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日홋카이도 마라톤 2만여 명 참가... 한국 이봉주 선수 등 109명 출전

  • 등록 2023.08.29 15:33:46

 

[TV서울=이천용 기자] 일본에서 유일하게 여름에 열리는 풀코스 대회인 홋카이도 마라톤 대회가 예상을 뛰어넘는 무더위 속에도 성황리에 개최됐다.

 

1987년 첫 대회 이후 올해로 35회째를 맞은 ‘홋카이도 마라톤 2023’은 지난 27일 오전 8시 30분 일본 삿포로 오도리공원에서 출발 총성과 함께 시작됐다.

 

이번 대회는 최근 10년 사이 열린 대회 중 가장 높은 온도 속에 치러진 대회였다. 이날 선수들이 출발선을 나설 당시 온도는 섭씨 29.2도(습도 78%)였다. 이는 지난해 열린 34회 대회(24.5도) 때보다 5도 이상, 역대 대회 평균 온도(25.1도)보다도 4도 이상 더운 날씨였으며, 2019년 대회(18.7도)와 비교하면 10도 넘게 높았다.

 

 

그럼에도 이날 마라톤에는 초청 엘리트 선수 23명(남자 13명, 여자 10명)과 마스터스 선수 2만343명을 포함해 총 2만366명이 소세이터널~신카와도리~홋카이도대~홋카이도청~오도리공원으로 이어지는 42.195km 풀코스를 따라 달렸다. 2019년 대회 이후 코로나19 확산으로 4년간 발걸음이 끊겼던 해외 마스터스 541명도 함께했다.

 

 

주최 측은 참가자들의 열기를 식혀주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출발선으로부터 5.4km 지점부터 이후 2~4km가량마다 급수대를 촘촘하게 설치했다. 물을 머리에 뿌려가며 더위를 식히는 선수들을 위해 냉장 장치에서 막 꺼내온 생수를 공금했으며, 선수들이 마시거나 뿌린 뒤 생수병을 아무데나 버려 따라오는 주자가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급수대 바로 옆에는 병 수거통을 배치했다.

 

기록은 날씨 탓에 저조했다. 남자부의 패트릭 마젠게 완비(26·케냐)는 지난해 우승자인 루카 무셈비(22·케냐)가 세운 2시간10분49초보다 10분가량 뒤진 2시간20분54초으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여자부 1위 사와하타 도모미(30·일본)도 지난해 우승자인 야마구치 하루카(36·일본·2시간29분52초)보다 9분 가까이 늦은 2시간38분18초를 기록했다.

 

한편, 이번 대회에는 이봉주 선수를 비롯해 109명의 한국선수들이 참가했다.

 


최호정 시의회 의장, “정근식은 조희연의 ‘사면’ 아닌 ‘사과’ 요구해야”

[TV서울=나재희 기자]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1일,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이 이날 이재명 대통령에게 ‘조희연 전 교육감 광복절 사면’을 공개 건의한 것에 대해 입장문을 통해 “헌법교육을 강조하면서 삼권분립을 위협하는 사면을 주장하고 있다”며 “조 전 교육감에게 진정어린 사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우리 아이들이 배워야 할 상식”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다음은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의 입장문 전문이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이 1일 조희연 전 서울시교육감을 광복절 특사로 사면해 달라고 대통령에게 공개 건의했다. 조 전 교육감은 국가공무원법을 어기고 직권을 남용해 해직교사들을 특혜채용한 것이 확인돼 지난해 8월 대법원에서 징역 1년6개월(집유 2년)형을 받고 교육감직을 상실했다. 형이 확정된 지 1년도 안된 사람을 사면 해달라고 주장하는 정 교육감에게 22년 12월 당시 정부가 한 사면에 대해 민변 회장이 공개적으로 한 주장을 들려주고 싶다. "사면은 사법부가 오랜 시간 재판으로 어렵게 실현한 법치주의를 단숨에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사면권 남용은 삼권분립 위반이고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일이다" 서울교육청은 지금 서울 학생들에게 헌법의 기본 정신 등 헌법 교육을 강화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