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1 (목)

  • 흐림동두천 20.6℃
  • 흐림강릉 20.2℃
  • 흐림서울 22.0℃
  • 흐림대전 20.5℃
  • 흐림대구 19.9℃
  • 흐림울산 20.0℃
  • 흐림광주 21.9℃
  • 흐림부산 20.9℃
  • 흐림고창 21.2℃
  • 흐림제주 23.9℃
  • 흐림강화 20.1℃
  • 흐림보은 19.9℃
  • 흐림금산 20.2℃
  • 흐림강진군 22.8℃
  • 흐림경주시 20.7℃
  • 구름많음거제 20.2℃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경기도산 '김' 효자종목으로 부상…올해 어가수입 역대 최대

  • 등록 2023.06.06 10:55:23

 

[TV서울=박양지 기자] 경기도 내 올해 김 양식 생산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2022~2023년 경기도 내 김(물김) 생산량은 2만2천513t, 생산액(총수입)은 218억4천만원으로 파악됐다.

김은 9월에 채묘(採苗·종자 붙이기)하면 10월부터 채취에 들어가 이듬해 4월 생산이 끝난다. 따라서 올해 생산 실적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4월까지 8개월간 수치를 합산한 것이다.

올해 생산량은 전년(2021~2022년) 2만3천623t보다 4.7%(1천110t) 감소했지만, 생산액은 전년 166억8천만원에서 30.9%(51억6천만원) 증가한 것이다.

 

전년 대비 전국 생산량이 약 12% 감소하고, 전국 생산액이 6.4%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는 실적이다.

 

2019~2023년 통계는 경기도 자체 기준임.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에 따라 도내 어가당 평균 수입도 전년 1억3천900만원에서 올해 1억8천300만원으로 31.7%(4천400만원) 상승했다. 김 생산량은 국내 전반적으로 2020년을 정점(경기 2만9천121t)으로 소폭 감소 또는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올해 생산액은 최다 생산량을 기록한 2020년(210억6천만원) 실적을 3년 만에 넘어섰다.

생산량 자체는 양식시설 면적 규제와 기후 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 여파로 정체된 상태이지만, 경기 해역에 맞는 품종 선택에 따른 고품질화, 전반적 생산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도내 김 생산량은 전국 4위로, 도내 해면 어업생산량의 약 82%를 차지할 정도로 경기도의 주력 수산물이다. 다만 전남이 압도적인 주산지여서 전국 생산량의 4.9% 정도를 차지할 뿐이다.

 

1980년대 후반 화성시 해역에서 양식을 시작된 경기도 김 생산은 현재 화성시와 안산시에 119개 어가(양식시설 면적 3천100㏊)에서 양식에 종사하고 있다.

2013년 1만t, 2018년 2만t을 넘어섰는데, 2016년에는 갯병 발생으로 생산량 8천900t을 급감한 적도 있다.

경기 서해 연안은 조수 간만의 차와 하천수 유입에 따라 영양염류가 풍부해 김 서식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반면 같은 서해에서도 위도가 높고 수심이 얕아 계절풍과 기후 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보인다.

 

이 때문에 여름철에는 수온이 26도까지 쉽게 높아지고, 겨울철엔 2~3도까지 낮아진다.

이에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경기 해역 환경에 맞춰 병해에 강하고 해수면 온도 상승에도 성장이 양호한 김 종자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도 관계자는 "김 생산액이 올해 최대 실적을 냈지만, 수온 상승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로 소득 보장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기후 변화에 대응한 종자 개발과 거점단지 육성 등을 지원해 수산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천구의회, 제243회 임시회 폐회

[TV서울=나재희 기자] 금천구의회 제245회 임시회가 9월 21일 본회의를 끝으로 9일간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서울특별시 금천구의회(의장 김용술) 제245회 임시회가 9월 21일, 제2차 본회의를 끝으로 총 9일간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번 임시회 동안 금천구의회 의원들은 2023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조례안 등의 안건을 심사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적극행정 운영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등 47건의 안건이 원안 및 수정가결 되었다. 이 중 의원 발의 안건은 총 16건이며, 주요 안건을 살펴보면 이인식·정재동·도병두 의원이 발의한 「서울특별시 금천구 학교 등의 급식에 방사능 등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식재료 사용 지원에 관한 조례안」은 학교 등의 급식에 방사능 등 유해한 물질로부터 안전한 식재료의 사용을 지원함으로써 영유아 및 학생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고성미 의원이 발의한 「서울특별시 금천구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육환경 지원 조례안」은 학생의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정책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고자, 「서울특별시 금천구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대행에 관한 조례안」은 구청장의 권한에 속하는 사무 일부를 공공기관에 위탁 및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시의원 3명 고소…학생인권조례 갈등

[TV서울=이현숙 기자] 학생인권조례 폐지를 둘러싼 서울시의회 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의 갈등이 형사 고소로까지 번졌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승미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은 21일 같은 위원회 국민의힘 소속 고광민 부위원장과 김혜영·이희원 시의원 등 3명을 공무집행방해와 특수폭행 혐의로 남대문경찰서에 고소했다. 이 위원장에 따르면 세 시의원은 지난 12일 교육위 회의 도중 위원장석을 에워싸고 고성을 지르며 항의했다. 위원장의 몸을 잡아당겨 의사봉을 빼앗기도 했다. 정회를 선언하고 밖으로 나가려 하자 세 시의원이 막아섰고, 이 과정에서 이 위원장은 팔에 찰과상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당시 이 위원장은 학생인권조례 폐지조례안을 상정하지 않았다. 세 시의원은 조례안 검토·심사를 위한 상정을 요구하며 충돌했다. 해당 조례안은 종교단체와 학부모단체 등으로 구성된 '서울시학생인권조례 폐지 범시민연대'가 청구해 3월 김현기 시의회 의장 명의로 발의됐다. 그러나 이 위원장이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며 상정하지 않아 아직 교육위에 계류된 상태다. 국민의힘 시의원 76명은 이 위원장이 상정을 거듭 보류해 논의 기회조차 막고 있다고 반발하며 8일 피켓 시위에 나서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