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흐림동두천 4.9℃
  • 구름많음강릉 6.0℃
  • 구름많음서울 5.5℃
  • 맑음대전 4.3℃
  • 맑음대구 6.3℃
  • 맑음울산 6.5℃
  • 흐림광주 6.0℃
  • 맑음부산 7.5℃
  • 흐림고창 4.4℃
  • 구름조금제주 9.8℃
  • 흐림강화 3.6℃
  • 맑음보은 0.5℃
  • 맑음금산 4.2℃
  • 구름많음강진군 3.0℃
  • 맑음경주시 4.1℃
  • 맑음거제 7.2℃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서울시, '먹이주기 금지구역' 38곳 고시

7월부터 광화문광장 등에서 비둘기 먹이 주면 과태료…최대 100만 원

  • 등록 2025.04.09 14:39:36

[TV서울=곽재근 기자] 오는 7월부터 광화문광장과 한강공원, 서울숲 등지에서 비둘기, 까치 등 유해야생동물에 먹이를 주다가 적발되면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

 

서울시는 시내 도시공원과 한강공원 총 38곳을 ‘유해야생동물 먹이주기 금지구역’으로 지정해 오는 10일 고시한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지자체장이 조례로 유해야생동물 먹이 주기를 금지할 수 있고 이를 어기면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지난해 1월 개정됐다.

 

이에 따른 후속 조치로 '서울시 유해야생동물 먹이주기 금지에 관한 조례'가 올해 1월 제정·시행됐으며, 이번에 고시로 금지 기간과 구역을 지정한 것이다.

 

 

현행법상 유해야생동물은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농작물 또는 과수에 피해를 주는 참새, 까치, 까마귀를 비롯해 일부 지역에 서식밀도가 너무 높아 피해를 주는 꿩, 비둘기, 고라니, 멧돼지, 청설모 등이다.

 

먹이주기 금지 기간은 오는 7월부터 3년간이다. 관련 조례에 따라 시장은 금지구역 지정의 변경 또는 해제를 3년마다 검토할 수 있다.

 

금지구역은 서울시가 관리하는 도시공원과 한강공원 전체 38곳이다.

 

서울숲, 남산공원, 월드컵공원, 여의도공원, 북서울꿈의숲, 서울대공원 등 대부분의 공원이 포함된다.

 

서울광장, 광화문광장과 한강공원 11곳(광나루·잠실·뚝섬·잠원·이촌·반포·망원·여의도·난지·강서·양화)도 금지구역에 해당한다.

 

 

금지구역에서 먹이를 주다 단속에 적발되면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1회 적발 시 20만 원, 2회 50만 원, 3회 100만 원이다.

 

시는 "다중이 이용하는 장소에서 유해야생동물의 배설물, 털 날림 등으로 인한 위생상 피해와 건물 부식·훼손 등의 재산상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고자 한다"며 "6월 30일까지 계도 기간을 두고 7월 1일부터 단속과 과태료 부과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에 접수된 비둘기 관련 민원은 2020년 667건에서 2023년 1천432건으로 3년 새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민원 내용은 보행 불편, 배설물과 깃털 등 위생적 피해, 비둘기 사체 처리 등이다.







정치

더보기
'광주의 딸' 양향자·권은희 국민의힘 행보…지역선 '눈총' [TV서울=박양지 기자] 양향자 전 개혁신당 원내대표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에 입당하면서 그의 정치적 고향인 광주 민심이 술렁이고 있다. 지역민들은 권은희 전 의원을 포함해 '광주의 딸'로 지역에서 큰 관심과 지지를 받았던 여성 정치인들의 행보가 민주주의 수호라는 광주 정신을 충분히 담지 못하고 있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또, 양향자 전 의원이 불법 계엄을 옹호한 정당과 함께하려는 것이냐며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광주의 딸 애칭을 가장 처음 얻은 정치인은 권은희 전 의원이다. 광주가 고향인 권 전 의원은 서울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에 재직하던 제18대 대선 때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에 경찰 수뇌부의 부당한 개입을 폭로했으며 2014년 재·보궐 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의 광주 광산을 전략공천을 받아 국회에 입성했다. 2016년에는 국민의당에 합류해 20대 총선에서 같은 지역구 재선에 성공했다. 2016년 총선은 호남에서 국민의당 열풍이 불었으나 더불어민주당이 휩쓴 2020년 21대 총선에서는 국민의당 비례대표로 노선을 바꿨다. 광주·전남 국회의원 중 유일하게 안철수 대표를 따라 국민의당을 선택한 만큼 비례대표 출마는 전략적 선택이라는 시각도 있었지만, 지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