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2 (일)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제주 올해 농축산업 조수입 4조원 돌파 관심

  • 등록 2025.01.26 10:15:18

 

[TV서울=박지유 제주본부장] 올해 제주 농축산업 조수입이 사상 처음으로 4조원을 돌파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농협 제주본부는 선제적 수급 조절과 물류 기능 통합 등을 통해 농축산업 조수입 4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2023년 조수입 3조5천936억원, 2024년 조수입 3조8천억원보다 각각 11.3%, 5.3% 증가한 것이다.

올해 구체적인 조수입 목표 금액은 감귤과 기타 과수 1조6천억원, 밭작물 1조원, 축산물 1조4천억원이다.

 

감귤과 기타 과수의 경우 지난해 1조5천억원보다 1천억원을 높여 잡았고, 밭작물은 지난해 9천300억원보다 700억원을 높였다. 축산물은지난해 1조3천500억원에서 500억원 올려 잡았다.

제주본부는 이를 위한 세부 추진 계획으로 먼저 수급 안정과 마케팅 강화를 통한 '판매농협' 구현을 들었다.

판매농협 구현을 위해서는 선제적 수급 조절을 통한 농산물 가격지지, 가공사업 확대 및 브랜드 관리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 자조금 기능 강화 및 조공법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농산물 통합 마케팅 활성화를 추진한다.

다음은 스마트 인프라 구축과 유통혁신으로 감귤 경쟁력을 강화한다.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스마트화 및 현대화를 통해 시장경쟁력을 높이고, 감귤유통혁신협의회를 신설해 감귤산업 혁신을 주도하며, 감귤 수출안정기금 조성으로 안정적 수출 기반을 마련한다.

 

청정 제주 축산물 브랜딩 강화로 마케팅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판매채널을 다각화해 축산브랜드 통합 마케팅을 추진하고, 상시 방역 추진을 통해 청정 제주 축산물 위상을 유지한다.

특히 농협 경제지주 제주본부의 조직을 개편해 주무단을 농축산지원단에서 경제지원단으로 변경하고, 농산물 물류 업무를 경제지원단 업무로 통합했다.

제주본부는 지난 17일 대회의실에서 100여명의 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농축산업 조수입 4조원 시대 도약을 위한 결의대회를 했다.

고우일 제주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농업인의 삶에 가장 가까이 있는 동반자로서 따뜻한 마음으로 농업농촌을 살피는 농협인이 되기를 바란다"면서 "농업인의 실익 증진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업무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정치

더보기
김부겸 전 총리, 개헌론에 "내년 지선이나 다음 총선 때 매듭지어야" [TV서울=나재희 기자]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31일 권력구조를 바꾸자는 정치권의 개헌 논의에 대해 "이르면 내년 지방선거, 늦어도 다음 총선 때는 매듭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총리는 이날 MBN '뉴스와이드'에 출연해 "제왕적 대통령제를 걷어낼 때가 됐다. 대통령에게 지나치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로 꼽히는 김 전 총리는 "기본적으로 '12·3 비상계엄' 사태가 생긴 가장 큰 이유는 대통령 한 사람에게 계엄령이라는 막강한 권한을 줬기 때문"이라면서 "이런 고통을 치르고도 합의가 안 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력 후보자들이 후보가 되면 국민들이 (개헌을) 요구해야 한다"며 "이렇게까지 공동체가 흔들렸는데,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고 하는데 어떤 대안을 가졌는지 물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전날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 당부한 '통합' 메시지에 대해서는 "당내 대권 주자들이 각자 비전을 가지고 호소하는 것이 당에 도움이 된다"며 "그런 목소리를 억지로 누르는 것은 안 하는 게 좋겠다는 취지로 말씀하신 것 같다"고 해석했다. 김 전 총리는 김두관 전 경남지사와 설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