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30 (목)

  • 맑음동두천 7.3℃
  • 맑음강릉 13.3℃
  • 맑음서울 9.4℃
  • 맑음대전 10.5℃
  • 맑음대구 10.3℃
  • 연무울산 9.7℃
  • 구름많음광주 10.5℃
  • 연무부산 12.2℃
  • 구름조금고창 3.8℃
  • 구름조금제주 11.8℃
  • 맑음강화 3.8℃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6.8℃
  • 구름조금강진군 7.5℃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2℃
기상청 제공

종합


방역 완화 후 코로나 사망자 급증한 중국 베이징 묘지가격 급등

  • 등록 2023.02.04 11:10:03

 

[TV서울=박양지 기자] 방역 완화 이후 코로나19 감염 사망자가 급증한 중국 베이징의 묘지 가격이 최근 급등했다고 현지 매체 화하시보가 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 묘지 가격은 작년 12월 초부터 오르기 시작했으며, 터가 좋은 '명당'은 확보 경쟁이 치열해 구하기가 쉽지 않다.

일부 공원묘지는 조성한 묘지가 모두 팔린 상태다.

아이쓰 씨는 "작년 12월 말 85세 할머니가 사망, 베이징 창핑 13릉(陵) 부근의 0.8㎡ 규모의 묘지를 18만 위안(약 3천300만원)에 구매했다"며 "풍수가 좋고 합장이 가능한 곳"이라고 말했다.

 

그는 "평소보다 묘지 수요가 서너 배 늘었다고 하더라"며 "특별한 시기라 묘지를 구하기 어려우리라 생각했지만, 이 정도로 수요가 많을 줄 몰랐다"고 말했다.

창녠 씨가 할머니를 위해 구매한 창핑 근처의 1㎡ 넓이의 고급 묘지는 23만 위안(약 4천200만원)으로 훨씬 비쌌다.

베이징의 한 묘지 분양 업체 관계자는 "묘지 수요가 눈에 띄게 늘었다. 매일 문의 전화가 오고, 이른 아침부터 저녁까지 고객의 원하는 묘지를 찾아준다"며 "묘지가 없는 건 아닌데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말했다.

베이징의 묘지 가격 급등은 코로나19 감염 사망자 증가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지난 3년간 엄격한 방역 통제정책인 '제로 코로나'를 시행해온 중국이 작년 말 방역을 완화하며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이후 코로나19가 급속히 번졌고, 베이징 등을 중심으로 사망자가 급증했다.

 

베이징에서는 영안실과 안치실을 구하지 못해 유족들이 애를 태웠고, 화장하기 위해 일주일가량 대기해야 할 정도로 화장장이 포화 상태였으며 곳곳에 임시 화장터가 들어서기도 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지난 14일 방역 완화 조치가 시행된 지난달 8일 이후 지난 12일까지 한 달여간 병원 내 코로나19 감염 관련 사망자가 5만9천938명이라고 발표했으나,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은 이는 실제 중국 사망자의 10분의 1 수준일 것이라고 관측했다.

다만 최근 묘지 가격이 이상 급등한 것은 맞지만, 지난 10년간 해마다 가격이 30%씩 꾸준히 상승했으며, 장지 판매업은 마진율이 높은 '알짜배기 사업'이라고 현지 매체가 전했다.

중국 1위의 장지 업체 푸서우위안의 지난 5년간 영업 이익률은 안정적으로 85%대를 유지했으며, 푸정장의사의 2021년 영업 이익률은 전년보다 6.4% 증가해 87.4%에 달했다.

한 장의업계 관계자는 "죽음이 주는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말하는 것을 꺼리고, 기피하지만 중국의 장지 산업은 해마다 급성장하고, 높은 마진을 보장하는 블루오션"이라고 말했다.


광진구, 소기업과 소상공인에 최대 5천만 원까지

[TV서울=심현주 제1본부장] 광진구(구청장 김경호)가 29일, 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광진형 특별융자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광진형 특별융자 지원’을 위해 마련된 이번 협약식에서 광진구는 서울신용보증재단, KB국민‧우리‧신한‧하나은행과 손을 맞잡고, 지원에 필요한 출연과 특별보증, 이차보전 등에 대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담보력이 부족한 관내 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금난 해소에 도움을 주고자 추진된 ‘광진형 특별융자 지원’은 업체당 최대 5천만 원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구에서 2% 이차보전을 특례 지원함에 따라 거치기간 2년 동안 2% 내외의 변동금리가 적용되고, 융자금은 거치기간 이후 3년 균등분할로 상환하면 된다. 이번에는 특히, 융자 한도가 작년에 업체당 최대 3천만 원이었던 것에서 최대 5천만 원으로 확대됐다. 특별융자 지원을 위해 광진구는 서울신용보증재단에 20억 원을 출연하고 KB국민‧우리‧신한‧하나은행으로부터 19억 원의 출연금을 유치해, 총 525억 원의 융자 규모를 조성했다. 이는 작년 대비 약 57억 원이 증가한 규모다. 신청일 기준으로 광진구에서 사업자등록을 한 지 3개월 이상인 소기업과 소상공인이라면 오는 4월 19일부터 특별융자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