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종합


북한군, 6·25 당시 종교인 1145명 학살

  • 등록 2022.02.22 09:43:33

[TV서울=신예은 기자] 22일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진실화해위)가 서울신학대 박명수 교수팀에 의뢰해 진행한 '한국전쟁 전후 기독교 탄압과 학살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6·25 당시 인민군에 의해 개신교인 1천26명, 천주교인 119명이 희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문헌조사·관련자 증언·피해 교회 방문 등 3단계 과정을 통해 희생자 명단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런 학살은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 직후 1950년 9월 26일 북한 측이 “반동 세력을 제거하고 퇴각하라”고 명령한 데 따라 이뤄졌다.

 

인민군은 9월 27∼28일 충남 논산 병촌교회에서 교회 자체를 적대세력으로 간주해 66명을 사살했고, 이들을 포함해 성동지역에서 120명을 죽였다.

 

 

또, 9월 27일에는 퇴각하던 인민군이 전북 정읍경찰서에 감금된 장로와 우익인사 500여명 중 350명을 유치장에 가둔 뒤 167명을 불에 태워 살해했다. 150명은 고부 임석리 두숭산 폐광에서 집단학살한 뒤 매장했다.

 

이 밖에도 영광 염산교회·야월교회, 영암 매월교회·구림교회 등에서도 집단 학살이 벌어졌다. 지역별로는 충남·전북·전남의 집단 학살 피해가 가장 컸다.

 

연구진은 인민군의 기독교인 집단 학살은 기독교를 불순 세력으로 규정하고 탄압하려는 정책에서 기인했다고 봤다.

 

연구진은 "공산주의와 기독교는 일제 강점기부터 계속 갈등했고, 해방 이후에는 새로운 국가 건설 과정에서 첨예하게 대립했다"며 "한국전쟁 시기에 기독교 탄압을 본격화했고 특히 퇴각 과정에서 기독교인을 집단희생시킨 사례가 많았다"고 했다.

 

연구진은 "한국전쟁 시기에 공산주의에 부정적이었던 천주교도 개인 및 집단 피해 사례가 적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서울시,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 마련… 비역세권 현황 조사 추진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는 지금까지 역세권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면서 상대적으로 저개발된 비(非)역세권 지역을 전면 조사·분석해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을 마련한다. 그동안 역세권 중심의 거점개발 정책 추진 과정에서 일부 역세권이 아닌 주거지역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뒤처지고 노후화 문제가 심화됐다. 이에 시는 도시의 효율적 활용과 균형 있는 개발을 위해 역세권 이외 지역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 보고 이번 조사를 추진한다. 이번 조사는 대중교통 접근성, 기반시설, 지역 여건 등 지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역세권과 비역세권 간 연계성 ▲노후 건축물이 많지만 유동 인구가 풍부한 지역 ▲대중교통·생활SOC·녹지공간 확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지하철 외에 대중교통·기반시설 등 입지 여건이 양호하지만 노후화된 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주거·상업 기능 공급과 생활SOC, 보행환경·녹지공간 등 생활 환경개선이 함께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또한 성장 잠재력이 있는 지역을 도출해 내년에는 이를 기반으로 한 활성화 모델을 마련해 사업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