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0.0℃
  • 흐림강릉 11.6℃
  • 흐림서울 13.1℃
  • 흐림대전 10.2℃
  • 박무대구 9.1℃
  • 구름많음울산 15.3℃
  • 구름많음광주 13.0℃
  • 구름많음부산 16.7℃
  • 흐림고창 11.4℃
  • 흐림제주 18.0℃
  • 흐림강화 11.9℃
  • 흐림보은 7.4℃
  • 흐림금산 7.1℃
  • 흐림강진군 12.4℃
  • 흐림경주시 7.3℃
  • 흐림거제 16.2℃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9연패 끊은 KIA, 피타고리안 승률 따르면 PS 확률 '66.9%'

  • 등록 2022.09.23 10:19:41

 

[TV서울=신예은 기자] 팀 승률을 예측하는 공식 가운데 세이버메트릭스(야구 통계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빌 제임스(72)가 만든 '피타고리안 기대 승률'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피타고리안 기대 승률은 한 시즌 팀 득점과 실점을 대입해 '득점²÷(득점²+실점²)'의 공식으로 계산한다.

이 공식이 직각삼각형 세 변 길이의 관계를 밝힌 '피타고라스 정리(a²+b²=c²)'와 닮았다고 해서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었다.

 

피타고리안 기대 승률을 토대로 포스트시즌 진출 확률을 계산한 웹사이트 'psodds.com'에 따르면, 22일 현재 5위 KIA 타이거즈의 가을야구 진출 확률은 66.9%다.

9연패와 함께 5.5경기였던 6위 NC 다이노스와 격차는 0.5경기까지 좁혀졌다.

이와 함께 기대 승률에 따른 포스트시즌 진출 확률도 급격하게 떨어졌다.

연패를 당하기 전까지 95.1%였던 KIA의 포스트시즌 진출 확률은 21일 LG전 패배로 53.7%까지 내려갔다.

그나마 22일 창원 NC전 승리로 다시 격차를 1.5경기로 벌린 KIA는 포스트시즌 진출 확률에서도 한숨을 돌렸다. 그러나 아직 5위 경쟁이 끝난 건 아니다.

 

KIA와 NC의 맞대결은 23∼24일에도 이어지고, 만약 NC가 2경기를 모두 잡으면 두 팀의 순위는 바뀐다.

 

피타고리안 기대 승률로 예측한 NC의 포스트시즌 진출 확률은 20.6%다.

KIA가 정규시즌 11경기를 남겨둔 가운데 NC는 잔여 14경기라 자력으로 5위를 차지할 수 있는 쪽은 오히려 NC다.

시즌 막판 상승세를 탄 7위 롯데 자이언츠는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최근 3연승으로 KIA와 간격을 2경기로 유지한 롯데의 포스트시즌 진출 확률은 9.1%다.

지난 11일만 해도 가을야구 확률이 0.2%에 불과했던 롯데는 KIA가 주춤하는 동안 10경기에서 6승 4패를 거뒀다.

 

롯데 선수단은 올 시즌을 끝으로 그라운드를 떠나는 이대호(40)의 '라스트 댄스'를 위해 힘을 모으는 분위기다.

피타고리안 승률에 따른 8위 삼성 라이온즈의 포스트시즌 진출 확률은 3.3%이며, 9위 두산은 0.1%다.

10위 한화 이글스는 이미 지난 9일 포스트시즌 탈락이 확정됐다.







정치

더보기
양부남, "중국 모욕 처벌법 아냐"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특정 국가 및 집단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처벌법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입법 취지가 왜곡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양 의원은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개정안은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향하든지 사실이 아닌 허위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비판은 오히려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 의원은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처벌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긴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특정 국가, 특정 국가의 국민, 특정 인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 현행 형법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를 '중국 비판을 막기 위한 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입틀막법'이라고 비판하며 논란이 일었다. 양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이지만 근거 없는 폭언과 혐오 발언은 헌법이 금지하는 영역"이라며 "독일·프랑스·영국 등 다수의 선진국도 인종·국가·종교를 이유로 한 혐오표현을 형법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