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루나 코인 폭락 직전 '고래'들 미리 탈출…개미는 매수"

  • 등록 2022.06.04 13:36:15

[TV서울=변윤수 기자] 지난달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 폭락 사태 직전에 개인투자자들이 매수에 나설 때 이른바 '고래'로 불리는 거물급 투자자들은 미리 빠져나왔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루나·UST에 긴밀히 관여한 가상화폐 금융회사 점프 크립토가 공개된 블록체인 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몇몇 대형 투자자들이 많은 개인투자자보다 훨씬 먼저 UST 보유 물량을 정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고래들은 UST 가격이 기준가인 1달러 밑으로 처음 떨어진 직후인 지난달 7일부터 테라 생태계 내 디파이(탈중앙화금융)인 앵커 프로토콜에서 자금 인출에 나섰지만, 개미들은 지난달 7∼9일에도 UST 보유량을 늘렸다는 것이다.

점프 크립토는 이날 내놓은 루나·UST 폭락 사태 보고서에서 이들 고래의 이탈이 UST 가격 급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UST의 폭락을 야기하는 데 일조한 특정 가상화폐 지갑이 전문 거래업체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은 작다고 관측했다.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이 가상화폐 지갑은 지난달 7일 일련의 거래를 통해 8천500만달러(약 1천56억원) 규모의 UST를 처분했는데, 가상화폐 시장에서는 이를 폭락 사태를 촉발한 첫 번째 움직임으로 보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나 시타델증권 등 대형 기관들이 루나·UST의 하락에 베팅하는 대규모 공격을 가해 폭락 사태를 일으켰다는 주장이 나와 이들 기업이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달 28일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낸슨은 루나·UST 폭락 사태가 단일한 특정 세력의 의도적인 공격에 의해 발생했다는 설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당초 UST 가격이 1달러 밑으로 떨어지면 차익거래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1달러를 회복해야 했지만, 테라 시스템에 대한 불신으로 UST와 루나의 가격이 동반 하락하는 '죽음의 소용돌이'(death spiral) 현상이 벌어졌다.

 

낸슨은 UST의 가격 하락이 몇몇 자금이 풍부한 기관들의 투자 결정 때문이었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들은 UST 가격을 불안하게 만들 의사가 전혀 없었던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 폭락 사태를 가져왔다고 덧붙였다.


서울시, 핼러윈 앞두고 인파밀집 예상 14곳 집중관리

[TV서울=박양지 기자] 핼러윈데이(10월 31일)를 일주일 앞두고 인파밀집 사고를 예방하고자 행정안전부가 인파위기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하기로 한 가운데, 서울시는 이번 주부터 홍대․이태원․성수 등 14개 주요 인파 밀집 예상 지역을 대상으로 ‘특별 안전관리대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시는 10월 24일부터 11월 2일까지 ‘핼러윈 중점 안전관리 기간’으로 정하고 행정안전부·자치구·경찰·소방 등 유관기관과 사전 점검부터 현장 순찰, 실시간 모니터링, 인파 분산까지 전 단계에 걸쳐 빈틈없는 대응체계를 가동한다. 위험 요소는 사전 점검을 통해 선제적으로 제거하고, 관계기관의 상황전파 및 정보공유 체계를 강화해 비상대응체계를 유지한다. 특히 지역별 여건과 특성을 반영한 예측·예방 중심의 맞춤형 안전관리로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시민 안전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인파밀집 예상지역은 14곳(10개 자치구)으로 이태원 관광특구, 홍대 관광특구, 성수동 카페거리, 건대 맛의 거리, 강남역, 압구정 로데오거리, 명동거리, 익선동, 왕십리역, 신촌 연세로, 발산역, 신림역, 샤로수길, 논현역을 포함한다. 시는 해당 지역을 대상으로 사전 현장점검를 실시하고, 안전관리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