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행정


뉴욕 밀치기 범죄에 사고 막는 서울지하철 스크린도어 재조명

  • 등록 2025.01.12 09:29:18

 

[TV서울=이현숙 기자] 최근 미국 뉴욕 지하철에서 서브웨이 푸싱(subway pushing), 일명 '묻지마 밀치기' 범죄가 발생함에 따라 승강장 벽에 붙어 열차를 기다리는 뉴요커의 모습이 공개돼 적잖은 충격을 줬다.

 

동시에 국내에서는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승강장 안전문(스크린도어) 설치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됐다. 뉴욕 지하철에는 승강장 안전문이 없어 범죄와 사고 위험을 키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승강장 안전문은 국내 지자체 중 서울시가 갑작스러운 선로 진입, 또는 대중을 상대로 한 무작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처음 도입했다. 이명박 전 시장 시절 시범사업으로 시작했으며, 오세훈 시장 재임 시절인 2006년부터 본격화됐다. 기존 목표였던 2010년보다 1년가량 앞당겨 2009년 지하철 1∼8호선의 262개 전 역사에 승강장 안전문을 설치했다.

 

현재는 9호선과 우이신설선 등을 포함해 총 345개 역사가 승강장 안전문을 갖췄다.

 

 

오 시장은 최근 자신의 SNS에 올린 영상에서 "승강장 안전문이 없을 때에는 사고 발생이 잦아 맨 앞에 서서 기다리는 사람들은 늘 불안했다"며 시장 취임 후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안전문 설치를 서둘렀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승강장 안전문 설치 전인 2001∼2009년 연평균 37.1명이던 지하철 사고 사망자 수는 2010년 이후 0.4명(0∼2명)으로 크게 줄었다.

 

승강장 안전문이 선로의 오염물질과 열차풍을 차단하면서 미세먼지 감소 효과도 나타났다. 안전문 설치 전 미세먼지 농도는 기준치(100㎍/㎥)를 넘는 106.7㎍/㎥였으나 설치 후엔 86.5㎍/㎥로 20%가량 낮아졌다.

 

승강장 소음 역시 설치 전 78.3㏈에서 설치 후 72.1㏈로 약 7.9% 줄었으며, 냉방효율은 30%가량 늘어 1일 6억 원에 달하던 전력비용이 약 4억2,500만 원으로 30% 줄어 6∼8월 기준으로 연간 167억 원을 절감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는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이 넓은 곡선형 승강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발 빠짐 사고 예방을 위해 접이식 자동안전발판도 작년부터 설치를 시작했다.

 

 

현재까지 1∼8호선 22개 역 263개소에 설치를 완료했고 올해도 52개 역 326개소에 설치하는 것이 목표다.

 

접이식 자동안전발판 설치가 어려운 67개 역사 413개소에는 고휘도LED 경고등을 설치해 승객이 발 빠짐 위험을 인지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런 노력으로 서울을 방문한 해외관광객과 서울에 사는 외국인들이 지하철을 가장 우수한 인프라로 평가한다고 시는 소개했다.

 

세계 최대 여행정보사이트 트립어드바이저(Trip Advisor)는 한국에서 관광객이 해야 할 단 한 가지 체험으로 '지하철 타기'를 꼽기도 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11일 "서울 지하철은 시민 편의를 위한 혼잡도 관리부터 지하철 공기 질 개선 등 이용 시민의 안전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고 있다"며 "서울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계속 호평받을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고] 통장 규제로 사업자들의 경제활동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보이싱피싱 피해를 줄이겠다고 사업자들이 통장을 만들고 이체한도를 적게 설정해서 경제활동에 불편뿐만 아니라 경제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법인사업자 A씨는 10여 년 전 우리은행에서 법인통장을 만들었다. 최근그 통장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재발행을 했는데 1일 온라인 이체한도가 100만 원으로 설정되어 있어, 이를 높여달라고 요구하니, 은행으로부터 먼저 실사를 나오겠다는 말을 들었다. 그는 이런 이야기를 듣고 직원들이나 주변인들 모두 대출도 아니고 통장한도 증액인데 설마 진짜 실사는 나오는가 의아했다. 그런데 퇴직 은행원이 위탁을 받아 현장 실사를 나와 대출심사처럼 사업현황들을 물어본 뒤 3일 후 한도가 증액됐다. 법인사업자 통장을 개설하거나 일정기간 사용을 하지 않다가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 1일 이체한도가 온라인은 100만 원, 창구에 직접 방문할 경우 300만 원까지로 준다. 그리고 3개월이 지나면 심사를 통해 통장이용 한도증액이 가능한데, 최근에는 위와 같이 현장실사를 나온 후 증액을 해주고 있고 있는 것이다. 다른 은행에 가서 물어보니 금감원 지침이지만 통장한도 증액을 위해서 현장실사까지 가지 않는다고 했다. 보이스피싱 조직들에게 통장이 넘어갈 것을 방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