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


트럼프 당선일로 회귀한 테슬라 주가…닷새째 내려 290달러

전날 8%대 급락 이어 또 4%↓…고점 대비 39.4% 떨어져
지난 두 달여간 시총 868조원 증발…"머스크 정치활동 영향"

  • 등록 2025.02.27 08:47:51

 

[TV서울=박양지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업체 테슬라 주가가 작년 1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이 확정된 직후 수준으로 회귀했다.

2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날보다 3.96% 내린 290.80달러에 마감했다.

전날 하루 8.39% 급락한 데 이어 또다시 큰 폭으로 내린 것으로, 지난 20일부터 5거래일 연속 하락을 기록했다.

이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9천354억달러 수준이다.

 

테슬라 주가는 작년 대선일인 11월 5일 251.44달러(이하 종가 기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이 확정된 6일 288.53달러로 하루 새 15% 급등한 뒤 랠리를 지속해 12월 17일엔 역대 최고점인 479.86달러를 찍었다.

이후 주가는 내리막길을 걸었고, 이날까지 고점 대비 39.4% 하락해 작년 11월 6일 종가와 근접한 수준으로 되돌아왔다.

시총은 작년 12월 17일 1조5천404억달러를 찍었다가 이후 두 달여간 6천50억달러(약 868조원)가 증발했다.

시장에서는 최근 발표된 테슬라의 유럽 판매량 급감을 비롯해 정부효율부(DOGE)를 이끄는 머스크의 정치 활동이 미국과 유럽 소비자들에게 반감을 일으키면서 테슬라 영업에 타격을 줄 것을 우려하고 있다.

딥워터에셋 매니지먼트의 진 먼스터는 전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최근의 테슬라 주가 하락은 투자자들이 올해 실적에 대한 기대치를 재조정하는 것과 관련 있다"며 "이런 조정된 기대치의 촉매제는 머스크의 정치적인 가시성 증가로, 이는 테슬라 구매자들을 멀어지게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 소문으로 전해지는 테슬라의 올해 인도량 수치는 170만대 정도로, 이는 작년 대비 4% 감소하는 것이어서 월가의 예상치인 '12% 증가'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며 "실제로 나오는 수치가 소문으로 전해지는 수치에 가까워질 때까지 테슬라 주가는 바닥을 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슬라 강세론자로 유명한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도 지난 24일 보고서에서 머스크의 DOGE 활동이 테슬라 주가에 "가시적인 하방 부담"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월가의 걱정은 머스크가 DOGE에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테슬라에 매우 중요한 해에 머스크의 시간을 빼앗는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돌입 [TV서울=이현숙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26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말레이시아로 출국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다토 모하메드 잠루니 빈 카리드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 등이 서울공항에 나와 이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의 출국을 배웅했다. 정 대표는 공군 1호기로 이동하는 도중 이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며 웃음을 짓기도 했다. 아세안 정상회의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까지 이어지는 이른바 '정상외교 슈퍼위크'의 막이 올랐다. 이 대통령은 이날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한다.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지난달 미국 뉴욕 유엔총회에 이어 취임 후 세 번째로 다자 외교 무대를 밟는다. 이 대통령은 현지 첫 일정으로 동포들과 만찬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튿날에는 가장 먼저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및 온라인 스캠 범죄 대응 공조 등 현안에 대해 협의한다. 이어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