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현대차·기아, 역대 1분기 최대실적 전망...'이제 車가 1등산업'

삼성전자 어닝쇼크 속 현대차·기아, 각각 2조원대 영업익 예상
현대차, IFRS 도입 후 첫 상장사 분기 영업익 1위 오를듯

  • 등록 2023.04.09 09:58:05

 

[TV서울=나재희 기자] 현대차[005380]와 기아[000270]가 이번 달 마지막 주에 예정된 올해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역대 1분기 최고 성적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현대차는 반도체 업황 한파로 실적 충격(어닝 쇼크)을 겪은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를 제치고 '상장사 분기 영업이익 1위'에 오를 것이 유력하다.

9일 연합뉴스가 연합인포맥스 시스템을 이용해 최근 석 달 치 증권업계 전망을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현대차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각각 35조2천845억원, 2조6천58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실적(매출 30조2천986억원·영업이익 1조9천289억원)보다 각각 16.5%, 37.8% 증가한 수치다.

 

전망이 맞아떨어질 경우 현대차는 2010년 새 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역대 최대 1분기 실적을 기록하게 된다. 같은 그룹사인 기아의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22조4천302억원, 2조1천978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같은 기간 매출 18조3천572억원, 영업이익 1조6천65억원보다 각각 22.2%, 36.8% 늘어난 것이다.

예상이 현실화하면 기아도 IFRS 도입 이후 1분기 기준 영업이익 2조원을 처음으로 돌파하며 최대 실적을 경신하게 된다. 다만 증권계에서는 최근 기아의 성장세를 고려해 영업이익이 2조5천억원대까지 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현대차·기아의 예상 영업이익을 합치면 4조8천562억원이다. 1분기가 전통적인 자동차 판매 비수기란 점을 고려하면 작년과 같은 품질 이슈가 재발하지 않을 경우 올해 현대차·기아 합산 영업이익 20조원 돌파도 가능한 상황이다. 미국과 유럽 등 핵심 자동차 시장에서 판매량이 크게 증가한 것이 두 기업의 선전을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1∼3월 미국에서 총 38만2천354대를 판매해 역대 1분기 최다 판매 실적을 달성했다. 제네시스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 상대적으로 비싼 차를 더 많이 판 '판매 믹스'(차량용 구성비율) 개선도 한몫했다.

 

다만 이달 18일부터 시행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배터리 광물·부품 요건 등으로 북미 시장에서 전기차 세액공제를 받지 못하는 것은 올해 최대 위험 요소로 꼽힌다.

한편 현대차는 이번 1분기 삼성전자를 제치고 상장사 분기 영업이익 1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이는 IFRS 도입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1분기 상장사 영업이익 순위는 삼성전자(14조1천214억원), HMM[011200](3조1천486억원), SK하이닉스(2조8천596억원), 포스코홀딩스[005490](2조2천576억원), 현대차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반도체 불황으로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6천억원으로 쪼그라들고, SK하이닉스도 3조6천353억원(연합인포맥스 집계)에 달하는 영업적자를 볼 것으로 전망되면서 순위는 뒤바뀔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해운 침체기 돌입으로 HMM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3% 급감한 5천411억원으로 예상된다. 포스코홀딩스의 예상 영업이익은 71% 줄어든 6천508억원이다.


서울시, 영등포 쪽방 주민‧인근 노숙인 위해 주 3회 찾아가는 진료

[TV서울=변윤수 기자] 서울시는 10월 20일부터 영양상태, 운동 부족 등으로 세심한 건강관리가 필요한 영등포쪽방촌 주민과 인근 거리 노숙인을 주 3회 직접 찾아가는 진료를 시작했다. 서울시는 지난 7월, 영등포지역 재개발로 38년간 무료 진료를 이어오던 ‘요셉의원’이 서울역 인근으로 이전함에 따라 의료‧진료 사각지대를 막기 위해 20일부터 매주 월‧목‧금, 주 3회(오후 2시~5시) 순회진료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순회진료는 노숙인 시설 ‘영등포보현종합지원센터 부속의원’이 담당하고 쪽방촌과 가까운 ‘영등포보현희망지원센터’에서 진행된다. 진료는 쪽방촌 주민과 노숙인에 대한 기초 건강검진, 간단한 진료와 치료부터 의사 진단 결과 상세한 검진이 필요한 경우는 서울의료원이나 서울시립보라매병원 등 상급병원에 진료를 연계해 적극적인 건강관리를 돕는다. 상급병원 진료 시 발생하는 본인부담금은 서울시 노숙인 의료지원 사업을 통해 전액 지원한다. 서울시는 현재도 건강관리가 필요한 영등포쪽방촌 주민과 인근 노숙인70여 명에 대해 간호사 정기 가정방문, 거리상담 활동 등을 집중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치료 및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순회진료와 적극적으로 연계한다. 이외에

서울시, ‘유아 비만예방 사업’ 본격 추진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가 유아 비만 문제를 체중 관리 차원이 아닌 ‘아이의 평생 건강을 지키는 출발점’으로 보고, 어린이집에서 가정까지 이어지는 건강관리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몸을 움직이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갖도록 하겠단 취지다. 먼저, 시는 어린 시절부터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도록 돕기 위해, 어린이집에 다니는 4~7세 유아와 보호자,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유아 비만예방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정기적인 신체측정,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일상 속 신체활동 활성화, 측정 정보 분석·연구 등 ‘측정→관리→실천→분석’ 전 과정을 포괄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시는 우선 모집을 완료한 500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사업 모델을 구축한 후 전체 어린이집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민·관 협력으로 지속 가능한 체계를 마련한다. 500개 어린이집 유아 1만 40명을 대상으로 연 2회 신장·체중(비만도), 유연성, 근지구력,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등 6개 항목의 체력을 측정하고, 보호자의 건강행태 설문조사도 함께 실시한다. 측정 결과는 ‘성장·발달 리포트’ 형태의 문자 알림으로 보호자에게 전송되며, 아이의 체력 수준에 따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