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1 (화)

  • 맑음동두천 9.7℃
  • 맑음강릉 17.1℃
  • 맑음서울 10.4℃
  • 맑음대전 10.7℃
  • 맑음대구 11.6℃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2.9℃
  • 맑음부산 13.8℃
  • 맑음고창 9.2℃
  • 구름많음제주 15.0℃
  • 맑음강화 5.8℃
  • 맑음보은 7.7℃
  • 맑음금산 8.3℃
  • 맑음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9.9℃
  • 맑음거제 13.5℃
기상청 제공

경제


국내 양식업계 12년간 이상 기후로 2천382억원 피해

  • 등록 2023.10.01 10:04:39

 

[TV서울=김선일 객원기자]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이상기후 현상이 두드러지기 시작한 2011년 이후로 12년 동안 양식업계 피해액이 2천억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립수산과학원이 발간하는 '2023 기후변화보고서'를 보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2년 동안 이상기후로 인한 양식 피해액은 2천382억원이다.

원인은 고수온, 적조, 저수온, 태풍, 이상조류, 괭생이모자반 유입 등으로 다양하다.

가장 큰 피해를 준 자연재해는 '고수온'으로 꼽혔다.

 

전체 피해액의 절반이 넘는 53%를 차지하는 1천250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다음은 적조로 피해액이 492억원(21%)이었고, 저수온 268억원(11%), 산소부족 물덩어리(빈산소수괴) 120억원(5%), 이상조류 118억(5%)등이었다.

피해가 가장 컸던 연도는 2018년이었다.

당시 고수온으로 무려 605억원의 피해가 났는데, 경남·전남·충남·제주도를 포함해 850개 어가의 넙치, 전복, 조피볼락, 돔류 등 6천396만 마리 물고기가 폐사했다.

여름철 고수온의 원인은 크게 3가지로 지목된다.

 

이상기후로 폭염의 강도와 지속 기간이 늘어났고, 저위도로부터 열을 옮기는 대마난류의 세기가 증가한 것도 원인이다.

여름철 바닷물이 위아래로 섞이게 해주는 태풍의 빈도가 감소한 것도 이유 중 하나다.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아열대 어종의 출현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아열대 어종은 난류성 소용돌이의 영향을 받는 독도 연안까지도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수과원이 2013년부터 지난 10년 동안 잠수 조사를 한 결과 아열대 어종은 자리돔, 줄도화돔, 파랑돔, 세줄얼게비늘, 가시망둑, 황놀래기, 그물코쥐치 등이 관찰됐다.

대표 아열대 어종인 자리돔은 10년간 조사 내내 출연했고, 2017년 이후 전체 아열대 어종 중 가장 높은 출현 비율을 보이기도 했다.

수과원은 "국내 수산업은 높은 해양 온난화 경향, 잦은 이상기후 발생, 높은 어획 강도, 독특한 양식 환경, 국민들의 수산물 선호도 등으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이 크다"면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정책 연구와 어업 현장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전 찾은 한동훈 "여의도 300명 아닌 국민 5천만 문법 쓰겠다"

[TV서울=박양지 기자]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21일 대전을 찾아 총선 출마설과 관련해 "이미 충분히 말씀드렸다고 생각한다"며 "저는 제 일에 최선을 다해서 하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한 장관은 이날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평가 시스템인 대전 한국어능력평가센터(CBT) 개소식에 참석해 최근 '저의 중요한 일 열심히 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과 관련, 기자들이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묻자 "오늘 대전에 온 이유"라고 답했다. 그는 "외국인 우수 과학 인재를 유치하고,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어를 제대로 습득해서 우리 국민들과 잘 살아갈 수 있는 기본 토대를 만드는 게 내게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한 장관의 문법이 여의도 문법과 다르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여의도에서 300명만 공유하는 화법이나 문법이 있다면 그건 여의도 문법이라기보다는 '여의도 사투리' 아닌가요?"라고 반문하며 "나는 나머지 5천만 명이 쓰는 문법을 쓰겠다"고 말했다. 한 장관의 이 발언을 두고 사실상 총선 출사표를 던진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지난 17일 대구 방문에 이어 대전과 울산 등 연속된 현장 방문이 정치 행보라는 의견에 대해서는 "그동안 국회 일정이 연속적으로 있






정치

더보기
대전 찾은 한동훈 "여의도 300명 아닌 국민 5천만 문법 쓰겠다" [TV서울=박양지 기자]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21일 대전을 찾아 총선 출마설과 관련해 "이미 충분히 말씀드렸다고 생각한다"며 "저는 제 일에 최선을 다해서 하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한 장관은 이날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평가 시스템인 대전 한국어능력평가센터(CBT) 개소식에 참석해 최근 '저의 중요한 일 열심히 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과 관련, 기자들이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묻자 "오늘 대전에 온 이유"라고 답했다. 그는 "외국인 우수 과학 인재를 유치하고,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어를 제대로 습득해서 우리 국민들과 잘 살아갈 수 있는 기본 토대를 만드는 게 내게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한 장관의 문법이 여의도 문법과 다르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여의도에서 300명만 공유하는 화법이나 문법이 있다면 그건 여의도 문법이라기보다는 '여의도 사투리' 아닌가요?"라고 반문하며 "나는 나머지 5천만 명이 쓰는 문법을 쓰겠다"고 말했다. 한 장관의 이 발언을 두고 사실상 총선 출사표를 던진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지난 17일 대구 방문에 이어 대전과 울산 등 연속된 현장 방문이 정치 행보라는 의견에 대해서는 "그동안 국회 일정이 연속적으로 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