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관악구, 서울 남부권 최초 ‘자연휴양림’ 조성 본격화

  • 등록 2025.05.14 10:08:45

 

[TV서울=신민수 기자] 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지난 13일 산림청으로부터 서울 남부권역 최초로 ‘자연휴양림 지정고시’를 받았다. 이번 고시로 구는 공원여가 도시브랜드 힐링·정원도시의 핵심 인프라인 ‘관악산 자연휴양림‘ 조성을 위한 본격적인 출발선에 서게 됐다.

 

관악산은 산림청이 선정한 100대 명산이자, 2023년 기준 한 해 동안 서울시민이 가장 많이 찾은 산림형 공원이다. 구는 최근 산림 여가와 휴양에 대한 수요 증가세에 발맞춰, 관악산 자연환경을 활용한 품격 있는 산림 휴양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지정 고시를 받은 지역은 관악산 도시자연공원구역 내 신림동 산117-24번지 일대 9필지로, 총 216,333㎡ 규모의 휴양림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기본계획 용역을 시행 중인 구는 총사업비 141억 원을 투입해 관악산 자연휴양림 조성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 오는 하반기에 실시설계를 시행하고, 2026년 상반기에는 자연휴양림 조성계획 승인과 착공을 통해 2027년까지 준공할 계획이다.

 

앞서 관악산 자연휴양림은 ’2023년 서울시 산림여가 활성화 기본계획’에서 우선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어, 구는 2026년까지 시 예산 총 107억 원을 확보할 예정이다.

 

이후 구는 사전 입지조사와 타당성 평가 용역을 통해 자연휴양림 조성 예정지에 대해 ‘적지’ 판정을 받았다. 이에 지난 2월 자연휴양림 지정 신청했고, 이번 지정 고시를 받으며 관악산 자연휴양림 조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관악산 자연휴양림은 관악산 내 등산로와 둘레길을 연계한 숲속의집(숙박시설) 27실을 비롯한 ▲숲속 카페 ▲ 웰컴정원 ▲산림 체험시설 ▲방문자센터 등 다양한 산림 체험 인프라가 조성될 예정이다.

 

특히 구는 ▲산림욕 ▲숲 속 명상 ▲관악산 트레킹 등 기존 운영 중인 관악산 ‘숲 체험’ 프로그램 등 관악산 생태자원과 수려한 자연경관을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산림 여가 콘텐츠를 함께 제공한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관악산 천혜의 자연 자원을 활용해, 구민들이 멀리 나가지 않아도 도심 속 힐링을 만끽할 수 있는 산림 휴양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오랜 시간 준비해 왔다”며 “관악산 대표 명소로 거듭날 자연휴양림에서 방문객들이 바쁜 일상 속 휴식하고 힐링할 수 있는 고품격 휴양단지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日 도쿄로 출발…3박 6일 순방 일정 돌입 [TV서울=나재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오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연이은 정상회담을 위해 서울공항을 통해 출국했다. 이번 순방에는 부인 김혜경 여사도 동행했다. 3박 6일의 빠듯한 일정으로 떠나는 이번 순방으로 한미일 동맹을 중심축에 두고 '국익중심 실용외교'를 펼치겠다는 이 대통령의 외교 구상이 본격적으로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일본 도쿄에 도착해 재일동포들과의 오찬 간담회를 시작으로 일본 방문 공식 일정을 소화한다. 이 대통령은 이어 이시바 총리와 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의 발전 방안을 논의한다. 친교 만찬도 연이어 예정돼 있다. 24일 오전에는 일한의원연맹 소속 일본 측 정계 인사들을 만나 의견을 청취한 뒤 미국으로 출발해 현지시간으로 같은 날 오후 워싱턴DC에 도착한다. 이번 순방의 '하이라이트'인 한미정상회담은 25일 오전 열린다. 지난달 말 타결된 관세협상의 세부 협의를 비롯해 주한미군 유연화 등 안보 현안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이후 한미 양국 재계 인사들과의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초청 연설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