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변윤수 기자] 정부가 17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담화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의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 기념사를 원색적으로 비난한 것에 대해 강력 비난하고,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하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청와대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6·15 공동선언 20주년 기념사에 대해 “전쟁의 위기까지 어렵게 넘어선 지금의 남북관계를 후퇴시켜서는 안 되며 남과 북이 직면한 난제들을 소통과 협력으로 풀어나가자는 큰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측이 김여정 제1부부장 담화에서 이런 취지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매우 무례한 어조로 폄훼한 것은 몰상식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는 그간 남북 정상 간 쌓아온 신뢰를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일이며 북측의 이러한 사리 분별 못 하는 언행을 우리로서는 더 이상 감내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경고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정부가 현 상황 타개를 위해 대북 특사 파견을 비공개로 제의했던 것을 북한이 일방적으로 공개한 것에 대해서도 “전례 없는 비상식적 행위이며 대북 특사 파견 제안의 취지를 의도적으로 왜곡한 처사로서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며 “최근 북측의 일련의 언행은 북측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사태의 결과는 전적으로 북측이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부의 이 같은 입장은 이날 오전 8시 30분부터 10시까지 개최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긴급화상회의 직후에 나온 것으로, 일각에서는 정부가 그동안 북한의 비난에 대해 자제하는 입장을 고수해왔지만,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고, 비무장지대에 군사력을 전개하는 군사 행위뿐만 아니라 비공개로 제안한 특사 제안을 일방적으로 공개하고,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비난의 수위가 도를 넘어섰다고 판단, 강경 대응에 나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