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천용 기자]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이 공사 당시 부속 전원을 차단하지 않았다는 업체 관계자의 진술을 확보했다.
대전경찰청 국정자원 화재 전담수사팀은 업무상 실화 혐의로 공사업체 관계자 1명을 추가 입건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로써 경찰이 이번 화재와 관련해 입건한 인원은 4명에서 5명으로 늘었다.
참고인 조사는 화재 현장에 있었던 책임자·작업자 등 5명을 포함해 모두 26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경찰은 "작업 당시 주 전원(메인 차단기)은 차단했지만, 부속 전원(랙 차단기)은 차단하지 않았다"는 공사 관계자 진술을 확보하고 정확한 차단 여부 등을 확인하고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정 의뢰한 상태다.
경찰이 확보한 로그 기록상 최초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배터리 충전율은 90%로 조사됐는데, 경찰은 보정률을 감안하면 실제 충전율은 80% 수준이라는 전문가 진술도 확보했다.
이번 화재는 국정자원 5층 전산실의 무정전·전원장치(UPS) 리튬이온배터리를 서버와 분리해 지하로 이전하기 위한 배터리 케이블 분리 작업 도중 발생했다.
조사 결과 작업자들은 지난달 26일 오후 7시 9분께 배터리 주 전원을 차단했는데 이로부터 1시간 7분 뒤인 오후 8시 16분께 발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경찰은 추석 연휴 직전인 지난 2일 7시간여에 걸쳐 국정자원 및 관련 업체 3곳 등 4곳을 압수수색을 해 사업계획서와 배터리 로그기록 등 박스 약 9개 분량의 자료를 확보했다.
경찰은 전원 차단 여부를 포함해 작업 적절성 여부를 화재 원인 규명의 중요한 단서로 보고 추석 연휴 기간 내내 확보한 압수물 분석과 확인 작업을 벌였다.
수사팀 관계자는 "주 전원 이후 부속 전원을 차단하지 않았다는 진술이 나온 만큼 정확한 경위를 정밀감정을 통해 파악할 방침이다"며 "현장에서 회수한 배터리는 분해검사, 동일 기종 배터리 재현실험 등을 통해 화인 규명 수사를 다각도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26일 오후 8시 16분께 국정자원 5층 전산실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나 배터리 384개와 서버가 불에 타 행정정보시스템 등 정부 전산시스템 709개가 마비되거나 장애를 겪었다.
10일 낮 12시 기준 217개 서비스가 정상화돼, 시스템 복구율은 30.6%를 나타냈다.
중요도가 큰 1등급 시스템은 전체 40개 중 30개가 정상화돼 75%의 복구율을 보였다.