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수수료 장사' 은행·증권사 5년간 접대비 1조6천억원 썼다

  • 등록 2022.10.02 08:24:08

 

[TV서울=나재희 기자] 고객의 수수료로 막대한 수익을 내는 국내 은행과 증권사들이 지난 5년간 접대비 명목으로 1조6천억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국내 은행과 증권사의 접대비는 총 1조6천126억6천만원이었다.

이 기간 은행이 7천633억4천만원, 증권사가 8천493억2천만원이었다.

보험이나 카드 등 상호금융사까지 합칠 경우 금융권의 접대비가 2조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 5년간 국내 은행의 접대비는 2018년 1천782억8천만원, 2019년 1천872억4천만원, 2020년 1천621억6천만원, 지난해 1천600억4천만원이었으며 올해는 6월까지 756억2천만원이었다.

 

이런 가운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9조2천487억원에 달했다. 10년 전인 2012년 순이익 5조4천613억원 보다 69.3%나 급증한 수치다.

문제는 고객의 대출 이자 등 수수료로 이익을 거두는 은행에서 접대비가 엄격하게 운영되는지는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최근 금융권 횡령 사고 등 은행에서 각종 비리가 터져 나오는 가운데 접대비가 매년 1천억원이 넘게 집행됐다는 점에서 내부 통제가 제대로 작용했는지 금감원의 대대적인 점검이 필요한 대목이다.

금감원은 "은행연합회가 개별 은행의 접대비와 관련해 별도의 협회 규칙이 없다고 알려왔다"고 전했다.

 

증권사

 

가세다.

 

이런 가운데 증권사의 증권 거래 수수료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15조3천165억원으로 각종 전산 장애 사고에도 막대한 돈을 벌어들였다.

증권 거래 수수료는 2018년 3조218억원에서 지난해 5조2천542억원으로 급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접대비는 업무 추진비로 다양한 영업 과정에서 쓰이기 때문에 금융사의 수익 창출을 위해 필요하다"면서 "다만 최근 연이은 횡령 사고 등 도덕적 해이 문제가 있어 은행의 강력한 내부 통제와 금융당국의 점검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아미타브 고시, 박경리문학상 수상… "인간 아닌 존재 목소리, 문학이 전해야"

[TV서울=변윤수 기자] "최근 20년 동안 세계 모든 문화의 선구자인 한국에서 이런 상을 받게 돼 자랑스럽습니다. 한국은 비(非)서구 국가에서 100년 넘게 찾아볼 수 없는 유례없는 큰 업적을 보여줬고, 모든 면에서 세계 문화의 지도자가 되고 있죠." 세계적인 작가 아미타브 고시(69)는 2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박경리문학상 수상작가 기자간담회에서 소감을 밝히며 한국 문화가 이룬 성취를 언급했다. 고시는 "인도에서도 한류가 아주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서구가 아닌 아시아 국가의 문화가 영향을 끼치는 것은 굉장히 놀라운 일"이라고 말했다. 인도 출신 미국인으로 영어로 작품 활동을 하는 고시는 "지난 100년 동안 유럽 언어, 특히 영어로 작품을 쓴 작가들이 세계 문학계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인도의 작가들은 뛰어난 실력이 있는데도 서구 작가들에 비해 인정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행히도 현재 상황이 변모하고 있다"며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데서 알 수 있듯 지평이 변화하고 있고, 인도 작가들도 대중에 존재를 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시는 인도, 미얀마, 말레이시아 근대사를 다룬 장편소설 '유리 궁전', 기후






정치

더보기
교육위 국감서 강원대 공자학원 운영 및 교수 비리 등 질의 [TV서울=나재희 기자] 22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경북대와 강원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감사위원들은 강원대의 공자학원 운영과 교수 비리, 경북 영주 고교생 학교폭력 피해 사건 등에 대해 주로 질의했다. 이날 오전 경북대와 강원대 등에 대한 국감에서 국민의힘 서지영(부산 동래구) 의원은 "공자학원은 미국 FBI가 스파이기관으로 규정했는데 강원대에서 운영되고 있다"며"중국의 체제선전 도구로 전락해 미국 등에서 퇴출 운동을 하는 공자학원이 국가정체성에 맞지 않는다면 퇴출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22년 강원대 공자학원에서 연 중국어 손 글씨 대회에서 마오쩌둥이 홍군의 대장정을 미화해 중국 건국 신화로 알려진 시를 쓴 작품이 대상을 받았다"며 "공자학원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고 퇴출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만큼 검증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사반장인 국민의힘 조정훈(비례대표) 의원도 "강원대에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이 들어오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국감 위원들의 지적을 검토해서 종감 전까지 공자학원의 폐쇄 여부를 결정해달라"고 당부했다. 더불어민주당 고민정(서울 광진구을) 의원은 "서지영 의원의 의견에 공감한다. 전국에 23∼24개의 공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