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2 (일)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종합


전세계 원전 발전량 올해 역대 최고 전망…"SMR 경쟁력 갖춰야"

  • 등록 2025.01.27 08:54:23

 

[TV서울=이현숙 기자] 글로벌 원전 설비 용량과 원전 발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올해 전세계적으로 원전 발전량이 역대 최고치를 달성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전경영연구원은 국제에너지기구(IEA) 전망치를 활용해 올해 원전 발전량이 작년보다 3.5% 증가한 2천907TWh(테라와트시)로 예상된다고 27일 밝혔다.

글로벌 원전 발전량은 2023년 2천765TWh, 2024년(전망) 2천809TWh, 2025년 2천907TWh로 증가하는 추세다.

국내 원전 설비용량은 지난해 기준 26.1GW(기가와트)로 세계 5위 수준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새울 3·4호기, 신한울 3·4호기 등 총 5.6GW 규모의 원전 4개 호기가 건설 중이다.

연구원은 "원자력이 탄소중립을 위한 무탄소 전원이자 에너지 안보를 위한 안정적 전력 공급원으로 인식되면서 필수적인 에너지원이라는 글로벌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9)에서는 탄소중립과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뿐 아니라 원전도 중요하다는 인식이 늘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원전 용량을 3배로 확대하는 '넷제로 이니셔티브'에 참여를 선언한 국가는 한국, 미국, 프랑스, 아랍에미리트(UAE) 등 기존 25개국에서 31개국으로 늘어났다.

신규 참여국은 케냐, 튀르키예, 엘살바도르, 카자흐스탄, 코소보, 나이지리아 등이다.

 

연구원은 이 같은 원전 수요 증가와 공감대 확산 속에 기존 원전보다 발전된 소형모듈원자로(SMR)나 MMR(10㎿·메가와트 이하 원자로)에 대한 실증·상용화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가운데 SMR의 경우 설계·조달·건설(EPC)뿐 아니라 운영·정비·연료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에 민간기업과의 파트너십 및 국제 협력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가파른 경제 성장으로 에너지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아시아 등 개발도상국들의 원전 도입 움직임도 주목할 만하다.

연구원은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원전 도입 움직임은 활발하지만 현지 공급망이 구축돼 있지 않다"며 "효율적인 공급망 구축과 운용이 아시아 신규 원전 개발 및 사업 추진 과정에서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아시아 신흥국들은 전력망 규모가 비교적 작은 데다 대규모 자본이 요구되는 대형 원전 건설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며 "한국 기업들이 원전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금 조달 방안과 함께 소형 원전 건설 등으로 전략을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치

더보기
김부겸 전 총리, 개헌론에 "내년 지선이나 다음 총선 때 매듭지어야" [TV서울=나재희 기자]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31일 권력구조를 바꾸자는 정치권의 개헌 논의에 대해 "이르면 내년 지방선거, 늦어도 다음 총선 때는 매듭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총리는 이날 MBN '뉴스와이드'에 출연해 "제왕적 대통령제를 걷어낼 때가 됐다. 대통령에게 지나치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로 꼽히는 김 전 총리는 "기본적으로 '12·3 비상계엄' 사태가 생긴 가장 큰 이유는 대통령 한 사람에게 계엄령이라는 막강한 권한을 줬기 때문"이라면서 "이런 고통을 치르고도 합의가 안 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력 후보자들이 후보가 되면 국민들이 (개헌을) 요구해야 한다"며 "이렇게까지 공동체가 흔들렸는데,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고 하는데 어떤 대안을 가졌는지 물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전날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 당부한 '통합' 메시지에 대해서는 "당내 대권 주자들이 각자 비전을 가지고 호소하는 것이 당에 도움이 된다"며 "그런 목소리를 억지로 누르는 것은 안 하는 게 좋겠다는 취지로 말씀하신 것 같다"고 해석했다. 김 전 총리는 김두관 전 경남지사와 설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