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4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도쿄하계올림픽, 23일 오후 8시 개막

코로나19·폭염·무관중 악조건 뚫고 8월 8일까지 열전
한국 선수단, 황선우·김연경 앞세우고 103번째로 입장

  • 등록 2021.07.23 10:08:41

 

[TV서울=이천용 기자] 코로나19 시대의 첫 올림픽인 2020 도쿄하계올림픽이 23일 오후 8시 일본 도쿄 올림픽 스타디움(신국립경기장)에서 막을 올린다.

 

이번 대회는 8월 8일까지 33개 정식 종목, 339개 세부 경기에 북한을 제외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소속 205개 국가올림픽위원회(NOC) 소속팀과 난민대표팀 등 총 206개 팀, 1만1천명의 선수가 참가해 메달을 다툰다.

 

대한민국은 29개 종목에 걸쳐 선수와 임원 354명을 파견했으며, 금메달 7개 이상을 획득해 종합순위 10위 내 입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64년에 이어 57년 만에 도쿄에서 다시 열리는 이번 하계올림픽은 코로나19로 인해 기존의 대회와는 성격이 완전히 달라졌다.

 

 

일본은 2011년 대지진 여파로 생기를 잃은 동북부 지방을 비롯한 나라 전체의 부흥과 재건을 기치로 내걸고 하계올림픽을 두 번째로 유치했으나, 지난 해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것이 바뀌었다.

 

2020년 열릴 예정이었던 대회가 최초로 1년 미뤄졌고, 코로나19가 1년 반이 지나도 해결이 되지 않으면서 일본과 IOC는 대회를 취소하라는 여론에 직면하기도 했으나, 결국 강행해 올림픽이 열리게 됐으며, 전체 경기의 96%를 무관중으로 치르게 된다.

 

그러나 개막를 하루 앞둔 지난 22일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태인 학살을 희화화하는 과거 동영상으로 논란이 된 도쿄올림픽 개회식 연출 담당자 고바야시 겐타로(48)가 해임되고, 또 올림픽 선수촌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이 확인돼 무대를 밟지도 못하고 기권한 선수가 4명이나 나오는 등 도쿄올림픽 조직위의 돌출행동과 불안한 방역대책으로 인해 끝까지 무사히 치러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한편, 이날 개회식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비롯한 20명 미만의 각국 정상급 인사와 950명의 내외빈과 취재진, 그리고 개회식에 입장하는 각 나라 일부 선수단만이 참석한 가운데 나루히토 일왕의 개회 선언으로 문을 연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개회식 참가자를 약 30명으로 꾸렸으며, 태극기를 든 남녀 공동 기수 황선우(수영)·김연경(배구)을 앞세우고 103번째로 입장하게 된다.

 


국악으로 잇는 화합과 뿌리…영동세계국악엑스포 추석 특별무대

[TV서울=박양지 기자] 영동세계국악엑스포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오는 7일 오후 5시 충북 영동군 영동레인보우힐링관광지 주 무대에서 특별공연 '바다를 건너 뿌리를 지킨 예인'을 펼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공연은 추석 연휴 기간에 마련되는 무대로, 한민족 고유 명절이 지닌 '가족과 공동체의 화합'의 의미와 맞닿아 있다. 고향과 전통을 그리워하며 뿌리를 지켜온 재일한국인 예인들의 이야기가 국악을 통해 관객들에게 더욱 깊은 울림을 전한다. 특히 100여 년 동안 낯선 땅에서 국악의 맥을 이어온 재일한국인 후손 16명이 선보이는 디아스포라 무대라서 주목받는다. 공연은 ▲ 살풀이춤 ▲ 승무 ▲ 장고춤 등 총 6곡으로 구성되어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다채로운 국악의 향연을 선사한다. 특히 올해는 한일수교 60주년을 맞이하는 해로 국악을 매개로 한일 양국의 문화적 교류와 화합을 기념하는 상징적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직위 관계자는 "추석이라는 특별한 시기에 열리는 이번 공연은, 재일한국인 예인들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뿌리를 지킨 전통의 가치'와 '한일 간 문화적 교류의 미래'를 함께 생각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관람객들이 국악의 울림 속에서 추석의 의미를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