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배구대표팀, 챌린저컵서 호주에 풀세트 접전 신승…4강 진출

  • 등록 2022.07.29 09:58:08

 

[TV서울=신예은 기자] 임도헌 감독이 이끄는 남자배구 대표팀(세계랭킹 32위)이 라이트 공격수 허수봉(현대캐피탈)의 원맨쇼를 앞세워 호주(38위)를 풀세트 접전 끝에 꺾고 2022 국제배구연맹(FIVB) 발리볼챌린저컵 4강 진출에 성공했다.

 

대표팀은 28일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호주전에서 세트 스코어 3-2(23-25 25-23 25-18 22-25 15-13)로 승리 했다. 준결승에 오른 한국은 30일 같은 장소에서 튀르키예(17위)-카타르(21)전 승자와 결승 진출을 놓고 싸운다. 이번 대회 우승팀엔 2023 FIVB 발리볼 네이션스리그(VNL) 진출권을 부여한다.

한국은 1세트에서 총 11번의 동점을 기록할 만큼 엎치락뒤치락 시소게임을 했다. 한국은 막판 집중력이 흔들리며 아쉽게 1세트를 내줬다. 23-23에서 상대 속공으로 세트 스코어에 몰렸고, 리베로 정민수(KB손해보험)의 서브 리시브 범실로 무너졌다.

 

2세트도 치열했다. 한국은 3점 차 내에서 살얼음판 승부를 펼쳤다. 대표팀을 구한 건 라이트 공격수 허수봉이었다. 그는 중요한 순간마다 안정적인 공격으로 천금 같은 득점을 기록했다.

 

그는 14-14에서 오픈 공격, 15-15에서 터치 아웃 공격을 성공했고, 18-17에선 코트 왼쪽에서 의도적인 쳐내기 공격을 펼치며 귀중한 점수를 올렸다.

 

한국은 21-21에서 상대 팀 포프 로렌초에게 밀어내기 터치아웃 공격을 허용해 실점하는 듯했지만, 비디오 판독 끝에 심판 판정을 뒤집으며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이후 허수봉은 강서브를 때려 공격권을 가져온 뒤 직접 오픈 공격을 성공해 점수 차를 2점으로 벌렸다.

한국은 24-22에서 곽승석의 서브 범실로 위기에 놓였지만, 나경복이 마지막 공격을 침착하게 성공하면서 세트 스코어를 1-1로 맞췄다.

 

허수봉은 2세트에서만 팀 19득점 중 10점을 책임졌다. 분위기를 가져온 한국은 관중들의 일방적인 응원을 받으며 3세트에서 호주를 무섭게 몰아붙였다. 한국은 16-12에서 나경복의 후위 공격과 허수봉의 서브 득점으로 6점 차로 벌리며 기세를 완전히 가져왔다.

 

 

대표팀은 이후 멀찌감치 달아나며 손쉽게 세트스코어 2-1을 만들었다. 4세트는 아쉬웠다. 한국은 19-19에서 나경복의 서브 범실로 리드를 내줬고, 정민수의 서브 리시브가 흔들리면서 두 점 차로 밀렸다.

한국은 경기를 끝낼 기회를 놓치며 승부를 5세트로 가져갔다.

 

대표팀은 집중력을 잃지 않았다. 한국은 8-6에서 신영석이 상대 팀 포프의 후위 공격을 단독 블로킹으로 막아내며 분위기를 띄웠고, 경기 내내 활약을 펼친 허수봉이 끝까지 해결사 역할을 했다.

 

허수봉은 10-9에서 날카로운 대각 공격을 상대 코트에 꽂았고, 11-10에서도 오픈 공격을 성공했다.

한국은 14-13에서 나경복의 마지막 공격이 아웃 판정을 받았지만, 비디오 판독을 통해 득점으로 인정받으면서 길었던 경기에 마침표를 찍었다. 허수봉은 이날 33점을 올리며 최고의 수훈을 펼쳤다.

 

△ 국제배구연맹(FIVB) 발리볼챌린저컵 8강전

한국(1승) 23 25 25 22 15 - 3

호주(1패) 25 23 18 25 13 - 2


김종길 시의원, “서울 준공업지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전환 힘쓸 것”

[TV서울=변윤수 기자]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종길 의원(국민의힘, 영등포2)이 대표로 활동 중인 의원연구단체 ‘서울준공업지역 발전포럼’이 추진한 정책연구용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실현을 위한 서울시 준공업지역 규제 개선방안’이 지난 7월, 최종 완료됐다. 이번 연구는 산업 쇠퇴와 도시 노후화가 진행 중인 서울시 서남권 준공업지역의 현황을 진단하고, 직주근접과 생활여건을 갖춘 복합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김종길 의원이 2023년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도시 계획조례’ 개정을 통해 준공업지역 내 공동주택의 용적률 상한이 400%까지 완화된 것을 계기로, 서울시가 2024년 11월 발표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향후 보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됐다. 연구에서는 ‘서울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에서 제시한 ‘공장비율 10%’ 기준이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적용됨으로써, 오히려 산업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현행 ‘공장 정의’가 현실과 괴리되어 나대지나 주차장도 공장부지로 간주되는 문제를 짚으며, 공장비율 산정 기준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