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구름많음동두천 10.9℃
  • 흐림강릉 11.4℃
  • 흐림서울 14.0℃
  • 대전 13.1℃
  • 대구 13.2℃
  • 울산 12.7℃
  • 광주 13.0℃
  • 부산 13.5℃
  • 흐림고창 13.1℃
  • 제주 17.0℃
  • 구름많음강화 10.5℃
  • 흐림보은 11.7℃
  • 흐림금산 12.5℃
  • 흐림강진군 13.5℃
  • 흐림경주시 12.5℃
  • 흐림거제 13.4℃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동작구, 동 주민센터 방문 주민 위한 복지스크리닝 실시

  • 등록 2020.02.11 11:17:09

 

[TV서울=신예은 기자] 동작구(구청장 이창우)가 오는 12월까지 15개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복지스크리닝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동 주민센터의 ▲전입 ▲출생 ▲사망신고 등 신고건수는 65,384건으로 동작구 총인구 395,963명 대비 16.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동작구는 복지스크리닝을 통해 복지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위기가구를 조기발견 하고자 생애주기별 민원 신고 시 복지욕구를 파악하고 해소하는 주민 안전망 구축·강화에 나선다. 먼저 주민이 각종 신고 시 신고서에 복지상담 동의 여부를 체크해 제출하면 동의여부에 따라 1차 대상자를 선정한다.

 

대상자는 해당 동 복지플래너와 연계해 즉시 현장상담하거나 유선상담 또는 가구 방문 등 수요자 맞춤형 상담을 실시한다. 상담분야는 출산지원금, 양육수당 등 보편적 복지안내에서부터 경제적 위기 가구에 대한 긴급지원까지 폭 넓게 진행한다.

 

 

향후 분기별 사업 결과분석을 실시하고 문제점을 보완해 지속적 관리체계를 구축해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동작구는 지난해부터 복지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전국 최초의 ‘찾아가는 가족생애 설계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증가되고 있는 복지정보의 홍수 속에서 꼭 필요한 제도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복지플래너가 태블릿 PC와 휴대용 프린터기를 구비하고 각 가정을 방문해 안내부터 자료출력,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지난해 10월부터 422가구 672명에 대한 서비스 실시로 322건의 공적·민간지원을 제공하는 등 주민편의를 더욱 높였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동작구 복지정책과(02-820-1677)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유원식 동작구 복지정책과장은 “이번 사업으로 주민 누구나 복지로부터 소외됨 없는 밀착된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해졌다”며 “앞으로도 주민의 실질적 복지혜택을 위해 사후 연계서비스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동작구는 오는 12월까지 구청이나 행정기관 방문이 힘든 주민을 위해 ‘찾아가는 복지종합상담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무료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법률홈닥터’ 사업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서울시설공단, 수능당일 장애인 수험생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설공단(이사장 한국영)은 오는 1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치르는 장애인 수험생을 위해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서울장애인콜택시에 등록된 수험생 고객(보행상 장애가 있는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예약은 시험 당일인 11월 13일까지 가능하다. 전화(1588-4388 또는 02-2024-4200)로 신청하면 되고 수능 당일 고사장 입실뿐 아니라 수능 종료 후 귀가 시에도 우선 배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공단은 수험생 우선 배차 안내를 위해 장애인 수험생 대상 문자 발송 및 장애인 단체에 공문 발송도 할 예정이다. 사전 예약을 미처 하지 못한 수험생의 경우에도 수험생의 수능 당일 이용 신청 시 우선적으로 배차할 계획이다. 한국영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서비스로 이동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 수험생들이 불편 없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원활한 수능시험 응시를 위해 진행하는 서비스인 만큼 수능시험 당일 다른 이용자분들의 협조와 이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설공단은 장애인들의 이동 편의 지원을 위해 2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