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아파트 전셋값 1위 강남→서초...입주 물량 쏟아지자 강남도 휘청

올해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전셋값 4.7% 하락…강남이 가장 많이 떨어져

  • 등록 2023.03.30 09:30:22

 

[TV서울=이천용 기자] 아파트값과 함께 전셋값도 가파르게 하락하는 가운데 올해 서울에서는 강남구 아파트 전셋값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에 따르면 KB부동산의 주택가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이달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전셋값은 2천285만5천원으로 지난 1월(2천398만3천원)과 비교하면 112만7천원(-4.7%) 떨어졌다.

서울에서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가장 큰 폭 하락한 곳은 강남구로 지난 1월 3.3㎡당 평균 3천700만7천원이었지만, 이달에는 3천411만3천원으로 289만4천원(-7.8%) 하락했다.

이에 이달 전국 아파트 평균 전셋값 1위 자리는 강남구에서 서초구(3천486만5천원)로 바뀌었다.

 

동작구(-7.3%), 강북구(-6.7%), 송파구(-5.0%), 성동구(-4.8%) 등 순으로 하락 폭이 컸다.

강남구 아파트 전셋값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고금리 기조로 전세 수요가 줄어드는 가운데 입주 물량이 쏟아졌기 때문이다.

강남구에는 지난달 3천375가구 규모의 개포 자이 프레지던스가 입주를 시작했다. 오는 6월 대치 푸르지오 써밋(489가구), 11월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6천702가구)도 입주를 앞두고 있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 일원동 '한솔마을' 전용면적 84.73㎡의 경우 올해 1월 7억3천만원(2층)에 신규 전세 계약이 이뤄졌지만, 이달에는 5억원(2층)에 전세 계약이 체결돼 전셋값이 두 달 새 2억3천만원이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 도곡동 '도곡우성' 전용 84.83㎡도 지난 1월 6억8천만원(13층)에 신규 전세 계약이 됐지만, 이달에는 6억원(10층)에 전세 계약이 체결돼 8천만원 떨어졌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부동산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된다"며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이 많은 강남구는 지금과 같은 전셋값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는 올해 1월 4천883만3천원에서 이달 4천757만7천원으로 2.6% 하락했다.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자치구는 강북구로 이 기간 3천87만원에서 2천958만원으로 4.2% 떨어졌다.


인천시, 소래습지 국가도시공원 지정 위해 속도

[TV서울=권태석 인천본부장] 인천시가 수도권 서해안의 마지막 대규모 갯벌이자 천일염 문화의 시작지인 소래습지생태공원 일원을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하기 위한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8월 4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국가도시공원 지정 요건과 국비 지원 범위가 확대*됐으며 시는 이를 기회로 삼아, 소래습지와 해오름공원, 람사르습지, 장도포대지 등 약 600만㎡를 통합한 ‘소래염전 국가도시공원’ 지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의 국가도시공원 지정사업은 자연경관·생태계·역사문화유산 등 복합가치가 높은 지역을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개발압력, 난개발, 오염 위협으로 훼손 우려가 큰 주요 자원을 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보전하려는 것인데, 소래습지가 갖는 지리·생태·역사·문화의 복합적 가치는 제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기에 충분하다. 소래습지는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자연해안선과 한남정맥 발원 하천의 자연하구를 동시에 품은 지역이다. 자연해안선은 조간대, 갯벌, 염습지 등 다양한 서식환경을 형성해 어류·조류·무척추동물의 번식과 서식지 역할을 하며 특히 기수역(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역)은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고, 멸종위기종 저어새를 비롯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