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5.2℃
  • 구름많음강릉 14.6℃
  • 맑음서울 16.8℃
  • 맑음대전 16.3℃
  • 구름조금대구 16.9℃
  • 맑음울산 16.1℃
  • 맑음광주 17.8℃
  • 맑음부산 17.1℃
  • 맑음고창 15.0℃
  • 맑음제주 19.1℃
  • 맑음강화 11.8℃
  • 맑음보은 15.3℃
  • 맑음금산 13.4℃
  • 맑음강진군 15.7℃
  • 구름많음경주시 16.0℃
  • 맑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정치


나경원 "용산 대통령, 여의도 대통령 따로 있는 정국"

  • 등록 2024.05.07 09:01:33

 

[TV서울=나재희 기자] 국민의힘 나경원 당선인은 6일 "용산 대통령이 따로 있고, 여의도 대통령이 따로 있는 정국"이라고 말했다.

나 당선인은 이날 채널A 라디오쇼 '정치시그널'에 출연해 "지금 이재명 대표가 여의도 대통령이라는 이야기를 한다"며 이처럼 말했다.

그는 현 정부의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을 거론, "대통령이 내놓은 많은 공약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며 "여의도 대통령 시대이고, 민주당은 이번 선거를 통해 이재명 대표 1당 체제로 확실하게 굳어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1당이 된 민주당을 상대로 하는 여의도 안에선 우리가 야당 아닌가"라며 "민주당에 대응하려면 (차기 원내대표는) 강인함과 유연함을 동시에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차기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한 후보 3인에 대해 "모두 행정고시 출신의 '정책통'"이라며 "용기를 내고 출마해줘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나 당선인은 원내대표 출마설이 제기됐던 '친윤'(친윤석열) 이철규 의원이 불출마한 데 대해선 "불필요한 논의로 굉장히 마음고생했을 것 같다"며 "일 처리를 굉장히 유연하고 포용력 있게 하는 분으로, 다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나 연대'(이철규-나경원 연대)설에 대해선 "'김장 연대'(김기현-장제원 연대)를 생각하게 하는 고약한 프레임"이라며 "이 의원이 초기에 나보다 더 강하게 부인했다"고 말했다. 김장 연대는 작년 3·8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김기현 의원이 전당대회 과정에서 친윤 핵심 장제원 의원과 힘을 합쳤던 당내 세력 연합을 뜻한다.

나 당선인은 김장 연대에 대해 "민심, 당심에 역행하는 흐름을 억지로 만든 것"이라며 "무엇이든 자연스럽게 가는 것이 좋고, 그것이 바로 민심이나 당심에 따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차기 대표 출마 여부에 "내가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까지 고민의 속도가 가지 않았다"며 확답하지 않았다.

 

대표 선출 규정에 대해선 "당 대표는 당원을 대표하는 것이니 여론보다는 당심을 많이 반영해야 하는 것이 있다"면서도 "7:3이 좋다, 8:2가 좋다 이렇게 말하는 것보다, 비대위가 조속한 시일 안에 결론을 내리고 전당대회가 잡음 없이 건강하게 치러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치

더보기
양부남, "중국 모욕 처벌법 아냐"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특정 국가 및 집단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처벌법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입법 취지가 왜곡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양 의원은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개정안은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향하든지 사실이 아닌 허위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비판은 오히려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 의원은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처벌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긴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특정 국가, 특정 국가의 국민, 특정 인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 현행 형법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를 '중국 비판을 막기 위한 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입틀막법'이라고 비판하며 논란이 일었다. 양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이지만 근거 없는 폭언과 혐오 발언은 헌법이 금지하는 영역"이라며 "독일·프랑스·영국 등 다수의 선진국도 인종·국가·종교를 이유로 한 혐오표현을 형법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