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수능 수학 미적분 '쏠림 현상' 여전…국어는 화법과 작문 반등

  • 등록 2024.12.08 07:55:16

 

[TV서울=나도진 서울본부장] 수험생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고득점을 받기 위해 수학영역 선택과목 중 미적분을 택하는 쏠림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이유로 증가 추세였던 국어영역 언어와 매체를 응시한 비율은 올해 수능에선 하락으로 반전했다.

8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입시업계에 따르면 2025학년도 수능에 응시한 수험생 중 절반 이상이 수학 선택과목으로 미적분을 택했다. 미적분을 선택한 응시자는 22만7천232명으로, 전체 수학영역 응시인원의 51.3%를 차지했다.

확률과 통계가 20만2천266명으로 45.6%였고, 기하는 1만3천735명으로 3.1%에 그쳤다.

 

미적분을 선택한 응시자 비율은 2022학년도 39.7%에서 2023학년도 45.4%, 2024학년도 51.0%, 2025학년도 51.3%로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확률과 통계 응시자 비율은 2023학년도 48.2%에서 올해 45.6%로 2.6%포인트 떨어졌고, 기하는 같은 기간 6.4%에서 3.1%로 반토막이 났다.

수험생이 미적분을 많이 택하는 이유는 표준점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다.

표준점수는 개인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보여주는 점수다. 통상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승하고, 시험이 쉬우면 하락한다.

2022학년도 통합수능이 도입된 이후 같은 원점수를 받아도 상대적으로 어려운 미적분의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 표준점수)이 높은 현상이 계속 이어졌다.

 

작년 수능에서 확률과 통계는 137점, 미적분은 148점, 기하는 142점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됐다.

입시업계에선 이번 수능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을 미적분 143점, 기하 137∼142점, 확률과 통계는 137점으로 예측했다.

미적분에서 한두문제를 틀려도 확률과 통계 만점과 표준점수 최고점은 비슷한 셈이다.

이렇다 보니 의대나 자연계 상위권 학과를 노리는 수험생뿐 아니라 중위권 학생도 미적분을 택하며 과반의 응시자가 미적분에 몰리는 쏠림현상이 심화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5일 발표한 2025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 자료에서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학생의 84.3%는 사회탐구를, 미적분과 기하를 선택한 학생은 각각 68.3%와 57.2%가 과학탐구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선택과목을 1개씩 조합해 응시한 수험생 비율은 확률과 통계 응시자의 6.2%, 미적분 응시자의 14.4%, 기하 응시자의 12.7%였다.

국어영역에선 언어와 매체가 고득점을 받기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언어와 매체를 응시한 수험생 비율은 2023학년도 35.1%에서 2024학년도 40.2%로 증가했다.

작년 수능에서 언어와 매체 표준점수 최고점은 150점으로 화법과 작문(146점)보다 4점 더 높았다.

그러나 올해 수능에선 언어와 매체 응시율이 37.0%로 3.2%포인트 떨어졌다.

작년 수능에서 국어가 통합수능 이래 가장 어렵게 출제되자 상대적으로 학습 부담이 덜한 화법과 작문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입시업계는 올해 국어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이 언어와 매체는 136∼140점, 화법과 작문 135점∼138점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학생이 느끼는 학습량이 화법과 작문보다는 언어와 매체가 상대적으로 많은 데다가, 수학에 비해 국어는 선택영역 간 격차가 적은 편이라 언어와 매체를 택할 유인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최호정 시의회 의장, “정근식은 조희연의 ‘사면’ 아닌 ‘사과’ 요구해야”

[TV서울=나재희 기자]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1일,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이 이날 이재명 대통령에게 ‘조희연 전 교육감 광복절 사면’을 공개 건의한 것에 대해 입장문을 통해 “헌법교육을 강조하면서 삼권분립을 위협하는 사면을 주장하고 있다”며 “조 전 교육감에게 진정어린 사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우리 아이들이 배워야 할 상식”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다음은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의 입장문 전문이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이 1일 조희연 전 서울시교육감을 광복절 특사로 사면해 달라고 대통령에게 공개 건의했다. 조 전 교육감은 국가공무원법을 어기고 직권을 남용해 해직교사들을 특혜채용한 것이 확인돼 지난해 8월 대법원에서 징역 1년6개월(집유 2년)형을 받고 교육감직을 상실했다. 형이 확정된 지 1년도 안된 사람을 사면 해달라고 주장하는 정 교육감에게 22년 12월 당시 정부가 한 사면에 대해 민변 회장이 공개적으로 한 주장을 들려주고 싶다. "사면은 사법부가 오랜 시간 재판으로 어렵게 실현한 법치주의를 단숨에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사면권 남용은 삼권분립 위반이고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일이다" 서울교육청은 지금 서울 학생들에게 헌법의 기본 정신 등 헌법 교육을 강화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