로 관망세를 보였지만, 강남4구와 노원구, 영등포구 등 최근 규제 완화 기대감이 있는 지역 위주로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체적으로 아파트값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수도권은 지난주 0.27%에서 이번 주 0.25%로 상승 폭이 둔화했다. 서울의 상승 폭 확대에도 경기가 0.34%에서 0.32%로, 인천이 0.49%에서 0.39%로 각각 오름폭을 줄인 영향이다.

 

 

인천은 연수구(0.49%)와 서구(0.42%)를 중심으로 올랐고, 경기는 시흥시(0.82%), 의왕시(0.78%), 안산시(0.70%), 안양 동안구(0.70%) 등의 강세가 이어졌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는 0.21%에서 0.20%로, 경기를 제외한 8개 도는 0.18%에서 0.17%로 각각 상승 폭이 소폭 둔화했다. 지방 광역시 중에는 부산이 0.23%에서 0.18%로 상승 폭이 줄었고, 대구(0.24%→0.26%)와 울산(0.08%→0.11%)은 상승 폭이 커졌다. 대전(0.30%)과 광주(0.13%)는 전주와 상승률이 같았다.


 이어 양천도 전셋값 내려…과천·성남·하남도 '마이너스'전세는 전국적으로 진정되는 분위기가 강해졌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3% 오르며 3주 연속 횡보했다.

 

서울은 작년 11∼12월 주간 기준 상승률이 0.14∼0.15%까지 오른 뒤 올해 1월 0.13%, 2월 0.07%, 3월 0.04%, 4월 0.03%로 낮아지며 전체적으로 전세난이 진정되는 분위기다.

 

강남구가 -0.01%로 4주 연속 하락한 것을 비롯해 마포구는 3주째 -0.01%, 강동구는 지난주 -0.01%에서 이번 주 -0.02%로 하락 폭을 키웠다. 양천구는 지난주 보합(0.00%)에서 이번 주 -0.01%로 44주 만에 하락으로 전환했다.

 

고가 전세가 몰려 있는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경우 이번 주 -0.01%를 기록해 2019년 6월 이후 1년 10월 만에 하락으로 돌아섰다.

 

강남 4구는 전셋값 급등에 따른 피로감 등으로 매물이 누적되면서 하락세가 지속됐고, 마포구는 신규 입주 물량 영향으로, 양천구는 매물 누적으로 각각 전셋값이 진정됐다고 부동산원은 설명했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도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11% 올라 4주 연속 횡보했다. 인천이 0.27%에서 0.31%로 상승 폭을 소폭 키웠으나 경기(0.12%)가 서울과 마찬가지로 3주 연속 횡보하며 인천의 상승분을 상쇄했다.

 

지방 5대 광역시는 0.16%에서 0.17%로 오름폭이 소폭 확대됐고, 8개 도는 0.13%에서 0.12%로 상승 폭이 둔화했다.

 

경기에서 과천시(-0.10%)와 성남시(-0.06%), 하남시(-0.04%)는 지난주에 이어 각각 전셋값이 내렸다. 반면, 시흥시(0.51%), 오산시(0.39%), 의왕시(0.29%), 동두천시(0.28%) 등은 상승세가 이어졌다.


국토부, "용인∼과천 지하도로 신설·창원∼진영 도로 확장 예타대상 선정"

[TV서울=나재희 기자] 국토교통부는 20일 열린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용인∼과천 지하 고속도로 신설사업과 창원∼진영 고속도로 확장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거제∼통영 고속도로 건설사업과 국도 15호선 고흥∼봉래 확장사업은 예타를 통과했다. 먼저 영동선 용인∼과천 지하 고속도로는 용인과 수원, 과천 구간을 잇는 왕복 4차로 고속도로를 신설하는 사업이다. 거리는 지하터널 21.1km 포함 30.0km다. 이중 용인∼수원 구간은 기존 고속도로 하부에 지하 고속도로를 건설해 영동고속도로 상부의 상습 차량정체 구간을 해소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원∼과천 구간은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이수∼과천 도로와 연계한 새로운 남북축 고속도로 신설을 통해 수도권 남부지역에서 과천, 서울 방향으로의 통행시간을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2021년 제2차 국가도로망 종합계획과 2022년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반영돼 추진된 사업으로, 지난 6월 예타 대상 사업으로 신청해 이번에 선정됐다. 남해고속도로 창원∼진영 고속도로 확장사업은 창원 분기점(JCT)∼동창원IC 4.8km 구간을 현재 8차로에서 10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다. 이 구간은 일일 교통량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